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전인평 (지은이)
아시아문화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150원
14,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91192666181
· 쪽수 : 668쪽
· 출판일 : 2024-04-30

목차

서장/ 무엇을 새로 볼 것인가?

1. 한국음악사 시대 나눔 어떻게 할 것인가? 21
2.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시대 나눔의 기준 22
3.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시대 나눔 24

제2장 원고음악-한국음악의 여명기(-357)

1. 원고 - 원고의 시대적 배경 28
2. 천손신화와 난생신화 29
2.1. 천손신화(天孫神話)의 주인공(29)
2.2. 난생신화(卵生神話)의 주인공(30)
2.3. 천손신화와 난생신화의 분포(31)
3. 원고 음악에 관한 문헌 35
4. 원고대의 악기 37
4.1. 굴포리 뼈피리(37)
4.2. 신창동 출토 현악기(39)

제3장 고대음악-서역음악 수용시대(357-1116)

1. 고대의 시대적 배경 42
2. 고대음악 전기:서역 악기 수용시대(357-780) 44
2.1. 문화적 배경(48)
2.2. 고구려 음악(49)
2.2.1. 안악3호분, 정가갑5호분 그리고 봉태자분의 주악도 비교(60)
2.3. 백제 음악(71)
2.4. 열국시대의 신라 음악(87)
2.5. 가야 음악(92)
3. 고대음악 후기:서역악조 수용시대(780-1116) 99
3.1. 남북국시대의 시대적 배경(100)
3.2. 통일 신라의 음악(102)
3.2.1. 밖에서 본 최치원 향악잡영오수의 속독(114)
3.3. 발해 음악(127)
3.4. 고대음악 후기의 악조(131)
3.4.1. 밖에서 본 반섭조(한중일의 반섭조)(135)

제4장 중세음악 시대-궁중음악 발전시대(1116-1610)

1. 중세음악 전기:대성아악 수용시대(1116-1447) 139
1.1. 문화적 배경(140)
1.2. 대성아악의 수입(141)
1.3. 송나라 사악(詞樂)의 수입(146)
1.4. 고취악 장구형과 사악장구형(147)
1.5. 중세 전기 중앙아시아 음악의 영향(154)
1.6. 중세 전기의 음악(156)
1.7. 중세 전기의 기보법(178)
1.8. 중세 전기 음악의 악조(182)
2. 중세음악 후기:유량악보시대(1447-1610) 188
2.1. 세종대왕의 정간보 창안(188)
2.2. 조선 초기의 노래 제정(193)
2.3. 박연의 아악정리와 예악사상에 의한 악조개혁(194)
2.4. 세종시대 음악의 빠르기(199)
2.5. 세종실록 〈치화평〉 장구 리듬과 현행 굿음악 장단 리듬 비교(207)
2.6. 중세 후기 음악의 장단(214)
2.7. 「악학궤범」의 편찬(236)
2.8. 중세 후기의 음악(239)
2.9. 중세 후기의 악보(262)

제5장 근세음악 시대; 문인음악 시대(1610-1754)

1. 근세 문화적 배경 272
2. 문인음악 273
2.1. 중인과 문인(274)
2.2. 문인음악의 장르(277)
2.3. 문인음악의 발달(278)
3. 세악수(細樂手)의 활동 284
4. 근세의 음악 양식 286
4.1. 역안법의 정착(287)
4.2. 거문고의 고정궁 연주법과 이동궁 연주법(288)
4.3. 당악의 향악화(289)
4.4. 성악곡의 기악화(290)
4.5. 변주곡의 등장과 사상적 배경(292)
4.6. 음악의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296)
4.7. 음이 높아지는 경향(297)
4.8. 근세음악의 장단; 영산회상 장단의 형성(298)
4.9. 밖에서 본 한국음악의 세틀 형식(305)
4.9.1. 인도 음악의 세틀 형식(305)
4.9.2. 태국 음악의 세틀 형식(307)
4.9.3. 중국 남부 강남사죽의 세틀 형식(307)
4.9.4. 한국 음악의 세틀 형식(308)
4.9.5. 밖에서 본 영산회상(312)

제6장 근대음악: 서민음악 부흥시대(1754~1900)

1. 근대 문화적 배경 315
2. 판소리의 발달 316
2.1. 판소리의 기원(316)
2.2. 판소리 문헌(318)
2.3. 18세기의 판소리(320)
2.4. 19세기의 판소리(321)
2.5. 판소리의 유파(324)
3. 근대 음악의 장단; 판소리와 산조 장단의 형성 326
3.1. 3박자 장단이 고악보에 없는 이유(340)
4. 서양음악 이론의 소개 341
5. 근대후기의 악보 343

제7장 현대음악 시대: 민족음악모색시대(1900~현재)

1. 현대음악 1기:서양음악 수용시대(1900-1954) 349
1.1. 문화적 배경(349)
1.3. 기독교 음악의 수입(354)
1.4. 창가(368)
1.5. 뽕짝의 유래와 뽕짝 논쟁(369)
1.6. 유성기 음악(373)
1.7. 창극운동(384)
1.8. 판소리와 산조(388)
1.9. 국악 단체(397)
1.10. 국악학의 발전(404)
1.11. 20세기 초의 국악교육(408)
1.12. 국립국악원의 개원(415)
2. 현대음악 2기 : 창작국악 시대(1954-1988) 416
2.1. 문화적 배경(416)
2.2. 창작국악의 전개와 대학 국악과 설치(417)
2.2.1. 창작국악의 전개; 태동기(1939-1961)(418)
2.2.1.1. 〈황화만년지곡〉의 작곡 연주 경위(420)
2.2.1.2. 서울대학교의 국악과 창설(421)
2.2.1.3. 태동기의 창작국악(422)
2.2.2. 창작국악의 실험기(1962-1987)(428)
2.2.2.1. 시대 문화적 배경(428)
2.2.2.2. 신국악예술인회의 창립(431)
2.2.2.3.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창단(433)
2.2.2.4. 서양음악 작곡가의 국악창작 활동(436)
2.2.2.5. 국립국악원의 한국창작국악발표회(437)
2.2.2.6. 창작국악 단체의 탄생과 활동(446)
2.2.3. 창작국악의 발전기(1988-2000)(447)
2.2.3.1. 시대문화적 배경; 88서울올림픽(447)
2.2.3.2. 1991년 지방 자치의 부활과 국악관현악 운동(448)
2.2.3.3. 창작국악의 평균율화 경향(451)
2.2.3.4. 개량 국악기의 등장과 국악계의 변화(451)
2.2.3.5. 북한 가야고 쇼크(1994)(458)
2.2.3.6. 오케스트라 아시아 창단(474)
2.2.3.7.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창단(474)
2.2.3.8. 실내악단의 활동(476)
2.2.3.9. 발전기의 창작국악(479)
2.2.4. 창작국악의 대중화 및 월드뮤직 진출기(2001-2011)(482)
2.2.4.1. 시대 문화적 배경(482)
2.2.4.2. 국악방송국의 개국(485)
2.2.4.3. 국악관현악단의 확산과 실험(488)
2.2.4.4. 소규모 실내악단의 활성화와 퓨전 음악의 유행(490)
2.2.4.5. 작곡층의 다변화(502)
2.2.4.6. 종교계의 적극적 국악 수용(503)
2.2.5. 창작국악의 국악 양악 융합기(2012 이후)(504)
2.2.5.1. 시대 문화적 배경(504)
2.2.5.2. 창작국악 연주계의 새로운 경향(505)
2.2.5.3. ARKO한국창작국악제(508)
2.2.5.4. 서양음악 바탕 작곡가와 지휘자의 참여(516)
2.3. 사물놀이의 등장(517)
2.4. 국악학의 발전(519)
2.5. 종교계의 반성과 국악 종교음악(523)
2.6. 아시아음악학의 대두와 아시아악단의 출현(526)
2.6.1. 국악의 해외 소개와 교류 및 한국 음악인의 해외 진출(529)
2.7. 북한의 음악(536)
2.7.1. 북한음악의 성격(537)
2.7.2. 북한음악의 변천(541)
2.7.3. 북한의 음악교육(543)
2.7.4. 북한의 악기 개량 사업(544)
2.7.5. 북한의 음악학(545)
2.7.6. 남북의 음악 교류(550)
2.7.7. 북한의 배합관현악(553)
2.7.7.1. 서양악기를 복종시켜라!(555)
2.7.7.2. 오직 북한에서만 연주할 수 있는 혁명가극(558)
2.7.7.3. 1980년 북한식 대중문화 등장(559)
2.8. 현대음악 2기의 서양음악계의 형편(560)
2.8.1. 작곡계의 전개(562)
2.8.2. 성악계의 전개(566)
2.8.3. 피아노계의 전개(659)
2.8.4. 현악계의 전개(571)
2.8.5. 평론계의 전개; 한국음악 평론의 효시 김관(573)
3. 현대음악 3기; 한국음악의 국제화 시기(1988-)(576)
3.1. 88올림픽이 문화계에 미친 영향(576)
3.2. 88올림픽 이후 창작오페라 현황(590)
3.3. 88올림픽 이후 창작국악계의 전개 양상(596)
3.4. 한국인의 국제 콩쿠르 입상(607)
3.5. 한국 클라식의 수수께끼: RTBF 방송국의 다큐멘타리(608)
3.6. 세계로 진출하는 한국음악계(609)

종장-한국음악의 미래를 위하여

1.종장 - 작곡가들이여, 강을 건너고 나면 뗏목을 버리시오 610
2. 미래를 위한 전략 ; 융합과 교류 612

저자소개

전인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대학원 졸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문학박사. 중앙대 국악대 교수(학장역임),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국립극장 자문위원、한국음악협회 운영위원 등 역임. 아시아음악학회 대표, 영문학술지 Asian Musicology 발행인. UNESCO 세계문화유산(World Intangible Heritage) 심사위원(2009-2010) 대한민국작곡상(1984), KBS국악대상(1996), 난계악학대상(2003), 기독교문화대상 수상(2004)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