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299743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3-07-03
책 소개
목차
●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들어가며
1. 『금강경』을 우리는 왜 알아야 할까
‘금강’과도 같은 지혜
언어와 분별의 세계를 넘어
2. 『금강경』은 왜 만들어졌을까
법회가 열리던 날
‘반야바라밀’을 설하는 까닭
3. 『금강경』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아상의 타파
머무름이 없는 보시
법에 대한 집착
여래의 형상
수행자의 단계
공덕의 우위
얻을 것이 없다
마음은 ‘꿈’ 같은 것
4. 『금강경』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어머니의 불자 수첩
자아 찾기 열풍의 이면
가장 친한 사이 ‘아상’의 덫
차별과 경계 짓기의 허상
● 인문학 독자를 위한 법화경
들어가며
1. 『법화경』을 우리는 왜 알아야 할까
불교 경전은 왜 이렇게 많을까
방편과 진실의 이중주
성불하세요
붓다의, 붓다에 의한, 붓다를 위한 가르침
붓다의 이야기 – 우리의 이야기
2. 『법화경』은 왜 만들어졌을까
『법화경』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불설이란 무엇일까
『법화경』은 어떻게 전해졌을까
『법화경』은 어떤 배경에서 출현했을까
『법화경』의 문제의식은 무엇일까
3. 『법화경』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붓다가 이 세상에 오신 까닭
비유로 밝히는 일불승의 의미
모두가 성불하리라
법의 스승
언제나 우리 곁에 머무는 붓다
중생의 어머니 - 관세음보살
4. 『법화경』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법화경』과 나의 삶
『법화경』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법화경』을 실천하는 삶
● 인문학 독자를 위한 화엄경
들어가며
1. 『화엄경』을 우리는 왜 알아야 할까
왜 『화엄경』일까
불교의 목표와 방법과 내용
불설과 설불
덮느냐, 마느냐, 이것이 문제로다
이 책이 의지하는 곳
2. 『화엄경』은 왜 만들어졌을까
『화엄경』은 무엇일까
언설 『화엄경』
‘나’의 참모습 – 유심
3. 『화엄경』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안다는 것
『화엄경』의 편찬
보석함과 똥통
세계의 참모습, 법계연기
믿음과 초발심
여래출현인 서원
서원의 시작과 끝 - 『화엄경』 읽기
4. 『화엄경』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업(業)에서 원(願)으로
『80일간의 세계 일주』와 『화엄경』
저자소개
책속에서
불교적 지혜는 내 눈에 덧씌워진 모든 분별을 걷어내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이 세상에서 ‘나’에 대한 관념만큼 뿌리 깊고 무서운 것이 ‘진리’에 대한 믿음이 아닐런지요. 지금 『금강경』에서는 그 집착을 버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법이라 부르는 것조차 하나의 이름일 뿐입니다. 궁극적으로는 해탈과 열반 역시 이름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말합니다.
“나의 설법은 뗏목과 같은 줄 알아라. 법도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법 아닌 것이랴!” -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깨달음이란 온 것도 간 것도 아니고, 생겨나는 것도 사라지는 것도 아닙니다. 내 마음을 가리던 구름이 사라지면, 마음은 본래 평온한 것이었음을 알게 됩니다. 탐욕‧분노‧어리석음의 번뇌로 얼룩진 사이에도 언제나 밝게 빛나고 있는 것이 우리의 마음입니다. -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