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최신 경찰학

최신 경찰학

(제5판)

임창호, 정세종, 라광현 (지은이)
도서출판자운
4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7,000원 -0% 0원
470원
46,530원 >
47,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4,700원
4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최신 경찰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최신 경찰학 (제5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3321188
· 쪽수 : 1212쪽
· 출판일 : 2025-03-04

책 소개

그동안 개정된 많은 법령을 확인해서 반영하였다. 문장으로는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도표화하였다. 제2장 한국경찰의 역사와 관련하여 자랑스러운 경찰정신의 표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제01장 경찰학의 학문적 기초

제1절 경찰학의 개념 및 발전과정 3
Ⅰ. 경찰 및 경찰학의 개념 3
Ⅱ. 경찰학의 기원 및 발전 5
Ⅲ. 한국 경찰학의 발전과정 12
제2절 경찰학의 학문적 성격 및 접근방법 13
Ⅰ. 경찰학의 학문적 성격 13
Ⅱ. 경찰학의 정체성 14
Ⅲ. 경찰학의 접근방법 15
Ⅳ. 경찰학 연구방법론 18
제3절 경찰 개념의 분류 및 역사적 변화 24
Ⅰ.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 24
Ⅱ. 대륙법계 경찰과 영미법계 경찰 26
Ⅲ. (대륙법계) 경찰 개념의 역사적 변화 28
Ⅳ. 경찰의 분류 32
제4절 경찰의 핵심가치 37
Ⅰ. 경찰 핵심가치의 개념 37
Ⅱ. 경찰 핵심가치의 종류 38
제5절 민주적 경찰활동 42
Ⅰ. 민주적 경찰활동의 개념 및 구성요소 42
Ⅱ. 절차적 공정성의 개념 및 주요 모델 44
Ⅲ. 경찰 정당성의 개념 및 주요 모델 45
제6절 경찰의 임무 및 수단 47
Ⅰ. 경찰의 임무 47
Ⅱ. 경찰기능의 유형 53
Ⅲ. 경찰의 수단 54
제7절 경찰의 관할 57
Ⅰ. 경찰관할의 개념 57
Ⅱ. 경찰의 사물관할 57
Ⅲ. 경찰의 인적 관할 57
Ⅳ. 경찰의 지역관할 58

제02장 한국경찰의 역사

제1절 한국경찰사의 기초 67
Ⅰ. 한국경찰사의 학습 목적 67
Ⅱ. 한국경찰사의 시대적 구분 67
제2절 갑오개혁 이전 시대의 경찰 68
Ⅰ. 개 요 68
Ⅱ. 부족국가시대의 경찰제도 69
Ⅲ. 삼국시대의 경찰제도 71
Ⅳ. 통일신라시대의 경찰제도 73
Ⅴ. 발해의 경찰제도 74
Ⅵ. 고려시대의 경찰제도 75
Ⅶ. 조선시대 초기의 경찰제도 78
제3절 갑오개혁 이후 한일합병 이전 시대의 경찰 82
Ⅰ. 개 요 82
Ⅱ. 근대경찰 창설 82
Ⅲ. 한국경찰권 상실 86
제4절 일제강점기의 경찰 90
Ⅰ. 개 요 90
Ⅱ. 조선총독부 시대의 헌병경찰제도(무단통치기) 91
Ⅲ. 3.1 운동 이후의 보통경찰제도(문화통치기) 94
Ⅳ. 전시경찰제도(민족말살기) 95
Ⅴ.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찰 96
제5절 미군정 시대의 경찰 98
Ⅰ. 개 요 98
Ⅱ. 미군정 시대의 경찰조직 정비 99
Ⅲ. 군정경찰의 시대적 구분과 경찰 개편 99
제6절 치안국 시대의 경찰 101
Ⅰ. 개 요 101
Ⅱ. 치안국 시대의 경찰조직 102
Ⅲ. 6.25 동란과 경찰 103
Ⅳ. 1953년 휴전 이후~4.19 혁명 이전 .
Ⅴ. 1960년 4.19 혁명 이후~1961년 5.16 군사정변 이전 105
Ⅵ.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105
제7절 치안본부 시대의 경찰 107
Ⅰ. 치안본부로 승격 107
Ⅱ. 유 신 기 107
Ⅲ. 과 도 기 107
Ⅳ. 격 동 기 107
Ⅴ. 민주화기 108
제8절 경찰청 시대의 경찰 108
Ⅰ. 1991년 .경찰법.의 주요 내용 108
Ⅱ. 내무부 소속 경찰청 109
Ⅲ. 행정자치부 소속 경찰청 110
Ⅳ. 이명박 정부~문재인 정부의 경찰제도 111
제9절 자랑스러운 경찰정신의 표상 116
Ⅰ. 대한민국 임시정부경찰 116
Ⅱ. 독립운동가 출신 경찰 117
Ⅲ. 구국경찰 118
Ⅳ. 민주인권경찰 119
Ⅴ. 민생경찰 120

제03장 외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1절 비교경찰제도의 기초 125
Ⅰ. 비교경찰제도의 학습목적 125
Ⅱ. 경찰제도의 세 가지 패러다임 126
제2절 영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128
Ⅰ. 영국경찰의 역사 128
Ⅱ. 영국경찰의 제도 137
제3절 미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144
Ⅰ. 미국경찰의 역사 144
Ⅱ. 미국경찰의 제도 152
제4절 독일경찰의 역사와 제도 158
Ⅰ. 독일경찰의 역사 158
Ⅱ. 독일경찰의 제도 160
제5절 프랑스경찰의 역사와 제도 162
Ⅰ. 프랑스경찰의 역사 162
Ⅱ. 프랑스경찰의 제도 165
제6절 일본경찰의 역사와 제도 167
Ⅰ. 일본경찰의 역사 168
Ⅱ. 일본경찰의 제도 171
제7절 외국경찰의 수사제도 176
Ⅰ. 영 국 176
Ⅱ. 미 국 176
Ⅲ. 독 일 177
Ⅳ. 프랑스 177
Ⅴ. 일 본 178

제04장 경찰과 행정(1)

제1절 경찰행정의 기초 183
Ⅰ. 행정과 경찰행정의 개념 및 특성 183
Ⅱ. 경찰행정의 과정 184
Ⅲ. 경찰행정의 10가지 지도원리 185
Ⅳ. 경찰행정과 환경의 상호작용 186
Ⅴ. 경찰관리자의 역할 및 자질 188
제2절 경찰정책과정 및 기획 188
Ⅰ. 경찰정책과 경찰정책과정 188
Ⅱ. 경찰정책결정 모델 189
Ⅲ. 경찰정책집행 194
Ⅳ. 경찰정책평가 194
Ⅴ. 경찰기획 195
제3절 경찰조직관리 197
Ⅰ. 경찰조직관리의 개념 및 기본원리 197
Ⅱ. 경찰조직의 유형 198
Ⅲ. 경찰조직의 원리 200
Ⅳ. 경찰조직이론 203
Ⅴ. 경찰조직과 리더십 217
Ⅵ. 경찰조직과 동기부여이론 224
Ⅶ. 경찰조직과 의사소통 228
Ⅷ. 경찰조직의 하위문화 231
Ⅸ. 경찰조직의 개혁 233
제4절 경찰인사관리 235
Ⅰ. 경찰인사관리의 개념 및 제도적 기반 235
Ⅱ. 경찰공무원 채용 239
Ⅲ. 경찰공무원 교육훈련 248
Ⅳ. 경찰공무원 보직관리 249
Ⅴ. 경찰공무원 근무성적평정 250
Ⅵ. 경찰공무원 승진 253
Ⅶ. 경찰공무원 징계 258

제05장 경찰과 행정(2)

제1절 경찰예산관리 275
Ⅰ. 경찰예산의 개념 및 원칙 275
Ⅱ. 경찰예산의 유형 276
Ⅲ. 경찰예산제도의 종류 277
Ⅳ. 경찰예산결정이론 280
Ⅴ. 경찰예산과정 280
Ⅵ. 예산의 탄력적 집행제도 283
제2절 경찰장비 및 문서관리 285
Ⅰ. 경찰장비관리 285
Ⅱ. 경찰문서관리 289
제3절 경찰보안관리 291
Ⅰ. 경찰보안관리의 개념 및 원칙 291
Ⅱ. 보호지역의 설정 및 구분 292
Ⅲ. 비밀의 구분 및 취급 293
제4절 경찰홍보관리 298
Ⅰ. 경찰홍보의 개념 및 가치 298
Ⅱ. 경찰홍보의 종류 298
Ⅲ.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300
제5절 경찰윤리 304
Ⅰ. 경찰윤리의 개념 및 근원 304
Ⅱ. 경찰활동의 사상적 토대 306
Ⅲ. 경찰부패의 원인 가설 및 관련 법규 308
Ⅳ. 경찰 전문직업화와 윤리교육 315
Ⅴ. 경찰활동의 도덕적 표준 318
Ⅵ. .공직자윤리법. 321
Ⅶ.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322
Ⅷ.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326
Ⅸ. 경찰윤리강령 328
Ⅹ. .경찰공무원 복무규정. 330
XI. .경찰청 공무원 행동강령. 332
XII. .경찰청 적극행정 면책제도 운영규정. 336
XIII. .경찰기관 상시근무 공무원의 근무시간 등에 관한 규칙. 338
제6절 경찰 통제 338
Ⅰ. 경찰통제의 개념 및 기본요소 338
Ⅱ. 민주적 통제와 사법적 통제 339
Ⅲ. 사전적 통제와 사후적 통제 341
Ⅳ. 내부적 통제와 외부적 통제 341
제7절 공공기관 정보공개와 개인정보 보호 348
Ⅰ.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348
Ⅱ. 개인정보 보호 352

제06장 경찰행정과 법(1)

제1절 경찰행정법의 기초 361
Ⅰ. 행정법 및 경찰행정법의 개념과 특성 361
Ⅱ. 법치주의와 법치행정 362
Ⅲ. 통치행위 364
Ⅳ. 경찰행정법의 법원 366
Ⅴ. 경찰행정법의 일반원칙 369
Ⅵ. 경찰행정법의 효력 373
Ⅶ. 경찰행정상 법률관계 375
Ⅷ. 행정법상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383
제2절 경찰조직법 389
Ⅰ. 경찰조직법의 개념 389
Ⅱ. 경찰행정기관 390
Ⅲ. 경찰행정청 상호 간의 관계 409
제3절 경찰공무원법 417
Ⅰ. 경찰공무원법의 개념 및 특성 417
Ⅱ. 경찰공무원의 개념 및 분류 417
Ⅲ. 경찰공무원의 임용권자 419
Ⅳ. 경찰공무원의 근무관계 420
Ⅴ. 경찰공무원의 권리 429
Ⅵ. 경찰공무원의 권익보장제도 432
Ⅶ. 경찰공무원의 의무 439
Ⅷ. 경찰공무원의 책임 445

제07장 경찰행정과 법(2)

제1절 경찰작용법의 기초 451
Ⅰ. 경찰작용법의 개념 451
Ⅱ. 경찰상 행정입법 452
Ⅲ. 경찰권 발동의 근거와 조리상 한계 460
Ⅳ. 행정계획 468
제2절 경찰상 행정행위 470
Ⅰ. 경찰상 행정행위의 개념 및 특성 470
Ⅱ. 경찰상 행정행위의 종류 471
Ⅲ. 재량행위와 재량권 473
Ⅳ. 경찰상 행정행위의 내용 476
Ⅴ. 경찰상 행정행위의 성립요건, 적법요건, 효력발생요건 483
Ⅵ. 경찰상 행정행위의 효력 485
Ⅶ. 경찰상 행정행위의 부관 489
Ⅷ. 경찰상 행정행위의 하자 492
Ⅸ. 경찰상 행정행위의 취소 497
Ⅹ. 경찰상 행정행위의 철회 500
XI. 경찰상 행정행위의 실효 502
XII. 그 밖의 경찰행정의 주요 행위형식 503
제3절 경찰상 의무이행 확보수단 505
Ⅰ. 경찰상 의무이행 확보수단의 개념 및 유형 505
Ⅱ. 경찰상 강제 506
Ⅲ. 경찰상 행정조사 512
Ⅳ. 경찰벌 514
제4절 경찰관 직무집행법 518
Ⅰ. .경찰관 직무집행법.의 개요 및 적용범위 518
Ⅱ. .경찰관 직무집행법.상 개별적 수권조항 522
Ⅲ. .경찰관 직무집행법.의 기타 내용 538
Ⅳ. 경찰 물리력 행사 541
제5절 행정절차법 543
Ⅰ. .행정절차법.의 개요 543
Ⅱ. 송 달 544
Ⅲ. 처 분 545
Ⅳ. 의견청취절차 547
Ⅴ. 신고, 확약 및 위반사실 등의 공표 550
Ⅵ. 행정상 입법예고 551
Ⅶ. 행정예고 552
Ⅷ. 행정지도 553
제6절 경찰구제법의 기초 554
Ⅰ. 경찰구제법의 개념 554
Ⅱ. 옴부즈만제도 554
Ⅲ. 청 원 555
제7절 행정상 손해전보제도 555
Ⅰ. 행정상 손해배상 555
Ⅱ. 행정상 손실보상 562
제8절 행정쟁송제도 565
Ⅰ. 행정심판 565
Ⅱ. 행정소송 578

제08장 생활안전 경찰활동

제1절 생활안전경찰활동의 기초 593
Ⅰ. 생활안전경찰활동의 개념 및 특성 593
Ⅱ. 범죄의 개념 594
Ⅲ. 범죄의 요소 595
제2절 범죄원인이론 596
Ⅰ. 고전주의 범죄학 596
Ⅱ. 실증주의 범죄학 597
Ⅲ. 사회학적 범죄원인론 598
제3절 범죄예방이론 604
Ⅰ. 범죄예방과 범죄통제 604
Ⅱ. 억제이론 606
Ⅲ. 치료 및 교화이론 607
Ⅳ.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607
Ⅴ. 환경 범죄학 610
Ⅵ. 집합적 효능감 이론 616
Ⅶ. 범죄예방에 대한 전략적 접근 616
제4절 112치안종합상황실 운영 및 지역경찰업무 617
Ⅰ. 112치안종합상황실 운영 617
Ⅱ. 지역경찰의 개념 및 임무 623
Ⅲ. .지역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규칙.. 623
Ⅳ. 순 찰 629
제5절 협력방범업무 634
Ⅰ. 민간경비업무 634
Ⅱ. 민간 범죄예방활동 637
제6절 생활질서업무 638
Ⅰ. 생활질서업무의 개념 638
Ⅱ. 풍속영업 단속 638
Ⅲ.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 641
Ⅳ. 사행행위 및 게임물 단속 645
Ⅴ. 기초질서단속 647
Ⅵ. 통고처분 650
Ⅶ. 즉결심판 652
Ⅷ. 유실물 처리 656
제7절 총포.도검.화약류 안전관리업무 658
Ⅰ. 총포.도검.화약류 안전관리의 의의 658
Ⅱ. 총포.도검.화약류 안전관리대상 658
Ⅲ. 총포.도검.화약류 허가권자 659
Ⅳ. 제조업자 및 소지의 결격사유 660
Ⅴ. 총포.도검.화약류 취급금지 대상자 662
제8절 주요 범죄통제전략 662
Ⅰ. 전통적 범죄통제전략 662
Ⅱ. 지역사회 경찰활동 664
Ⅲ.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구성요소 670
Ⅳ. 무관용 경찰활동 675
Ⅴ. 정보 기반 경찰활동 677
Ⅵ. 증거 기반 경찰활동 679
Ⅶ. 예견적 경찰활동 679

제09장 여성.청소년 경찰활동

제1절 여성.청소년 경찰활동의 기초 687
Ⅰ. 여성.청소년 경찰활동의 개념 및 근거 687
Ⅱ. 소년사건의 처리 689
Ⅲ. .청소년 보호법.. 694
제2절 성폭력사건 처리 700
Ⅰ. 성폭력의 개념 700
Ⅱ.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700
Ⅲ.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711
제3절 가정폭력사건 처리 720
Ⅰ. 관련 용어의 정의 720
Ⅱ.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722
Ⅲ.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727
제4절 학교폭력사건 처리 728
Ⅰ. 주요 용어의 정의 728
Ⅱ.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729
Ⅲ. 학교전담경찰관 730
제5절 실종아동.가출인 업무처리 731
Ⅰ. 주요 용어의 정의 731
Ⅱ. 실종아동등 신고 731
Ⅲ. .실종아동등 및 가출인 업무처리 규칙. 733
제6절 아동학대범죄 처리 736
Ⅰ. 주요 용어의 정의 736
Ⅱ.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738
제7절 스토킹범죄 처리 743
Ⅰ. 주요 용어의 정의 743
Ⅱ.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744
Ⅲ. .스토킹 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748

제10장 수사 경찰활동

제1절 수사경찰활동의 기초 753
Ⅰ. 수사경찰활동의 개념 및 업무분장 753
Ⅱ. 범죄수사의 개념 753
Ⅲ. 범죄수사의 기본이념 755
Ⅳ. 범죄수사의 각종 원칙 755
Ⅴ. 범죄수사의 2단계 과정 757
Ⅵ. 범죄수사의 조건 757
Ⅶ. 범죄수사의 대상 759
Ⅷ. 범죄수사자료의 수집 및 추리 759
Ⅸ. 수사기관의 종류 761
Ⅹ. 경찰 수사체계 764
XI. 범죄수사의 일반적 과정 773 XII. 범죄첩보 수집 780
제2절 현장수사활동 781
Ⅰ. 초동수사 781
Ⅱ. 현장관찰 782
Ⅲ. 탐문수사 783
Ⅳ. 감별수사 784
Ⅴ. 수법수사 785
Ⅵ. 유류품 수사 787
Ⅶ. 장물수사 788
Ⅷ. 알리바이 수사 789
Ⅸ. 공조수사 790
Ⅹ. 미행.잠복감시 790
제3절 과학수사 792
Ⅰ. 과학수사의 개념 및 업무분장 792
Ⅱ. 현장감식 793
Ⅲ. 시체 현상 794
Ⅳ. 법의혈청학 801
Ⅴ. 지문감식 802
Ⅵ. 족윤적 감식 806
Ⅶ. 통신제한조치 807
Ⅷ. 기타 과학수사 813
제4절 조사요령 및 수사서류 작성요령 815
Ⅰ. 조사요령 815
Ⅱ. 수사서류 작성요령 816
제5절 수사행정 817
Ⅰ. 유치인 보호근무 817
Ⅱ. 호 송 821
Ⅲ. 수배 및 조회 824
Ⅳ. 범죄통계원표 827
Ⅴ. .특정중대범죄 피의자 등 신상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827
제6절 주요 사범별 수사요령 830
Ⅰ. 살인범죄 수사 830
Ⅱ. 강도범죄 수사 830
Ⅲ. 절도범죄 수사 831
Ⅳ. 폭력범죄 수사 831
Ⅴ. 마약류범죄 수사 833
제7절 범죄수사와 인권보호 841
Ⅰ. 인권보호의 개념 및 가치 841
Ⅱ. 피의자 및 피해자의 인권보호 841
Ⅲ. .경찰 인권보호 규칙. 847
Ⅳ. .경찰관 인권행동강령. 852
Ⅴ. 회복적 경찰활동 854

제11장 교통 경찰활동

제1절 교통경찰활동의 기초 859
Ⅰ. 교통경찰활동의 개념 및 특성 859
Ⅱ. 교통행정관리 4E 원칙 860
Ⅲ. .도로교통법.상 용어의 정의 860
제2절 교통규제 및 지도.단속업무 862
Ⅰ. 교통규제 862
Ⅱ. 교통정리 867
Ⅲ. 교통지도.단속 868
제3절 보행자의 통행방법 869
Ⅰ. 보행자의 통행 및 도로의 횡단 869
Ⅱ. 어린이 등 보호와 어린이 보호구역 870
Ⅲ. 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 873
제4절 차마 및 노면전차의 통행방법 등 874
Ⅰ. 차마 및 자전거 등의 통행 874
Ⅱ. 교차로에서의 통행방법 876
Ⅲ. 보행자의 보호 877
Ⅳ. 긴급자동차의 우선 통행 및 특례 878
Ⅴ. 정차 및 주차의 금지 880
제5절 운전자 및 고용주 등의 의무 882
Ⅰ.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금지 882
Ⅱ. 난폭운전 금지 886
Ⅲ. 운전자의 준수사항 등 887
Ⅳ. 어린이통학버스 888
제6절 교통관리업무 890
Ⅰ. 교통안전교육 890
Ⅱ. 운전면허 891
제7절 교통법규 위반자에 대한 제재 899
Ⅰ. 운전면허의 취소 또는 정지 899
Ⅱ. 교통법규위반시 벌점부과 904
Ⅲ. 범칙금 통고처분 907
제8절 교통사고처리업무 910
Ⅰ. 교통사고의 개념 및 신뢰의 원칙 910
Ⅱ. 교통사고의 요건 912
Ⅲ.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상 특례 예외 12개 조항 사고 917
Ⅳ. 뺑소니 사고 926
Ⅴ. 교통사고 책임 929
Ⅵ. 교통사고 조사 932

제12장 경비 경찰활동

제1절 경비경찰활동의 기초 939
Ⅰ. 경비경찰활동의 개념 및 특성 939
Ⅱ. 경비경찰조직의 운영 원칙 941
Ⅲ. 경비경찰활동의 조리상 한계 942
Ⅳ. 경비경찰활동의 수단 943
제2절 경비업무 944
Ⅰ. 행사안전경비 944
Ⅱ. 선거경비 948
Ⅲ. 재난경비 950
Ⅳ. 다중범죄 진압 959
Ⅴ. 국가중요시설 방호 962
제3절 경찰비상업무 및 작전업무 965
Ⅰ. 국가비상사태와 비상대비계획.훈련 965
Ⅱ. 경찰 비상업무 968
Ⅲ. 경찰작전 및 통합방위작전 970
제4절 대테러업무 974
Ⅰ. 테러의 개념 및 특성 974
Ⅱ. 국제테러조직 976
Ⅲ. 국가대테러 위기관리체계 977
Ⅳ. 테러발생시 현장조치사항 982
Ⅴ. 경찰의 인질 협상 983
Ⅵ. 각국의 대테러 특수부대 984
제5절 경호업무 986
Ⅰ. 경호의 개념 및 4대 원칙 986
Ⅱ. 경호안전대책 987
Ⅲ. 경호시 현장조치사항 989
제6절 청원경찰업무 991
Ⅰ. 청원경찰의 개념 및 임용자격 991
Ⅱ. 청원경찰의 배치 및 임용 992
Ⅲ. 청원경찰의 직무감독 및 복무 992

제13장 정보 경찰활동

제1절 정보경찰활동의 기초 999
Ⅰ. 정보의 개념 및 분류 999
Ⅱ. 정보경찰활동의 개념 및 법적 근거 1004
Ⅲ. 정보경찰활동의 특성과 한계 1007
제2절 정보 순환과정 1008
Ⅰ. 정보순환의 개념 1008
Ⅱ. 정보요구 단계 1008
Ⅲ. 첩보수집 단계 1010
Ⅳ. 정보생산 단계 1012
Ⅴ. 정보배포 단계 1014
제3절 경찰 정보보고서 1017
Ⅰ. 경찰 정보보고서의 종류 1017
Ⅱ. 정보보고서의 작성방법 1018
제4절 집회.시위업무 1019
Ⅰ. 집회.시위업무의 의의 1019
Ⅱ. 집회.시위 신고절차 1023
Ⅲ. 집회.시위 금지대상 1025
Ⅳ. 보완통고.제한통고.금지통고 및 이의신청 1028
Ⅴ. 집회.시위 관계자의 준수사항 1032
Ⅵ. 집회.시위의 해산 1037
Ⅶ. 집회.시위자문위원회 1040
Ⅷ. 대화경찰제도 1041
제5절 신원조사업무 1041
Ⅰ. 신원조사의 개념 1041
Ⅱ. 신원조사기관 1042
Ⅲ. 신원조사 대상 1042

제14장 안보 경찰활동

제1절 안보경찰활동의 기초 1047
Ⅰ. 안보경찰활동의 개념 및 특성 1047
Ⅱ. 대공상황 분석.판단 1048
Ⅲ. 북한의 대남 전략.전술 1049
제2절 방첩업무 1053
Ⅰ. 방첩 및 방첩업무의 개념 1053
Ⅱ. 방첩업무의 기본원칙 및 수단 1054
Ⅲ. 방첩업무의 대상 1054
Ⅳ. 공 작 1059
Ⅴ. 심 리 전 1065
제3절 안보수사업무 1067
Ⅰ. 정보사범 1067
Ⅱ. .국가보안법. 위반 사범 1067
Ⅲ. 주요 안보사범 수사 1076
제4절 보안관찰업무 1078
Ⅰ. 보안관찰의 개념 및 특성 1078
Ⅱ. 보안관찰처분의 요건 1078
Ⅲ. 보안관찰처분의 결정절차 1080
Ⅳ. 보안관찰처분의 집행절차 1082
제5절 남북 교류.협력 및 북한이탈주민 보호업무 1084
Ⅰ. 남북 교류.협력업무 1084
Ⅱ. 북한이탈주민의 보호업무 1086

제15장 외사 경찰활동

제1절 외사경찰활동의 기초 1097
Ⅰ. 외사경찰활동의 개념 및 특성 1097
Ⅱ. 외사경찰활동의 대상 1098
Ⅲ. 다문화 사회의 이해 및 접근방법 1107
제2절 국제협력업무 1109
Ⅰ. 국제협력업무의 개념 1109
Ⅱ. 범죄인 인도 1109
Ⅲ. 국제형사사법공조 1113
Ⅳ. 국제형사경찰기구 1117
제3절 외사사범 수사업무 1120
Ⅰ. 외사사범의 개념 및 종류 1120
Ⅱ. 외국인범죄 수사방법 1121
Ⅲ. 주한미군지위협정 1122
제4절 국제 공항.해항 보안업무 1128
Ⅰ. 외국인 출.입국 관리 1128
Ⅱ. 외국인 강제퇴거 1136
Ⅲ. 외국인의 체류 1138
Ⅳ. 외국인 등록과 외국인 지문관리 1140
Ⅴ. 외국인의 귀화 1141

제16장 사이버 경찰활동

제1절 사이버 경찰활동의 기초 1147
Ⅰ. 사이버 경찰활동의 개념 및 특성 1147
Ⅱ. 사이버 경찰활동의 법적 근거 및 업무분장 1148
제2절 사이버 범죄의 개념 및 유형 1150
Ⅰ. 사이버 범죄의 개념 및 특성 1150
Ⅱ. 사이버 범죄의 세 가지 유형 1151
제3절 사이버 범죄의 수사활동 1161
Ⅰ. 일반 사이버 범죄 수사절차 1161
Ⅱ. 전기통신금융사기 수사절차 1163
Ⅲ. 디지털 증거 분석 1165
..찾아보기
. 사항색인 1170
. 판례색인 1177
. 인명색인 1184

저자소개

임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약력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경찰학 박사) 전) 경남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대전대학교 입학사정관 실장 日本 北海商科大學 交換敎授 한국공안행정학회 회장 5급, 7급, 9급 국가공무원 채용시험 출제 및 선정위원 현) 법무부 보호관찰위원 대전광역시 안전브랜드 활성화사업 자문위원회 위원 대전광역시 인구정책위원회 위원 대전광역시경찰청 민원조정위원회 위원 대전광역시경찰청 청렴정책협의체 위원 대전동부경찰서 청소년선도심사위원회 위원 서울영등포경찰서 경미범죄심사위원회 위원 도시안전디자인센터 방범분과장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집행위원 대전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펼치기
정세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경찰학박사) 제46기 경찰간부후보생 전)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개인정보보호팀장 서울 서초경찰서 강력팀장 경찰종합학교 경찰간부후보생 지도교관 경남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경찰간부후보생 채용시험 출제위원 경찰공무원(순경) 채용시험 출제위원 5급, 7급, 9급 국가공무원 채용시험 출제 및 선정위원 현) 서울광역시경찰청 범죄자프로파일링연구회 자문교수 광주광역시경찰청 집회ㆍ시위자문위원회 위원 광주광역시경찰청 경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 한국공안행정학회 회장 조선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 주요 연구실적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관한 비판적 고찰 피의자신문과정에서 허용될 수 있는 책략의 범위 메스암페타민 투약사범 수사에 관한 주요쟁점과 논평 등
펼치기
라광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범죄학박사)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및 동대학원졸업(범죄학석사) 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현) 한국공안행정학회 국제협력위원장 현) 동아대학교 경찰소방학과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