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93985403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과정 중심 이론의 등장과 쓰기 이론
제1장 과정 중심 이론 등장과 배경
1. 쓰기 교육의 변화와 Janet Emig의 등장
2. 초기 작문 교육의 문제점: Newkirk, Hairston, Murray
제2장 과정 중심 이론과 인지주의
1. 쓰기 과정의 구조화 이론: Hayes & Flower(1980)
2. 글쓰기 인지 과정 이론: Flower & Hayes(1981)
3. 인지와 감성을 내포한 새로운 모형: Hayes(1996)
제3장 다원적 관점과 쓰기 과정 연구
1. 연결주의 관점의 쓰기 과정 연구
2. 작문 과정의 이원적 모형(Two Models of Composing Processes)
3. 병렬 분산형 처리 모형: 지식 구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제2부 사회적 관점과 독자 및 담화공동체
제1장 인지주의 비판과 사회적 관점의 대두
1. 인지주의 비판과 사회구성주의
2. 사회적 관점과 담화공동체
3. 맥락의 문제와 상황인지
4. 바흐친(Bakhtin)의 관점과 대화주의
5. 사회적 인지와 맥락의 중재
6. 사회인지와 맥락의 의미
제2장 수사학적 문제와 독자 이론
1. 쓰기 과정과 독자의 문제
2. 수사학적 관점과 독자 교육의 문제
3. 수사학적 독자 분석과 비판
4. 전달하는 독자 vs 호출하는 독자
5. 독자 개념의 기능적 시각
6. 독자 분석과 해석 공동체
제3장 해석 공동체와 담화공동체의 개념
1. Stanley Fish의 해석 공동체
2. 담화공동체의 개념
3. Swales의 담화공동체 요건과 특성
4. 담화공동체의 구성에 관한 논쟁
제3부 결속성과 응집성의 쟁점
제1장 텍스트와 언어
1. 텍스트의 정의
2. Halliday & Hasan(1976)의 텍스트 개념
3. Beaugrande & Dressler(1982)와 다른 학자들의 텍스트 개념
제2장 결속성과 응집성의 의미
1. 결속성과 응집성의 정의
2. 결속성과 응집성에 관한 초기 논의
제3장 결속성의 의미와 조건
1. Halliday & Hasan(1976)의 결속성 개념
2. Hasan의 결속성 조화 분석(Cohesive Harmony Analysis)
3. 결속성 성립의 조건(Reinhart, 1980)
4. 결속성의 효과와 한계
5. 결속성 효과에 관한 통계적 검증
제4장 응집성의 개념과 원리
1. 텍스트 응집성의 개념
2. 응집성의 분류
3. 응집성의 조건(Reinhart, 1980; Delu & Rushan, 2021)
4. 응집성의 텍스트적 자질
제4부 화제 구조 분석의 의미
제1장 문장 화제와 정보 구조
1. 정보구조와 CD(Communicative Dynamism)
2. 화제와 초점
3. 텍스트에서 화제의 식별
제2장 텍스트 구조와 화제 전개
1. 화제 구조 분석의 의미와 전략
2. 화제 구조 분석의 의미와 세부 요소
제3장 화제구조의 전개 방식
1. Daneš의 화제구조 전개 방식
2. Witte의 화제구조 전개 방식
3. Lautamatti의 화제구조분석
제4장 화제 구조 분석과 텍스트 질
1. 수정 텍스트와 화제 분석(Witte, 1883a)
2. 화제 구조와 텍스트 질(Witte, 1983b)
3. 화제구조분석과 L2 연구(Schneider & Connor, 1990)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