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신장병
· ISBN : 9791193707296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24-02-23
책 소개
목차
Part 01 검사 / 07
Part 02 고혈압 / 15
Part 03 당뇨 / 25
Part 04 급성신손상 / 33
Part 05 만성콩팥병 / 39
Part 06 신대체요법 / 49
Part 07 생활습관 / 71
Part 08 사구체신염 / 87
Part 09 이식 / 93
Part 10 신낭종 / 99
Part 11 다낭신장병 / 103
Part 12 신장암 / 109
Part 13 임신 / 113
편집후기 / 117
색인 / 120
저자소개
책속에서
Part 01 검사
01 소변검사로는 어떤 것을 알 수 있나요?
소변검사는 육안적으로 색, 냄새, 혼탁도를 평가하고, 요시험지봉을 이용해 요당, 요단백, 요잠혈 등을 반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 현미경을 이용하여, 적혈구, 백혈구, 세균, 각종 결정체도 확인 가능합니다. 신장질환을 알아보는 가장 간단하면서 기본이 되는 검사입니다.
02 소변이 빨갛게 보이면 다 혈뇨인가요?
아닙니다. 혈뇨는 소변검사에서 현미경의 고배율 시야에서 3개 이상의 적혈구가 3회 검사 중 2회 이상 관찰되는 경우로 정의됩니다. 하지만 횡문근융해증에서 미오글로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미오글로빈뇨, 적혈구가 파괴되어 그 내부의 헤모글로빈이 소변을 통해 빠져나오는 헤모글로빈뇨, 리팜핀(rifampin)이라는 결핵약을 먹는 경우, 비트를 많이 먹는 경우 등에서 소변이 붉게 관찰될 수 있어 혈뇨와 감별이 필요합니다.
03 단백뇨가 있으면 어떤 검사를 해야하나요?
단백뇨는 콩팥을 나쁘게 하는 위험인자로 잘 알려져 있어 반드시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정량 검사를 통해 양을 확인하고 고혈압, 당뇨 여부 및 유병기간, 합병증 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신장조직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