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낙침과 어깨 전방 불안

낙침과 어깨 전방 불안

(경추 견갑골 상완골 복합체의 기능적 움직임 장애)

조성형, 전동옥, 김수민 (지은이)
물고기숲
8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0,000원 -0% 0원
0원
8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75,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낙침과 어깨 전방 불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낙침과 어깨 전방 불안 (경추 견갑골 상완골 복합체의 기능적 움직임 장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재활/물리치료
· ISBN : 9791194093022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목과 어깨 질환들의 생역학적인 발병 원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각 질환에 따른 기능적 진단의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추나요법과 함께 임상에서 필요한 침의 생역학적 기전과 자하거 약침에 관해서 기술하였다.

목차

Ⅰ. 낙침과 어깨 전방 불안 _13
1. 낙침의 이해 _14
1) 외래에서 흔한 담 결림, 낙침이란 _14
2) 낙침의 자극 원인에 따른 통증 양상과 움직임 장애 _15
3) 낙침을 유발하는 경추 원인성 통증의 생역학적 원인 _16
낙침은 뭉친 근육만 풀어주면 되는 거 아닌가요? _18
경추 후관절과 경막 자극으로 인한 연관통의 특징 _18
2. 어깨 전방 불안의 이해 _19
1) 외래에서 흔한 어깨 통증 _20
2) 어깨 전방 불안의 의미와 임상적 의의 _20
회전근개 손상의 3단계 _23
3. 증상에 대한 구조적 접근의 치료적 한계 _24
1) 영상의학적 진단의 한계 _24
2) 구조적 문제에 따른 치료 접근법 _24
(1) 스테로이드와 프롤로테라피 _24
(2) 수술의 득과 실 _25
4. 기능적 접근의 필요성 _27

Ⅱ. 경추-견갑골-상완골 복합체(CSHC)에서 기능적 퇴행 _29
구조적 퇴행과 기능적 퇴행의 비교 _31
1. CSHC의 불안정상태 _32
1) 구조적 불안정에 따른 생역학 _32
(1) 경추의 구조적 불안정 _32
(2) 견갑대의 구조적 불안정 _32
2) 기능적 불안정에 따른 생역학 _33
(1) 경추의 기능적 불안정 _33
(2) 관절와상완관절의 정적 안정장치와 동적 안정장치를 통한 안정화 _34
(3) 관절와상완관절의 정적 안정장치: 관절낭 _35
(4) 관절와상완관절의 생역학적 움직임 _36
2. 경추의 기능적 퇴행 _37
1) 기능적 부정렬 _38
2) 구조적 부정렬 _38
3) 구조적 변형 _39
경추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에 따른 통증 양상 _39
3. 견갑골과 상완골의 기능적 퇴행 _40
1) 기능적 부정렬 _40
2) 구조적 부정렬 _41
3) 구조적 변형 _41

Ⅲ. 경추-견갑골-상완골 복합체(CSHC)의 기능적 움직임의 개괄 _43
1. 기능적 움직임의 이해 _44
2. CSHC의 기능적 움직임 _45
1) 목 움직임에 따른 협응력 _45
2) 어깨 외전시 견갑대의 협응력 _45
(1) 견갑상완리듬이란 _45
(2) 견갑상완리듬의 고찰 _45
3. 목과 어깨에서 기능적 움직임 장애 _46
1) 기능적 움직임 장애 _46
2) 기능적 움직임 장애의 종류 _47
(1) 움직임 장애 _47
(2) 조절장애 _47
운동 조절(Motor control)이란 _48
3) CSHC에서 기능적 움직임 장애 _50
(1) 견갑골 하강 조절장애를 동반한 움직임 장애 _51
(2) 견갑골 거상 조절장애를 동반한 움직임 장애 _51
(3) 견갑골 거상 또는 하강을 동반한 외회전근 강화 _52
4. CSHC에서 견흉관절과 관절와상완관절의 협응력 회복 _52
1) 견갑골과 상완골의 협응력 회복을 위한 운동 조절 _52
부록) 인지행동치료에서 어깨 외전시 협응력 회복과 운동 조절 향상의 의의 _53
POS 시스템의 작용 _59
SMILE(sensorimotor integrative loop model for enacting) _60
CUC flow 모델이란 _61

Ⅳ. 경추-견갑골-상완골 복합체(CSHC)에서 기능적 움직임에 대한 생역학적 이해 _65
1. 굽은등 또는 둥근어깨에 대한 보상 자세 _66
1) 일자목 또는 거북목의 원인과 보상작용 _66
2. 경추 전방 불안으로 인한 근육 불균형 _66
1) 경장근과 두장근의 작용 _66
상부 경추 부정렬과 중앙패턴생성기 기능 저하 _68
턱관절의 움직임에서 턱관절 자체가 회전축이 되지 않는 이유? _71
2) 양측 사각근의 작용과 첫 번째 늑골 거상 _71
3) 머리와 목에 대한 보상적 근육 불균형 _72
4) 경추에서 분절 촉진 _73
3. 굽은등 또는 둥근어깨로 인한 견갑대의 생역학 _75
1) 어깨 외전의 생역학과 임상적 의의 _75
2) 어깨 외전시 7가지 운동학적 원칙 _77
견갑골 상방 회전의 활성화 순서 _79
3) 외전시 움직임 패턴 이상 _80

Ⅴ. 경추에서 CSHC의 기능적 퇴행 _81
1. 상부 경추 전방 불안증의 진단과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82
1) 경추의 기능해부학 _82
2) 이학적 검사①: 경추 굴곡을 동반한 C1/C2 회전 검사 _82
3) 이학적 검사②: 양측 첫 번째 늑골 압통 비교 검사 _84
4) 상부 경추 전방 불안증의 생역학적 치료 방법 _84
2. 편측성 경추 원인성 통증 _85
1) 편측성 경추 원인성 통증의 생역학적 기전 _85
2) 경추 후방에서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86
3. 경추에서 기능적 부정렬 _87
1) 경추 불안정에 대한 보호적 근육 경계 _87
2) 승모근의 작용과 생역학적 이해 _88
3) 흉쇄유돌근의 작용과 생역학적 이해 _89
4) 상부 승모근 부위 통증에서 상부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긴장 기전 _91
(1) 견갑거근증후군 _92
(2) 견갑거근의 임상 접근법 _94
5) 경판상근증후군 _97
도식①: 편측 경추 원인성 통증의 생역학적 분류 _101
4. 경추에서 구조적 부정렬 _102
1) 보호적 근육 경계의 손상 _102
2) 후관절성 경추 원인성 통증 _102
3) 경막성 경추 원인성 통증 _103
4) 진단과 치료적 접근법 _103
5. 경추에서 구조적 변형 _104
1) 경추 척추증의 임상적 의의 _104
2) 경추 신경뿌리병증 _105
(1) 신경뿌리 압박의 감각증상과 운동증상 _106
(2) 이학적 검사: 수정된 스퍼링 검사 _107
(3)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08
경추 신경뿌리병증과 요추 신경뿌리병증 _108
Radiculopathy에서 신경뿌리 손상 순서와 통증 양상 _110
도식②: 경추에서 CSHC의 기능적 움직임 장애 _111

Ⅵ. 경추 신경뿌리병증의 감별 진단 _113
1. 흉곽출구증후군 _114
1) 신경혈관의 기능성 포획과 경추 분절촉진 _114
2) 진단과 임상적 의의 _117
(1) 이학적 검사①: Adson 검사 _117
(2) 이학적 검사②: Wright 검사 _118
3)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19
2. 상지의 말초신경감작(Peripheral Nerve Sensitization) _119
말초신경감작의 기전 _120
1) 상지에서 말초신경감작의 임상증상 _121
2) 신경역동학 검사와 임상적 의의 _124
(1) 이학적 검사①: 요골신경 신경역동학 검사 _124
(2) 이학적 검사②: 정중신경 신경역동학 검사 _125
(3) 이학적 검사③: 척골신경 신경역동학 검사 _126
3)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26
임상에서 흔한 손 저림 환자의 임상 접근법 _127

Ⅶ. 견갑대에서 CSHC의 기능적 퇴행 _129
1. 외래에서 흔한 어깨 통증 _130
1) 기능적 움직임에서 어깨의 전후방 통증 _130
2) 어깨 스크린 검사 _131
(1) 이학적 검사①: 수동적 어깨 외전 검사 _131
(2) 이학적 검사②: 수동적 어깨 외회전 검사 _132
(3) 이학적 검사③: 불안정유발(Apprehension) 검사와 재위치복구(Relocation) 검사 _133
3) 액와신경의 기능적 포획 _134
(1) 액와신경 기능적 포획의 진단과 임상적 의의 _135
(2)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37
2. 견갑대에서 기능적 부정렬 _137
1) 불안정한 기능적 부정렬 _137
어깨질환에서 감각운동 반응에 대한 상체의 일반적 자세 _138
2) 관절와상완관절의 부정렬로 인한 생역학적 움직임 _139
어깨 외전시 7가지 운동학적 원칙과 임상적 의의 _140
3) 후방 관절낭 긴장과 회전근개의 보상작용 _142
4) 회전근개 손상을 동반한 어깨충돌증후군 _143
(1) 진단과 임상적 의의 _143
(2) 어깨충돌증후군의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44
견봉돌기의 형태에 따른 수술 적응증의 한계 _145
3. 견갑대에서 구조적 부정렬 _145
1) 안정상태에서 구조적 부정렬 _146
(1) 후방 관절낭 긴장을 동반한 회전근개사이공간의 유착 _146
(2) 진단과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47
2) 불안정상태에서 구조적 부정렬 _147
(1) 후방 관절낭 긴장을 동반한 어깨 전방 불안 _147
(2) 진단과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48
4. 견갑대에서 구조적 변형 _148
1) 안정상태에서 구조적 변형 _148
(1) 심한 동결견으로 인한 전방 관절낭 유착 _149
(2) 진단과 생역학적 치료 접근법 _150
2) 불안정상태에서 구조적 변형 _150
(1) 내부 충돌 손상으로 인한 SLAP과 Bankart _151
(2) 진단과 임상적 의의 _151
도식③: 어깨에서 발생하는 CSHC의 기능적 움직임 장애 _152
도식④: 어깨 통증의 기능적 움직임에 따른 진단 알고리즘 _153

Ⅷ. 경추-견갑골-상완골 복합체(CSHC)에서 기능적 퇴행의 임상 접근법 _155
1. 경추 전방 접근법(상부, 하부) _156
1) 상부 경추 전방 접근법 _156
2) 하부 경추 전방 접근법 _157
2. 상부 경추 후방 접근법 _159
1) C0/C1(후두골/경추1번) 견인 교정 _159
2) C1/C2(경추1번/경추2번) 측굴을 동반한 굴곡 교정 _160
3. 거상된 첫 번째 늑골 교정 _161
4. 중하부 경추 후방 접근법 _162
1) 3 fingers 간접교정 _162
2) CT junction(Cervicothoracic Junction) 직접교정 _164
3) 상부 흉추 신전을 통한 하부 경추 신전 교정 _166
5. 견갑대의 협응력 회복 접근법 _167
1) 흉쇄관절 가동술 _167
2) 견갑골 거상 또는 하강을 동반한 외회전근 강화 _168
3) 견갑골과 상완골의 협응력 회복을 위한 운동 조절 _169
4) 관절와상완관절에서 상완골의 외회전을 동반한 하방 견인 _173
6. 관절와상완관절의 부정렬 교정 _174
1) 관절와상완관절에서 상완골두의 재위치 교정 _174
2) 근위부 관절(관절와상완관절)을 이용한 신경 가동술 _176
(1) 근위부 관절(관절와상완관절)을 이용한 신경 가동술: 요골신경 _176
(2) 근위부 관절(관절와상완관절)을 이용한 신경 가동술: 정중신경 _178
(3) 근위부 관절(관절와상완관절)을 이용한 신경 가동술: 척골신경 _179
3) 원위부 관절을 이용한 신경 가동술 _180
(1) 요골두의 부정렬 교정① _180
(2) 요골두의 부정렬 교정② _180
7. 생역학적 침술요법 _181
1) 상부 승모근 _181
2) 견갑거근 _182
3) 흉쇄유돌근 _183
4) 경판상근 _184
5) 소흉근 _184
6) 극상근 _185
7) 극하근 _186
8) 대원근 _187
9) 협척혈(분절적 접근) _188
(1) 경추 중부 분절 자침 _188
(2) 경추 하부 분절 자침 _189
10) 견갑하근 _190
11) 삼각근 _190
8. 자하거 재생약침 _192
1) 하부 경추 협척혈 _192
2) 극상근, 극하근 _192
9. 레이저 자극 요법 _193
1) 성상신경절 레이저 자극 _193
2) 상완신경총에 레이저 자극 _194

저자소개

조성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의사이자 한의사인 복수 면허의사다. 통증 치료라는 막연한 목표를 향해 미국, 캐나다, 호주, 유럽과 국내를 돌아다녔지만, 치료 내용들은 구조적 수준의 주사와 침 치료에 머물렀다. 저자는 침 치료에 생역학을 접목한 ‘Biomechani\-cal Acupuncture’를 고안했고 호주, 체코, 그리스 ICMART를 통해 워크숍과 구두발표를 하였다. 프롤로 치료와 Neural Therapy에 생역학적 진단을 통한 접근을 위해 ‘FOST(Functional Orthopedic Stimulation Therapy)를 고안했고 국내 의사와 한의사를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이때쯤 저자는 의사 면허와 함께 새롭게 한의사 면허를 취득하게 되었고, 그 이후 주로 구조적으로 접근했던 이러한 치료들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새로운 생역학적 진단과 치료 체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후 경추-견갑골-상완골 복합체 및 요추-골반-고관절 복합체 등의 기능적 움직임 장애와 기능적·구조적 부정렬 및 퇴행이라는 관점으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Dr.Cho’s Concepts”와 “JET”가 이러한 접근법의 결과물로 고안되었고 기능적 시스템 추나(FSC)를 통해 기능적 움직임 장애에 대한 생역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인지행동치료와 “CPG”를 포함한 운동조절 장애와 인지행동 장애에 관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대한통증진단학회의 회장과 365마디척한의원추의원의 대표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이해하면 보이는 어깨치료 ABC》, 《핸즈온 허리: 근골격계 질환의 생역학적 진단과 치료》, 《장골의 PI 변위는 없다》, 《천장관절의 구조적 부정렬》이 있다.
펼치기
김수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365마디척한의원 나주혁신점의 대표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대한통증진단 학회 이사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유튜브 채널 ‘닥터초TV’의 편집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장골의 PI 변위는 없다》, 《천장관절의 구조적 부정렬》이 있다.
펼치기
전동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365마디척한의원추의원의 진료원장으로 일하였다. 현재 안암부부한의원의 대표원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대한통증진단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천장관절의 구조적 부정렬》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