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9390417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4-09-1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서문
1장. 이긴 자가 전부 가지는 사회
부익부 빈익빈┃경쟁자가 너무 많다┃일류 대학 출신이라는 보증수표┃일상생활에서도 경쟁하는 사람들 ┃소모적인 경쟁을 막기 위한 협정┃과도한 보상이 주어지는 곳┃근소한 차이가 부른 극단적인 결론┃ 대중문화가 타락했다고요?┃승자독식시장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까┃평등은 성장을 가로막는가
2장. 승자독식시장의 탄생
승자독식시장이란 무엇인가┃구매자가 결정하는 시장: “제발 내 돈을 가져가요┃누가 싸우고 있는가┃승자를 정하는 법┃승자독식시장이 생기게 된 이유
3장. 승자독식사회는 왜 멈출 수 없는가
운송비와 관세의 하락┃컴퓨터와 이동통신의 발전┃영어: 국경을 뛰어넘는 국제어의 등장┃생산방식의 혁신: 분업, 전문화, 로봇┃경쟁 금지 조항의 약화┃조직 바깥에서 일하는 독립 계약의 증가┃보여 주기 위한 소비┃보상을 강화시키는 비교의 힘┃상쇄 효과: 소규모 공급자가 나타나다
4장. 승자에게 쏠린 상상을 초월하는 소득
출판업계: 쓰기도 전에 돈을 버는 작가들┃프로테니스: 선수가 곧 광고다┃CEO: 이직으로 연봉을 올리는 사람들┃경영 컨설턴트: 위험을 관리하고 받는 대가┃영화와 방송 산업: 스타, 스타, 오로지 스타┃패션모델: ‘슈퍼’ 모델의 등장┃대학과 프로스포츠: 가장 뛰어난 감독과 선수 데려오기┃사치품의 인기: 비쌀수록 좋다
5장. 마이너리그의 슈퍼스타들
불평등의 심화┃상위 1퍼센트 집단의 패턴┃1명의 천재가 압도적인 성과를 가져온다면?┃성공이 성공을 낳는 직업┃어느 업계에나 승자가 있다
6장. 경쟁자가 너무 많다고요?
몇 명이 싸워야 적당할까┃지나친 자기 과신: “나는 할 수 있어”┃가상 경제 속, 어떤 직업을 선택하시겠습니까?┃현실이 작동하는 법┃세금이라는 고삐가 필요한 이유┃형평성을 택하면 효율성이 희생된다?
7장. 투자라는 이름의 도박
죄수의 딜레마┃위치군비경쟁: 손해지만 멈출 수가 없다┃운동선수들: 과도한 훈련, 과도한 투자┃증권시장의 수익 예측 경쟁┃광고 시장: 돈을 쏟아부어야 돈이 벌린다┃노동 경쟁: 야근을 자처하는 이유┃승자의 후광: 좋은 이미지를 남기기 위한 노력┃약간의 예외들
8장. 학벌 전쟁
명문 대학이 되기 위한 조건┃일류대 간판이 주는 이점┃가까운 주립대학보다 유명한 일류대가 좋다?┃우린 일류대 출신만 뽑습니다┃똑똑한 학생들만 모여 있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학벌 경쟁의 결과물
9장. 낭비적 경쟁을 그만두는 법
스포츠 분야┃암묵적인 사회규범이 존재하는 이유┃경쟁을 막는 사전 계약┃교육: 과외 없이 교과서만으로 충분합니다┃법과 공공정책: 평화를 위한 구속┃결혼제도의 일부일처제┃미래에 발생할 문제들: 유전자 검사
10장. 승자독식사회 속 대중문화는 어디로 가는가
철저한 승자독식의 원리로 돌아가는 곳┃조급한 경쟁이 가져온 영향┃암묵적인 규범을 지키기엔 보상이 너무 크다┃문화를 시장의 논리로만 바라볼 수 없는 이유
11장. 승자독식사회를 벗어나기 위하여
조세정책: 소득세 vs. 소비세┃조세 개혁을 잘못한 경우┃법조계: 재능 있는 인력의 쏠림 현상 방지┃의료비: 전문의와 일반의┃교육비: 장학금제도의 명과 암┃진로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하기┃반독점 정책이 유효하려면┃노동시간 줄이기┃대중문화: 공영방송이 필요한 이유┃미래의 전망
감사의 말
주석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오늘날 우리는 대부분 녹음된 음악을 들으니 어디에서나 세계 최고 소프라노의 노래를 들을 수 있다. 캐슬린 베틀(Kathleen Battle)의 모차르트 아리아 원본 테이프에서 CD를 찍어 내는 비용이나 이류 성악가의 테이프에서 찍어 내는 비용이나 차이가 없으므로 우리는 당연하게 캐슬린 베틀의 노래를 듣는다. 대부분의 사람은 베틀보다 조금 못한 성악가를 듣느니 몇 푼을 더 내더라도 베틀의 노래를 듣기를 원한다. 그러니 베틀의 몸값은 부르는 게 값이 된다. 라보 카라베키안과 캐슬린 베틀이 자신들의 서비스를 파는 시장을 ‘승자독식시장(winner-take-all-market)’이라고 부른다.
_〈1장. 이긴 자가 전부 가지는 사회〉
우리는 승자독식시장에서 벌어지는 최고를 향한 경쟁 덕분에 가장 재능 있고 생산적인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지만 동시에 두 가지 형태의 낭비를 조장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너무 많은 경쟁자가 모이고 둘째, 경쟁 과정에서 비생산적인 소비와 투자가 발생한다.
_〈1장. 이긴 자가 전부 가지는 사회〉
상대적인 실력 차이로 보상을 받는다는 점이 승자독식시장을 다른 시장과 구별해 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반대로 경제학자들이 연구하는 시장에서는 절대적 능력 차이로 보상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생산직 노동자의 급여가 생산성에 의해 결정된다면 동료 노동자와 비교한 생산성이 아니라 그가 매주 생산하는 제품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중략) 승자독식시장의 두 번째 특징은 승자에게 돌아가는 보상이 몇몇 최고 실력자에게 집중되므로 미미한 재능이나 노력의 차이가 엄청난 소득 차이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_〈2장. 승자독식시장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