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의외의 사회문화사

의외의 사회문화사

(책 속의 에로티시즘을 통해 본)

김승일 (지은이)
구포출판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의외의 사회문화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의외의 사회문화사 (책 속의 에로티시즘을 통해 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사
· ISBN : 979119333705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4-04-09

목차

책머리에

1. 함무라비왕(BC 1810년 경~BC 1750년경) : 함무라비 법전』
남자의 나라가 되게 한 법체제로 강력한 왕국의 틀을 다지다

2. 헤로도토스(BC 484년 경~BC 425년 경) : 『역사』
"결혼 전 처녀는 신전에서 미지의 남자에게 몸을 맡겨야 한다"는
인류 최초 역사서의 진실은?
있던 '에로티시즘'

3. 『구약성서』(BC 1200~BC 100년)
'남아선호'의 풍습이 자위행위의 선례를 남기다

4. 호메로스: 『일리아드』(BC 800년~BC 750년)
「하나 낳아 잘 기르자는 인구정책을 논하다

5. 밧샤야마(Vatsy?yana): 『카마수트라』 (BC 6세기 무렵)
'남편동반사'로 열반에 오르기보다 즐거운 삶의 지혜를 가르치다

6. 히포크라테스(BC 460년경~BC 370년 경) : 히포크라테스 전집』
전쟁으로 자궁에 대한 자극 부족이 여성 히스테리의 원인이다

7. 로마 최초의 성문법(BC 450):『12표법(十二表法)
제정 후 귀족과 평민의 결혼금지령조항이 곧 폐지되다

8. 플라톤(BC 428~BC 348) : 소크라테스의 변명」
"여성의 역할은 남성에 뒤지지 않는다”고 하여 남녀평등을 주장하다

9. 플라톤(BC 428~BC 348) : 『향연(饗宴)』
동성애만이 플라토닉한 사랑이다

10. 아리스토텔레스(BC 384~BC 322) : 『자연학』
여성의 열등성은 ‘덜 익은 정자(생리혈)'를 가졌기 때문이다

11. 오비디우스(Ovidius, BC 43~AD 17) : 『연애가』, 『사랑의 기술』, 1512
『변신이야기(變身譜)』
잘못된 선택은 여자의 피해가 크므로 '자유연애'를 주장하다

12. 키케로(BC 106~BC 43) : 『도덕적 의무에 대하여』, 『최고선에 관하여』
다른 부부의 관계를 파괴시키지 않기 위해 '매음제도'를 인정하다

13. 『신약성서』 (AD1~2세기)
'탐닉'과 '쾌락'을 적으로 본 '금욕주의'로 로마의 탄압에 저항하다

14. 루키아노스(Lucianus, 120년 경~ 180) : 『헤타이라(hetaira, 창녀) 이야기』
그리스는 헤타이라(고급 창녀)가 지배하던 매음의 나라였다

15. 아우구스티누스(354~430) : 『고백록」
금욕만이 자신의 죄를 용서받는 유일한 방법임을 고백하다

16. 마호메트(570년경~632년): 『코란스
아이를 원하는 남편을 위해 '일부다처제는 필요하다

17. 마호메트: 아이샤(613~678)법』
가혹한 형벌을 가하는 '간통죄'에서 벗어나게 하다

18. 이슬람교 : 『혼인법』(7세기 이후~)
일부다처제의 유지방법으로 '임대결혼'과 '중혼(重婚)'을 허용하다

19. 중세교회 : 『참회서(懺悔書)』시리즈(8세기부터 대두)
섹스에 대한 부정이 타락을 초래(招來)한다

20. 기사도(騎士道, 12세기~13세기) : 『아서왕이야기』
중세 '성애(性愛)'의 추악함을 '기사도'로 포장하다

21. 단테 알리기에리(1265-1321) : 『신곡」, 「천국편」
암흑 속에 갇혀 있던 여성들의 영혼을 깨우다

22. 조반나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 1313~1375) : 『데카메론」
제프리 초서(Geoffrey Chaucer, 1342~1400) : 『캔터베리이야기』
자유분방한 '연애관'으로 포르노문학을 개척하다

23. 민중의 구비문학(13-15세기의 집대성): 아라비안나이트
육체적으로 예속되어 있는 남자는 여자를 이길 수 없다 -

24. 야곱 슈프렝거·하인리히 크라머 공저 (15세기~16세기) : 『마녀의 망치』
사제들의 '독신주의' 확립을 위한 마녀사냥을 종식시키다-

25. 피에트로 아레티노(1492-1556) : 음락(淫樂)의 14행시』, 『시론집(詩論集)』
르네상스 사람들을 환락의 세계로 이끌다 -

26. 지롤라모 프라카스트로(1476~1533) 『프랑스인의 병에 관하여』
'매독'을 시적(詩的)으로 표현하여 세상에 알리다 -

27. 마르틴 루터(1483~1546), 「95개조 반박문」
'면죄부' 판매의 반대와 성직자의 '독신법'을 폐지시키다 -

28. 토머스 모어(1478~1535): 유토피아
종교만이 도덕사회를 구축할 수 있다 -

29. 피에르 드 부르데유 브랑톰(Pierre de Bourdeilles Brantome, 1540~1614) :『염부전(艶婦傳)
궁정 사회의 성도착(paraphilia 혹은 Sexual perversion, 性倒錯)을 고발하다

30. 티르소 데 몰리나(Tirso de Molina, 1579~1648):
『트레드의 별장』, 『세 명의 바람둥이
포르노문학의 전성기를 이끌다

31. 한스 그리멜스하우젠(Hans Jakob Christoffel von Grimmelshausen,
1621~1676), 『방랑의 여자 크라쉐
첩(妾)들의 전성기를 도래케 하다

32. 새뮤얼 리처드슨(Samuel Richardson, 1689~1761):
「패밀러(Pamela, 보답받은 미덕)』
'순결'은 보답을 받는다

33. 볼테르(1694~1778): 루이14세의 시대』
특별한 창녀들의 영화(榮華)와 몰락을 고발하다

34. 장 자크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고백록」
"학문과 예술의 발달은 타락의 세계를 이끈다"고 말하면서 스스로 빠져들다

35. 카사노바(Giovanni Giacomo Casanova, 1725~1798) : 『자서전」
계몽시대의 방탕모습과 쾌락방법의 진면목을 알려주다

36. 피에르오귀스탱 카롱 드 보마르셰(Pierre-Augustin Caron de Beaumarchais,
1732~1799): 피가로의 결혼(Le Mariage de Figaro)』
프랑스혁명 공약에 없던 '여성문제'에 대해 관심을 불러일으키다

37.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Pierre Choderlos de Laclos, 1741~1803),
『위험한 관계』
18세기 귀족사회의 퇴폐풍조를 폭로하다

38. 알퐁스 프랑수아(Donatien Alphonse Francois, marquis de Sade, 1740~1814):
「소돔의 120일」
변태성욕자로서 '새디즘'을 출현시키다

39.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e, 1769-1821): 『나폴레옹 법전』
'여성인권'을 100년 퇴보시키다

40. 카를 마리아 폰 베버(Carl Maria von Weber, 1786~1826): 무도회의 권유』
몸을 밀착시키는 '왈츠(Waltz)'의 등장은 혼전성교를 부추겼다

41. 토머스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 1766~1834): 「인구론」
'성교'는 돈 있는 자들의 특권이다

42. 스탕달(Stendhal, 1783~1842): 『연애론』
결혼에 대한 최상의 준비는 '혼전성교'이다

43. 조르주 상드(George Sand, 1804~1876): 「렐리아」
'사랑의 여신'이 되어 여성해방운동의 투사가 되다

44. 프리드리히 엥겔스(독일어: Friedrich Engels, 1820~1895) : 『가정의 기원』
사회주의에서만 진정한 '일부일처제'를 실현할 수 있다

45. 알프레드 찰스 킨제이(Alfred Charles Kinsey, 1894~1956):
『남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1948년),
『인간 여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1953년)
미국 청교도적 도덕주의의 허울을 벗기다

저자소개

김승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생으로 경기도 안성 출신이다. 동국대 사학과를 졸업한 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1987년])과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1992년])에서 유학한 후 귀국하여 2002년부터 국민대와 동아대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의 중점은 동아시아세계의 교류사 연구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正體性)을 재구성하는 일에 중점을 두어 왔다. 이들 성과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여 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모택동선집』『등소평문선』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