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9322800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07-2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약에 파묻혀 사는 당신이 놓치고 있는 것들
1장 여성 건강 — 내 몸이 더 슬퍼지기 전에 챙겨야 할 것들
다이어트 • 변비 • 피부 노화 • 햇빛 화상 • 기미, 주근깨 • 탈모와 비오틴 • 빈혈 • 생리통 • 생리전증후군 • 경구피임 • 여성 임신 준비 • 임신 관리 • 산후 비만 • 질염 • 피로 • 여성 갱년기 • 갑상샘기능저하증 • 갑상샘기능항진증 • 골다공증
오늘 건강 챙겼니? ❶ 건강기능식품 라벨 읽는 법
오늘 건강 챙겼니? ❷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의약품 라벨 표시 차이
2장 남성 건강 — 건강한 나날을 위한 아주 특별한 동반자
남성형 탈모 • 복부 비만 • 중성지방 • 숙취 • 근력 관리 • 근육 경련 • 관절 연골 • 전립선비대증 • 성 기능 장애 • 남성 갱년기 • 남성 임신 준비 • 고혈압 • 당뇨병 • 위장병 • 과민대장증후군 • 수면 장애 • 구취 • 눈의 피로 • 스트레스
오늘 건강 챙겼니? ❸ 영양 보충제, 언제 어떻게 먹어야 할까
오늘 건강 챙겼니? ❹ 영양 보충제, 얼마나 먹어야 할까
3장 어린이 건강 — 성장의 결과를 바꾸는 영양 충전의 비밀
키 성장 • 편식 • 감기 • 영유아 빈혈 • 아토피 피부염 • 기관지 천식 • 알레르기 비염 • 칼슘 결핍증 • 어린이 수면 장애 • 어린이 변비 • 카페인 중독 • 여드름 • 성조숙증 • 항생제 부작용
오늘 건강 챙겼니? ❺ 어린이 영양 보충제 안전 복용 수칙
오늘 건강 챙겼니? ❻ 프로바이오틱스 종류와 균주명의 의미
4장 노년층 건강 — 질병을 이기고 활력을 채우는 노쇠 관리법
대상포진 • 혈압 관리 • 당뇨병 합병증 • 녹내장 • 백내장 • 안구건조증 • 혈액 순환 • 퇴행성 관절염 • 류머티스 관절염 • 근감소증 • 구내염 • 이명 • 이석증 • 콜레스테롤 • 과민성 방광 • 셀레늄과 암 치료 • 기억력 감퇴
오늘 건강 챙겼니? ❼ 영양 보충제를 끊어야 하는 세 가지 신호
오늘 건강 챙겼니? ❽ 필수 영양소 음식으로 섭취하는 법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칼슘을 섭취하면 다이어트에 도움 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얘기입니다. 다이어트를 하면서 뼈 건강 관리 목적으로 칼슘을 섭취할 수 있지만, 온전히 다이어트 목적으로 칼슘 보충제 섭취를 권하진 않아요. 칼슘이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두 가지 이론이 있어요. 하나는, 식이 칼슘 섭취량이 부족하면 지방의 합성이 촉진되고 분해가 억제된다는 이론이에요. 다른 하나는, 칼슘 영양 보충제를 먹으면 지방 배출량이 늘어나 체지방이 줄어든다는 이론이에요. 몸속에서 흡수되지 않은 칼슘이 지방과 복합체를 형성해 대변으로 배출되면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는 거죠. 두 가지 모두 이론적 설명에 불과하고 실제 효과가 있는지 입증되지 않았어요. 당연히 인체적용시험에서도 긍정적 결과를 얻지 못했고요.
콜라겐은 관절 통증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어요. 연골의 구성 물질인 콜라겐은 연골의 물리적 강도 유지를 도와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이게 해줘요. 하지만 피부의 콜라겐은 주로 1형과 3형 콜라겐이고 관절의 콜라겐은 2형 콜라겐으로서 특성이 달라요.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피부 건강 기능성과 관절 건강 기능성이 모두 검증되지 않은 이상, 피부 건강 기능성 콜라겐을 먹는다고 관절 건강이 개선되진 않아요. 콜라겐으로 피부와 관절을 모두 챙기고 싶다면 두 가지 기능성이 모두 표시된 제품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권장량의 칼슘을 섭취하지 않으면 연령대에 맞는 최대 골밀도가 형성되지 않아 향후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이 큽니다. 인간의 골밀도는 10대 청소년기에 가장 크게 증가하고 30세 중반부터 서서히 감소해요.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시기는 골밀도가 상승하는 10~20대예요. 이후에는 권장량의 칼슘을 섭취해 연령대에 해당하는 골밀도 ‘감소 속도’를 유지하는 거죠. 바꿔 말하면 젊은 시절만큼 골밀도를 높이기 위해 칼슘을 챙기는 게 아닙니다. 골다공증은 연령대별 적정 수치보다 골밀도가 빠르게 감소해 골절 위험이 커지는 증상이라 할 수 있어요. 특히 여성은 폐경 이후 뼈를 분해하고 흡수하는 파골 세포의 활동성이 높아져 남성보다 빠른 속도로 골밀도가 감소하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