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국내 진학/취업
· ISBN : 9791193135068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3-10-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보건의료정보관리사를 꿈꾸는 후배들에게
제1장. 생소한 직업,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이해하기
보건의료정보관리사를 아시나요?
나의 롤 모델을 만나다
내가 하고 싶은 일, 나에게 맞는 직업을 찾다
의학의 역사가 곧 의무기록의 역사다
보건의료정보관리사(HIM)는 어떤 직업일까?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되려면?
부록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교육과정 인증 대학 목록
부록 보건의료정보 관리 필수 이수 교과목
부록 면허 응시 자격 및 시험 방법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취업이 잘 될까?
부록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취업 및 활동 근무자 분포 현황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근무 환경은 어떨까?
제2장. 병원에서 일하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첫걸음
새내기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의무기록 정보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될까?
진료 과정과 의무기록 작성 이해하기
충실한 의무기록을 위해 의사와의 협력은 필수다
의무기록이 지닌 법적 중요성
코딩은 HIM의 핵심 업무
코딩 업무, 실제 적용 원칙과 사례
가치 있는 보건의료정보 생성,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
제3장. 보건의료정보관리사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보건의료정보관리 전문가 되기
HIM은 병원 내 정보 지원 창구 역할자
잘 개발된 서식이 양질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체계화된 용어 마스터 관리는 표준화의 기반이다
데이터 활용을 위한 의료정보 표준화 활동
임상연구 데이터 분석 및 정보 활용 지원
제4장. 지능정보사회, 미래의 보건의료정보관리사로 발돋움하기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보건의료정보 관리의 중요성
HIM의 업무 변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의료정보기술 기반의 활용 지원 활동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미래와 전망
제5장.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어떤 분야에서, 어떻게 일하는가?
통계청
한국보건의료정보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Global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대학교
미군병원
해외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에필로그_ 미래의 보건의료정보관리사로서의 성장을 위해
저자소개
책속에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보건복지부 면허를 취득한 전문 직종이며, 주된 업무는 의무기록 보건의료정보를 분류하고 확인하고 유지하며 관리하는 일이다. 지금은 명칭이 바뀌어 더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데, 이전 명칭은 ‘의무기록사’로, 아마 병원에서 보험금 청구 목적으로 의무기록을 발급받아 본 경험이 있다면 ‘의무기록’이란 단어는 들어봤을 것이다. 바로 이 의무기록과 보건의료정보를 관리하는 사람이 보건의료정보관리사다. 즉,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환자에 관한 진료와 치료 내용 등이 기재된 의무기록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생성되도록 품질을 관리하고, 가치 있는 보건의료정보를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인턴 과정이 끝나갈 무렵, 생각지도 못한 기회가 왔다. 세브란스병원의 정규직 의무기록사 채용 소식이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정규직 채 용이 없었는데, 인턴 과정을 마칠 때쯤 찾아온 기회였다. 꼭 합격하고 싶어 최선을 다해 준비했고, 그렇게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세브란스 병원 의무기록사로 합격하였다. … (중략) … 꿈에 그리던 세브란스병원에 입사하여 23년 동안 한자리에서 꾸준히 일을 할 수 있었던 건 내 인생의 큰 행운이었다. 나를 이해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나에게 맞는 일이 무엇일까 끝없이 고민하며, 원하는 목표를 세우고 인내심을 갖고 노력하며 준비할 때 행운의 기회가 찾아올 것이다.
이후 2000년대 들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도입이 확대되고 의료정보기술 발달 등 의료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의무기록사의 업무 영역도 확장되고 업무 범위도 점차 전문화되었다. 이에 2018년 12월 20일부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건의료정보관리사’로 면허 명칭이 개정되었다. 보통 전문직이라 하면, 어떤 분야나 학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직업으로 공식적인 자격을 필요로 하는 직업에 적용된다.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역시 전문직으로 그 정의와 역할, 업무 범위를 법으로 정하고 있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1조의2에 따르면 ‘보건의료정보관리사란 의료 및 보건지도 등에 관한 기록 및 정보의 분류·확인·유지·관리를 주된 업무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법에서 정한 업무는 보건의료정보의 분석, 보건의료정보의 전사, 암등록, 진료 통계 관리, 질병·사인·의료행위의 분류로 구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