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93116326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3-05-31
목차
00. 들어가며
밖에서 보는 KBS는 가라앉는 타이타닉 같았습니다
올드미디어의 중심에서 뉴미디어를 외치다
01. 소개 레거시 미디어가 직면한 위기
1.1. 방송사의 도전
1.2.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
1.2.1 YouTube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부상
1.2.2. 넷플릭스와 스트리밍 혁명
1.2.3. Spotify와 오디오 환경의 변화
1.2.4.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레거시 미디어의 초기 대응
1.3. AI, 뉴미디어, 그리고 산업 혁신
1.4. 재창조와 적응의 필요성
02. ChatGPT & 바드:
레거시 미디어를 위한 새로운 연합
2.1. ChatGPT와 바드의 적용 및 이점
2.2. AI와 인간 간의 협업
2.3. AI 기반 콘텐츠 제작
2.4. AI를 통한 인간의 전문성 향상
2.5. 윤리적 고려 사항 및 과제
03. 방송에서 진화하는 역할 : 아나운서, 기자, PD, 방송작가, 카메라 감독, 음향, 조명 감독
3.1. 아나운서: 새로운 포맷과 기술에 적응하기
3.2. 기자: 멀티미디어 저널리즘과 스토리텔링 수용하기
3.3. PD: 디지털 콘텐츠 제작으로의 전환 탐색하기
3.4. 방송작가: 디지털 시대에 맞는 매력적인 콘텐츠 제작하기
3.5. 기술 감독 (카메라 감독, 음향 감독, 조명 감독): 변화하는 업계에서 새로운 기술 습득하기
04. 사례 연구:
레거시 미디어의 성공적인 적응
4.1. CNN: 선구적인 디지털 뉴스 플랫폼
4.2. BBC: 디지털 시대를 위한 공공 서비스 방송의 혁신
4.3. 뉴욕 타임즈: 인쇄에서 디지털로의 전환 탐색
4.4. MBC: 한국 방송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수용하기
4.5. SBS: 한국의 뉴미디어 혁신과 적응
4.6. KBS: 디지털 시대를 위한 한국 방송의 재창조
4.7. NHK: 일본의 뉴미디어 적응
4.8. 레거시 미디어의 뉴미디어 통합: 교훈과 전략
05. 협업과 공존: 레거시 미디어의 미래
5.1.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 및 포맷 활용
5.2. 상호 이익이 되는 파트너십 구축
5.3. 이커머스, 가상 이벤트 등으로의 확장
5.4. 협업 성공 사례 레거시 미디어와 뉴미디어의 만남
5.4.1. YouTube: 새로운 콘텐츠 제작자 및 배포 채널 포용하기
5.4.2.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를 위한 기존 스튜디오와의 파트너십
5.4.3. Spotify: 레거시 미디어 팟캐스트를 통한 오디오 콘텐츠 확장
5.4.4. Disney+: 클래식 콘텐츠를 최신 스트리밍 플랫폼에 통합하기
5.5. 개인화 및 타겟팅 콘텐츠에 AI 사용
06. AI와의 공존: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인간 아나운서
6.1. AI 아나운서의 등장! 인간 아나운서의 위기?
6.2. 스크립트 작성 및 사실 확인에 AI 활용하기
6.3. 라이브 이벤트 및 인터뷰를 위한 AI와의 협업
6.4. AI 기반 인사이트를 통한 시청자 참여도 향상
6.5. 팟캐스트, 라이브 스트리밍 및 대화형 포맷으로 확장하기
6.6. 지속적인 학습 및 기술 개발
07. AI와의 공존: 새로운 환경 속 창작자 PD
7.1. 디지털 시대에 PD의 역할 재창조
7.2. AI 기반 콘텐츠 기획 및 스케줄링
7.3. AI를 활용한 다기능 팀 구축
7.4.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활용
7.5. 효율적인 포스트 프로덕션을 위한 AI 구현
08. AI와 공존하기:
AI와의 경쟁이 아닌, 활용하는 저널리스트
8.1. AI를 활용한 연구 및 데이터 분석
8.2. AI를 활용한 협업 스토리텔링
8.3. AI 도구를 통한 탐사 저널리즘 강화
8.4. 새로운 보도 형식과 플랫폼에 적응하기
8.5. AI 기반 저널리즘의 정확성 및 윤리적 고려 사항 보장
09. 결론 레거시 미디어의 나아갈 길 찾기
9.1. 변화 수용과 전문가 역할의 재창조
9.2. 탄력적이고 적응력 있는 방송 산업 구축하기
9.3. 협업과 파트너십의 중요성
9.4. 혁신과 창의성 육성
9.5. AI와 뉴미디어를 통한 방송의 미래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