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테마 한국불교 7

테마 한국불교 7

김용태, 조윤경, 이수미, 이자랑, 김호귀, 박광연, 박보람, 김기종, 김기종 (지은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엮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테마 한국불교 7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테마 한국불교 7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19736
· 쪽수 : 363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로컬과 글로벌이 융합된 한국불교의 글로컬한 특성을 ‘변용의 확장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3단계 아젠다 연구의 첫 결실이다. 한국불교의 장기 지속 및 시대적 변화상은 물론 인도 이후 동아시아 세계 속에서의 횡단 문화적 지형과 그로부터 도출된 한국적 특성을 동시에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_ 김종욱 / 5
총 설_ 김용태 / 15

제1부 인물과 문헌
원효元曉 _ 조윤경 / 39
Ⅰ. 원효의 생애와 저술 / 40
Ⅱ. 화쟁和諍과 회통會通 / 47
Ⅲ. 일심一心과 무애無? / 63
Ⅳ. 동아시아에 미친 원효의 영향 / 71
원측圓測 _ 이수미 / 83
Ⅰ. 원측의 생애와 법상유식종 / 84
Ⅱ. 원측의 저술과 사상 / 93
Ⅲ. 원측 교학과 동아시아·티베트 불교 / 102
Ⅳ. 원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111
범망경梵網經 _ 이자랑 / 123
Ⅰ. 보살계의 수용과 『범망경』의 탄생 / 124
Ⅱ. 『범망경』의 구성과 내용 / 131
Ⅲ. 『범망경』의 동아시아 유포와 주석서 / 141
Ⅳ. 범망계의 수지와 한국적 실천 / 150
고승전高僧傳 _ 김호귀 / 163
Ⅰ. 고승전이란 무엇인가 / 164
Ⅱ. 동아시아 고승전의 출현과 전승 / 171
Ⅲ. 한국의 고승전과 선종의 계보 / 188
Ⅳ. 고승전의 인물과 시대성 / 197

제2부 종교와 문화
영험靈驗 _ 박광연 / 211
Ⅰ. 불교의 감응관과 중국적 변용 / 212
Ⅱ. 삼국 및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적 영험관 / 217
Ⅲ. 고려시대의 불교적 영험관 / 224
Ⅳ. 조선시대의 불교적 영험관 / 228
디지털인문학 _ 박보람 / 237
Ⅰ. 디지털인문학이란? / 238
Ⅱ. 디지털인문학의 구분과 현황 / 246
Ⅲ.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불교학의 대응 / 258
불교가사佛敎歌辭 _ 김기종 / 279
Ⅰ. 가사문학과 불교가사 / 280
Ⅱ. 17·18세기 불교가사의 판각 / 286
Ⅲ. 19세기 불교가사의 대중화 / 303
Ⅳ. 20세기 불교가사의 새로운 전개 / 317
재회齋會 _ 김성순 / 335
Ⅰ. 재회齋會의 의미와 기원 / 336
Ⅱ. 한국불교 재회의 종류와 구성 / 344
Ⅲ. 망자의 천도를 위한 재회 / 349
Ⅳ. 사후를 대비하는 산 자들의 재회 / 357

저자소개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자랑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인도철학·불교학 석사 및 박사 과정 졸업. 「초기불교교단의 연구-승단의 분열과 부파의 성립」으로 문학박사 학위 취득. 일본 도쿄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 『나를 일깨우는 계율이야기』, 『붓다와 39인의 제자』,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불교교단사론』, 『열반경 연구』 등의 번역서,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에 관한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불교학술진흥상(2007), 불이상(2015)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기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BK21 한국어문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보고사, 2010),『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보고사, 2014),『불교와 한글: 글로컬리티의 문화사』(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역주) 월인천강지곡』(보고사, 2018),『한국 고전문학과 불교』(동국대학교 출판부, 2019.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일본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중국 송대(宋代)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했다. 대원불교문화상 대상과 원효학술상 대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및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로 있다.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조선시대 불교를 연구하고, 근대불교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박광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박사. 한국고대사, 불교사상사 전공. 서울대학교 규장학한국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역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국사학과 조교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논저|<신라 법화사상사 연구>(2013, 혜안), <테마한국불교 1~7>(2013~2019, 동국대출판부, 공저), <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중국문헌편>(2014, 동국대출판부, 공역), <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2015, 동국대출판부, 공역), <동아시아 종파불교-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2016, 민족사, 공저), <거란 불교사 연구>(2020, CIR, 공역) 등의 저서와 번역서가 있다. 진표(眞表)와 신라 찬술문헌들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신라 불교문화의 글로컬리티를 찾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불교 교단, 미륵, 보살계, 신라하대 불교문화, 불교사 사료 비판 및 활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수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동아시아 유식불교 전공, 미국 UCLA 박사, 동국대 HK연구교수 역임. “The Meaning of ‘Mind-made Body’(S. manomaya-kāya, C. yisheng shen 意生身) in Buddhist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s,” 「공유논쟁空有論爭을 통해 본 원효元曉의 기신론관起信論觀 재고」, “Redefining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and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의 전통적 이분법에 관한 제문제」, “On the Ālayavijn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Comparing and Contrasting Wŏnhyo and Fazang’s Views o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nāna”
펼치기
이수미의 다른 책 >
조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부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를, 중국 베이징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오랫동안 길장의 저술로 여겨졌던 『대승현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길장 사상을 새롭게 읽어내고, 한국 철학의 원형을 구성하는 고구려 승랑과 백제 혜균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한국불교학연구』(공저, 2022), 『깨달음 논쟁』(공저, 2018), 「중층과 호환 ― 3중이제설과 4중이제설의 구조적 이해」(2023), 「고구려 승랑의 융합적 사유 ― 중가의(中假義)와 이교의(理敎義)」(2022), 「원효와 혜균의 만남과 대화 ― 원효의 화쟁·회통에 보이는 혜균의 변증법적 논리를 중심으로」(2019), 「『大乘玄論』 길장 찬술설에 대한 재고찰 ― 「二諦義」를 중심으로」(2014) 등이 있다.
펼치기
박보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 철학과 부교수. 『화엄경』과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에서 형성된 화엄종의 사상이 주된 공부 분야이다. 특히 한국 불교의 주축을 이루는 의상 스님과 그 법손들이 이야기하는 지금, 여기의 '나'가 조금도 모자람 없는 여래라는 여래출현설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이해하고 삶에서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1년 동국대에서 「화엄교의 일체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번뇌를 끊음이라는 번뇌를 끊음 없다는…… ‒의상화엄의 단혹설‒」, 「‘불교’란 무엇인가?-초기화엄교학의 교체설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기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전통문화대 강사, 동아시아불교 전공, 서울대 종교학과 박사, 전남대 강사 역임. 『왕생요집』 譯(불광출판사, 2019), 『돈황학대사전』 共譯(소명출판사,2016),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연구: 천태교단을 중심으로』(비움과 소통, 2014), 「동아시아불교의 발우공양 의례 ― 보시와 자비의 각인 ―」, 「중세 불교결사에서 근세 종단으로: 융통염불 강講과 융통염불종」, 「조선후기 염불결사의 수행문화 고찰 : 재가자의 참여에 따른 영향을 중심으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