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3년 국내외 바이오 의약/바이오 소재/기능성 화장품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2023년 국내외 바이오 의약/바이오 소재/기능성 화장품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상)

신성장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 (지은이)
산업경제리서치
4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6,000원 -10% 0원
22,000원
37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69,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3년 국내외 바이오 의약/바이오 소재/기능성 화장품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3년 국내외 바이오 의약/바이오 소재/기능성 화장품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91192693149
· 쪽수 : 619쪽
· 출판일 : 2022-11-21

목차

Ⅰ. 국내외 바이오 제약 및 바이오 헬스케어 시장 분석

1. 국내외 바이오 산업 및 바이오 제약 시장분석
1) 국내외 시장분석 및 주요업체 분석
(1) 해외 시장
가. 해외시장 분석 및 전망
나. 해외 핵심기업 분석
(2) 국내 시장
가. 국내시장 분석 및 전망
나. 국내 기업 현황
다. 국내 핵심기업 분석
2)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가. 바이오메디컬
나. 바이오화학
다. 바이오 서비스
(2) 국내 기술
가. 바이오산업
나. 바이오메디컬
다. 재생의료
라. 바이오화학
마. 바이오 서비스
3)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가. 미국
나. EU
다. 영국
라. 독일
마. 일본
바. 중국
(2) 국내 정책
가. 바이오산업 혁신전략
나.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다. 한국판 뉴딜 2.0
라. 코로나 19 바이러스 관련 지원 정책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국내 전략제품
5) 글로벌 벤처투자가 집중된 6개 바이오 플랫폼 기술
(1) 세포치료제 2.0
(2) 차세대 유전자 치료제
(3) 정밀의학
(4) 머신러닝 기반 약물 발견
(5) 약물 투여가 불가능한 표적 타겟기술
(6) 새로운 약물전달 방법

2. 바이오헬스(디지털헬스케어+바이오제약+서비스) 분야 시장분석
1) 개념 정리
가. 가치사슬
나. 대표적 분류 방법
2) 국내외 시장 및 산업분석
(1) 해외시장
가. 해외시장 동향 및 전망
나. 해외업체 동향
(2) 국내시장
가. 국내시장 동향 및 전망
나. 국내 산업 현황
(3) 국내 주요업체 동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가. 의료기기
나. 바이오 메디컬
다. 디지털 헬스케어
(2) 국내 기술
가. 의료기기
나. 바이오 메디컬
다. 디지털 헬스케어
4)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2) 국내 정책
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나.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국내 전략 제품
(3) 국내 바이오헬스 기술로드맵

3. 바이오 신규 모달리티 TOP2
1) NK: 면역세포가 새로운 돌파구
(1) 글로벌 임상 핫이슈: NK 세포치료제
(2) 면역세포치료제 시장 현황
(3) 면역세포 분야의 new 게임체인져: NK세포
(4) 글로벌 기업들이 끌어주고, 국내도 함께 가고: 신규 모달리티라서 따라잡을 수 있다!
(5) 기존 면역세포 치료제의 선두: CAR-T
(6) 비싸고 공정 복잡한 ‘자가’에서 상업화가 편한 ‘동종’
(7) ‘CAR-T’위의 NK 세포치료제(고활성화 NK, CAR-NK)
(8) NK 세포치료제가 표적세포를 살해하는 방법
(9) NKarta 의 임상1상, 초기 임상만으로도 핫이슈
(10) Affimed(아피메드) AACR 데이터와 NK세포 인게이저
2) AI: 신약개발 시간싸움 시작
(1) 왜 빅파마들은 AI 플랫폼과 함께하려고 하나?
(2) AI: 신약개발을 빠르고 확실하게
(3) AI 헬스케어 시장 전망
(4) 글로벌 계약(딜, 파트너십) 추이
(5) AI 플랫폼으로 찾은 후보물질의 임상
3) 시사점
4) 기업 분석
(1) 지씨셀
(2) 엔케이맥스
(3) 신테카바이오
(4) NKarta Therapeutics (NKTX)
(5) Exscientia PLC (EXAI)

4. 바이오 제약 분야에서의 ESG 환경분석과 전략
1) ESG 시선으로 바라본 제약ㆍ바이오 산업 분야
(1) 국내 제약ㆍ바이오 산업의 ESG, 어떤 지표로 봐야 할까
(2) 제약ㆍ바이오 산업 현황
가. 경영권 승계 및 지배구조 개편 작업
나. 최근 5년간 횡령ㆍ배임 발생 현황
다. 경영권 승계 및 내부통제 정책 강화
라. ESG 정보공개부터 한걸음씩 나아갈 필요
(3) 제약ㆍ바이오 ESG, 이제 시작
(4) 제약ㆍ바이오 ESG 평가 결과
가. 유한양행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나. 삼성바이오로직스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다. 종근당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라. 녹십자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마. 보령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바. HK이노엔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사. JW중외제약
아. 대원제약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자. 환인제약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성 및 주요주주 지분율 추이(2000-2021)
차. 대웅제약
ⓐ ESG 평가 결과
ⓑ 지분구조
2) 제약ㆍ바이오에서 바라본 ESG
(1) ESG?
가. ESG로 돈이 이동 중
나. ESG를 잘하면 자금조달 비용도 감소
다. 글로벌 사업경쟁력 강화의 ESG
(2) How ESG?
가. 기준도 다양하고, 평가기관도 너무 많다
나. 평가 기관별 상이한 기준
다. K-ESG 가이드라인으로 준비
(3) 제약ㆍ바이오 ESG 이슈
가. E(환경)
나. S(사회)
다. G(지배구조)
(4) 제약ㆍ바이오 ESG 대응
가. E(환경)
나. S(사회)
다. G(지배구조)
(5) 국제적 인증으로 ESG를 대비하는 제약ㆍ바이오 기업들
(6) 국내 제약ㆍ바이오 ESG의 현주소
가. 평가 현황
나. KOSPI 업체 평가 현황
다. KOSDAQ 업체 평가 현황
(7) 회사별 ESG 현황
가. 삼성바이오로직스
나. 유한양행
다. 종근당
라. 대웅제약
마. 셀트리온
바. 동아쏘시오홀딩스
사. JW중외제약
아. 동국제약
(8) 제약ㆍ바이오 ESG 투자전략
3) 국내외 제약ㆍ바이오 기업들의 ESG 대응 실태
(1) 서론
(2) 제약ㆍ바이오산업 ESG 제도 및 평가 현황
가. 국내외 ESG 공시표준 및 가이드라인 현황
나. 국내외 ESG 규제 현황
다. 국내외 ESG 평가 현황
(3) 해외 제약ㆍ바이오기업 ESG 대응 현황
가. 환경(Environmental) 분야 대응 현황
나. 사회(Social) 분야 대응 현황
다. 지배구조(Governance) 분야 대응 현황
(4)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ESG 대응 현황 및 시사점

5. 2022 ESMO(유럽종양학회)의 핵심 키워드 “NSCLC와 ADC”
1) 2022 ESMO에서 가장 큰 화두 NSCLC
(1) 타그리소의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병용”
(2) cMET 병용의 핵심은 동반진단
2) ASCO에 이어 2022 ESMO 에서도 주목 받은 ADC
(1) Antibody Drug Conjugate(ADC)란?
(2) 글로벌 관심사 중 단연 으뜸은 ‘엔허투’, 국내 업체 기대감 높아
3) 관련 기업 분석
(1) 에이비온
(2) 레고켐바이오
6. 2022 미국종양학회(ASCO) 돌아보기
1) ADC는 엔허투가 NO.1
(1) ASCO 2022 스포트라이트는 ‘엔허투’
(2) ADC 치료 범위 어디까지 확대 가능할까?
(3) 다이이치산쿄 ADC 성과가 이어지는 이유 vs. 남아있는 숙제
2) 세포치료제의 새로운 도전
(1) Arcellx, CAR-T 세포치료제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까?
(2) Adicet 이 보여준 감마델타(gamma delta) T세포 치료제의 가능성
3) 이중항체, DLBLC 경쟁 치열
(1) Roche, CD20xCD3 이중항체 경쟁력 확대
(2) CD20xCD3 이중항체, 안전성 개선이 중요할 것
4) 국내 기업 발표
(1) 유한양행/얀센
(2) 네오이뮨텍
가. NT-I7±키트루다 진행성 고형암 환자 대상 임상 2a 상 결과
나. NT-I7±티쎈트릭 피부암 임상 1b/2a 상 결과
(3) 에이비온

7. 2021년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해외인식도 조사 결과 분석
1) 조사 개요
2) 바이오헬스 산업 통합 결과
(1) 산업별 응답자 특성/ 한국에 대한 이미지/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이용 경험
(2)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3) 해외 소비자가 평가하는 바이오헬스 산업 선도국가
(4) 한국에 대한 국가별 해외 소비자 이미지
(5)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구매 요인
(6)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사용 후기
(7) 산업별 해외 전문가(종사자) 의견(한국 제품 평가 및 마케팅 개선방안)

8. 세포배양 기술 및 기기와 관련업체 분석
1) 세포배양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가능성
(1) 기본기를 잘 다져놓으면 뭐든 가능한 ‘세포 배양’
(2) 바이오로 지구를 지킨다
(3) 대체육의 미래 대장: 배양육 시장
(4) SK그룹의 새로운 먹거리인 ‘배양육’
(5) 국내도 2023년부터는 세포배양 식품 가능
(6) 궁극적으로는 장기까지
(7) 세포배양기술은 차세대 세포치료제에 있어서도 ‘필수적’
2) 세포배양을 위한 준비
(1) 세포배양을 위한 시스템: 바이오 소부장
가. 세포배양 시스템?
나. 국내외 세포배양 및 배지 시장 규모
다. 바이오 소부장은 국산화부터
2) 세포배양, Cell therapy를 포함한 제약바이오 산업에 관심 제시
3) 기업 분석
(1) 아미코젠
(2) 바이오에프디엔씨
(3) 마이크로디지탈
(4) Thermo Fisher Scientific (TMO)

9. 제약바이오 기초 지식 : 이건 알고가자
1) 전통제약사 과거 성장기반과 그 후
2) 신약개발 기초
3) 신약개발 2022년 기초 업데이트: AI 스크리닝
4) 바이오의약품이 대세인 이유
5) What is 바이오의약품
6) Why 바이오의약품
7) 제약바이오 value chain
8) 산업의 밸류에이션 특징
9) 바이오 회계처리 특징

1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새로운 활로와 과제 분석
1) 코로나시태 바이오헬스 산업의 환경변화
(1) 거시환경 분석
가. 정책적 측면
나. 경제적 측면
다. 사회적 측면
라. 기술적 측면
(2) 코로나19의 바이오헬스 산업 영향
가.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산업 영향
나. 코로나19의 글로벌 제약산업 영향
다.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영향
라. 코로나19의 의료기기 산업 영향
ⓐ 의료기기 글로벌 시장 동향
ⓑ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 코로나19의 국내 의료기기 산업 영향
ⓓ 코로나19 진단시약 주요 기업 개발 현황
ⓔ 국산 의료기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마. 코로나19의 화장품 산업 영향
ⓐ 글로벌 화장품 산업 변화
ⓑ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 국내 화장품 산업 변화
ⓓ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방향
바.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관련 사업 동향 및 정책 현황
ⓐ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동향
ⓑ 주요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사업 관련 정책
사.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헬스케어와 지속가능한 미래 의료
ⓐ 안전한 의료서비스 환경 구축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 마련
ⓑ 공공의료 강화와 지역사회 중심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지원 정책 필요
ⓒ 사전예방적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일차의 료의 혁신,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찾아야0
ⓓ 라이프로그를 활용한 지역사회 기반 보건의료서비스를 통해 건강사회 미래상 제시2
ⓔ 근거기반 디지털헬스케어의 미래 가치, 이제는 함께 찾아야
(3) 수출・통상 및 정책 동향
가. 국내 바이오헬스 수출 동향
나. 코로나19 이후 바이오헬스 신성장 수출 동력
다. 수출 동향 및 통상 정책 모니터링 강화 필요
라. 코로나19 관련 무역변화 및 주요 통상 쟁점
ⓐ 서론
ⓑ 코로나19 관련 의료제품 교역현황 및 각국의 무역조치 현황
ⓒ 코로나19 대응 관련 무역의 역할 및 주요 통상 쟁점
ⓓ 코로나19 백신 접근(확보) 관련 국제사회 노력
ⓔ 결론
마. 포스트 코로나,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R&D 정책
ⓐ 우리에게 ‘포스트 코로나’는 무엇인가?
ⓑ 코로나19 치료제ㆍ백신 개발로 시작된 R&D 지원 정책의 확대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중장기적 R&D 지원 정책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제약 산업 성장을 위해 남겨진 과제
바. 의료기기 수출ㆍ통상 및 정책 동향
ⓐ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 (의료기기산업법)
ⓑ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사. 화장품산업 수출·통상 및 정책 동향
ⓐ 화장품 수출 동향
ⓑ 주요 화장품 정책
ⓒ 주요 화장품 통상 이슈
(4)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R&D 전망
(5)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국민 인식변화와 향후 과제
가. 바이오헬스 산업 대국민 인식조사의 의의
나.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인식
다. 첨단 의료기술에 대한 경험과 인식
라. 코로나19가 바이오헬스 산업에 미친 영향
마.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과제
바. 향후 과제
2)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새로운 방향
(1)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래 전망
가. 원격의료
나. 임상시험과 공장 실사, 기술수출을 위한 가상(Virtual) 공간
다. 백신 시장 성장성 확대, 국가 자급화 노력을 위한 백신 개발 독려
(2) 의료기기 산업 전망
(3) 화장품 산업의 미래 전망
가. 코로나19 시대의 화장품 산업의 변화
나. 연구개발의 영향(방향)
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
라. 화장품 산업의 미래 전망
(4) 국제 의료사업에 대한 영향과 전망
가.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의료환경 변화
나. 포스트코로나 시대 국제의료사업의 전망
나. 포스트코로나 시대 국제의료사업의 전망
다. 국제의료사업의 미래를 위한 제언
(5) 제약바이오산업 정책 과제
가. 산업정책의 개념과 제약바이오산업의 특징
나. 그간 제약바이오산업의 정책과 영향
다. 그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수준의 산업 발전은 여전히 숙제
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제약바이오산업의 정책과제
(6) 국내 의료기기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제
가. ‘K-방역모델’ 성과와 의료기기 산업의 과제
나. 국산 의료기기 사용실태와 극복방안
다. 공공시장에서 국산 의료기기 확대를 위한 노력
라. 병원-기업 협력사례와 발전 방안
마. 저평가된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재평가 필요
바. 결론 : 선순환 생태계를 위한 정책 제언
(7) 화장품 산업 정책과제
(8)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
가. 디지털 기술이 만드는 의료의 혁신
나.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 비대면 헬스케어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
다. 포스트 코로나 :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진화의 중요성
(9) 외국인환자유치 재도약을 위한 시점
가. 우리나라 의료관광의 성장과 코로나19 팬데믹
나. 주요 의료관광 국가들의 코로나19 발생 이후 위기대응 정책
다. 외국인환자 유치 재도약을 위한 제언
3) 글로벌 바이오헬스 전망 및 주요국 정책 분석
(1) 글로벌 기관의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전망
가. 개요
나. 바이오헬스 산업별 전망
ⓐ 의료서비스
ⓑ 제약산업
ⓒ 의료기기 산업
다. 시사점
(2) 주요국 바이오헬스 산업 정책변화 분석
가. 주요국의 바이오헬스 산업 정책 개요
나. 코로나19로 인한 바이오헬스 산업의 환경 및 구조의 변화
다. 미국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 대응
라. EU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 대응
마. 영국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 대응
바. 일본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대응
사. 바이오헬스 산업의 향후 전망 및 정책방향

Ⅱ. 국내외 주요 바이오 제약 시장 분석

1. RNA 치료제 분야
1) 국내외 시장동향과 관련 주요 차트
2) RNA 치료제란?
(1) 무궁무진한 RNA 치료제의 가능성
(2) RNA 치료제 종류
(3) RNA 치료제 주요 기술
3) 글로벌 RNA 치료제 개발 동향
(1) Alnylam, siRNA 치료제의 최고 강자
(2) Ionis의 ASO 기술력을 보여주는 파트너사 리스트
(3) BioNTech, mRNA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다
4) 플랫폼 확보의 중요성
(1) RNA치료제 및 기술 도입 현황
(2) M&A Mega Deal도 기대해볼만 하다
(3) 비상장 기업에 대한 투자도 활발
5) 국내 투자 전략
6) 기업 분석
(1) 에스티팜
가. 기업 평가
나. 2022년 실적 전망
다. 올리고핵산 치료제와 함께 성장할 올리고 CMO
라. RNA 치료제 시장을 내다본 생산 캐파 확대
마. mRNA 플랫폼 기반 자체 R&D 역량 확대
바. 글로벌 1위 규모 바이오의약품 CDMO
(2) 파미셀
가. 뉴클레오시드 실적 고성장 견인
나. 파미셀의 뉴클레오시드를 찾는 이유
다. 우수한 생산 공정 기술력 입증
(3) 올릭스
가, 국내 독보적인 siRNA 기술 보유
나. GalNac-siRNA 플랫폼의 확장성
다. OLX101A, 비대흉터 치료제 임상 2상 결과 기대
라. 안과질환 치료제 OLX301A, OLX301D 임상 진입

2. 간암 치료제, 패러다임의 변화
1) 면역치료제, 간암 시장도 장악
(1) 간암 치료제, 어디까지 개발되었나?
(2) 간암 치료, 전환기 도래
(3) 간암 1차 치료제
가. 넥사바(Sorafenib)
나. 렌비마(Lenvatinib)
다. 티쎈트릭(Atezolizumab)+아바스틴(Bevacizumab)
라. 임핀지(Durvalumab)+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병용
마. 티쎈트릭(Atezolizumab)+카보메틱스(Cabozantinib) 병용
바. 옵디보(Nivolumab)
사. 키트루다(Pembrolizumab)
2) 중국 간암 1차 치료제 승인 현황
3) 간암 2차 치료제
(1) 스티바가(Regorafenib)
(2) 카보메틱스(Cabozantinib)
(3) 사이람자(Ramucirumab)
(4) 옵디보(Nivolumab)
(5) 키트루다(Pembrolizumab)
4) 간암 국소 치료제

3. 항암제 신약 개발 전략
1) 제약산업
(1) 제약산업 개요
(2) 신약 개발 개요
2) FDA 신약 승인 동향
3) 효율적인 신약 개발전략
(1) 바이오마커 활용 영역 확장
(2) 바이오마커 기반 임상시험 설계
4) 시사점

책속에서

머릿말

세계 바이오 시장 규모는 2019년도에는 약 6,266.8억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약 15.83%씩 성장하여 2025년에는 1조 5,134.6억 달러 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및 중국과 같은 국가에서 생명공학 분야의 성장에 기인하는 정부 정책과 약물 규제 경로의 현대화, 임상 연구 표준화, 보험금 급여 상환 정책 개선, 제품 승인 프로세스 가속화 등의 요인에 따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2019년 8개의 고분자형 바이오의약품과 비교해 약 22개의 미국 FDA 승인으로 소분자형 바이오의약품들이 신약 파이프라인을 지배하였으나, 신약 10개 중 4개가 바이오의약품에서 파생된 것으로 희귀 의약품 및 개인 맞춤형 의약품에 대하여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상위 5개 제약회사(화이자, 노바티스, 로슈, 존슨앤존슨, 머크)의 치열한 경쟁 속에 애브비가 순위에 진입하면서 혼전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6년 로슈의 처방의약품 예상 매출액은 610억 달러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처방 의약품판매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6년 존슨앤존슨과 애브비의 약진이 예상되며, 반면 화이자의 2026년 매출 순위는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유전자, 세포 및 조직 치료제 시장은 2019년 18억4,73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41.2%로 성장하여 2025년 146억 4,02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역별 유전자, 세포 및 조직 치료제 시장은 2019년 기준 북아메리카가 10억 5,010만 달러(58% 점유), 유럽 4억 2,870만 달러(23%), 아시아·태평양 3억 5,700만 달러(19%) 순이다.

2020년 기준 글로벌 분자/면역 진단 시스템 시장은 2019년 대비 6.7% 성장한 859.1억 달러를 기록했고, 2025년에는 1,188.1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일상적으로 해오던 진단시험이 크게 줄고, 호흡기질환에 대한 분자진단과 면역분석, 그리고 현장진단(POCT)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는 등 2020년 1분기 이후 글로벌 체외진단 시스템 시장에 변화가 발생했다.

재생의료 세계 시장은 2019년 73.3억 달러 규모를 형성하였으며, 연평균 성장률(CAGR) 15.9%로 빠르게 성장하여 2025년에는 179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시장의 성장은 만성 질환, 유전질환 및 암의 유병률 증가, 재생의료 연구에 대한 투자 증가, 재생의료 제품의 파이프라인 증가 등이 큰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재생의료 국내 시장은 2019년 1조 1762억 원 규모를 형성하였으며, 연평균 성장률(CAGR) 23.8%로 빠르게 성장하여 2025년에는 4조 2,347억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기능성 화장품 세계 시장규모는 2019년 4,203억 1,700만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6.0%씩 성장하여 2025년에는 5,578억 9,90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 불황에도 불구하고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는 미래 유망산업으로, 특히 새로운 소비트렌드 부상과 유통 채널의 다양한 발전 가능성으로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향후 유통시장의 디지털 전환, 라이브 커머스 등의 활용으로 2021년부터 시장규모는 반등하면서 향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본 보고서에는 바이오 의약품 및 관련 소재, 그리고 바이오의약품 관련 장치 및 시스템, 기능성화장품 등 폭넓게 자료를 갖추려고 노력하였다. 관련 업계에 계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