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3155844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5-03-0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7
저자 서문 / 17
제1장 그리스도교란 무엇인가? / 23
제2장 그리스도교의 이름이 된 그리스도의 의미 / 37
제3장 유대인들의 포로기에 대한 세계관 이해 / 45
제4장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의미 / 57
제5장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한 하나님 나라 / 71
제6장 예수의 십자가 처형 / 83
제7장 예수의 부활 / 109
제8장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믿음의 공동체: 교회 / 117
제9장 그리스도교의 ‘왕’, ‘주’ 예수 / 123
성구 색인 / 141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선언은 예수가 자신을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을 위한 메시아로 인식했음을 분명히 보여 준다. 그의 메시아적 사명은 단순히 종교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자들을 위한 해방과 회복의 메시지로 정의됐다.”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로마 제국의 억압으로부터 자신들을 해방시키기를 열망했다. 그러나 예수는 더 깊은 문제, 곧 구약성서에서 아담과 하와의 타락 이후 모든 인류를 지배해 온 ‘죄’라는 세력으로부터의 해방을 추구했다. 이는 정치적이고 물리적인 해방을 넘어선,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메시아적 사명을 반영한다.”
“한국 개신교에서는 ‘나를 위한’ 죽음으로 이해하는 것이 익숙하지만 바울은 예수의 죽음을 ‘우리를 위한’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예수의 희생이 개인을 넘어 공동체와 인류 전체를 위한 것임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