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398542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1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근현대 독본과 우리말 교과서 연구 방법
제1장 연구 목적과 방법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근현대 독본과 교과서 연구 방법
3. 선행 연구
제2장 독본 개념의 형성과 근대 이후 독본의 유형
1. 서론
2. 독본의 탄생과 개념사
3. 근대 이후 독본의 두 가지 유형
4. 결론
제2부 근대의 교과서와 독본
제1장 근대식 학제 도입 이전(1880~1894)의 학교와 교과서
1. 서론
2. 근대 교육 형성기의 학교와 교육 내용
3. 근대 교육 형성기의 지식 유통과 교과서 문제
4. 결론
제2장 학제 도입기의 교과서 변화
1. 근대식 학제와 교과
2. 근대의 교과서의 변천
3. 근대의 교과서 목록
제3장 광학회 서목과 (언역본) ≪태서신사남요≫
1. 서론
2. 광학회 서목과 근대 지식의 수용 양상
3. ≪태서신사≫의 근대 지식 수용과 의미
4. 결론
제4장 조 헤버 존스(조원시)의 ≪국문독본≫의 기능과 내용: 텍스트의 출처
1. 들어가기
2. ≪국문독본≫ 의 저술 동기
3. ≪국문독본≫의 내용
4. ≪국문독본≫ 텍스트의 출처와 교과서 지식 유통의 특징
5. 나오기
제5장 근대 지식 수용 과정에서 헐버트 시리즈 교과서의 의의
1. 서론
2. 헐버트 시리즈의 실체와 탄생 배경
3. 헐버트 시리즈의 특징과 근대성
4. 결론
제3부 일제강점기 조선어 교과서와 독본
제1장 조선어 교과서와 식민 침탈 계획
1. 서론
2.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의 내용과 성격
3. 강제 병합과 조선어과 교과서
4. 결론
제2장 청년운동과 청년 독본
1. 서론
2. 일제강점기 청년사상과 청년 운동
3. 청년독본류의 특징
4. 청년독본류의 의의와 한계
제3장 농민독본류의 발행 실태와 내용
1. 서론
2. 노농운동과 농민독본
3. 식민지 노농 정책을 반영한 농민독본류
제4장 조선총독부 사회교육정책과 조선문 자료
1. 서론
2. 조선총독부의 사회교육정책
3. 사회교육 차원의 독본류 교재와 언어 문제
4. 결론
제5장 일제강점기 교과서 비판 담론과 전개 양상
1. 서론
2.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비판 담론의 성격
3. 교과서와 조선어독본 비판 담론의 내용과 그 의미
4. 결론
제4부 일제강점기 언어침탈과 광복 이후의 우리말 교과서
제1장 일제강점기 언어침탈과 우리말 순화운동
1. 시작하기
2. 일제강점기 언어정책과 언어침탈의 메커니즘
3. 언어침탈의 대응 방식으로서 한국어 정화운동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
4. 마무리
제2장 언어침탈에 대한 대응 방식으로서 최현배의 한국어 연구
1. 시작하기
2. 식민주의 언어침탈과 조선어 연구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3. 언어 침탈에 대한 외솔 최현배의 대응 방식
4. 남은 문제
제3장 광복 이후의 국어문제와 우리말 교과서
1. 서론
2. 미군정기와 정부 수립기 교육정책과 교과서
3. 미군정기로부터 정부 수립기까지의 우리말 교과서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