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에너지/환경/우주
· ISBN : 979119422313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09-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8
PART 01 우주경제 변화의 중심
1. 우주, 미지에서 기회로 … 18
2. 우주는 새로운 경제 공간 … 30
3. 우주경제는 이렇게 움직인다 … 34
4. 우주경제, 가까이에 있다 … 41
5. 우주항공방산을 위한 여정의 시작 … 54
6. 뉴스페이스의 변화는 생태계를 어떻게 바꾸는가 … 57
PART 02 우주항공방산의 통합 개념, 현재와 미래를 잡는 전략
1. 방위산업과 우주산업을 연계할 새로운 기회 … 62
2. 우주경제의 통합 개념, 현재와 미래 전략 … 79
3. 우주항공방산의 새로운 기회와 성장 … 85
4. SA&D 인더스트리에서 해답을 찾는다 … 91
5.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라 … 95
6. 투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 … 99
PART 03 시장 선점을 위한 기업들의 성과와 전망
1. ‘274조 원 기업’ 스페이스X … 120
2. K-방산, 우주 시장을 향한 국내 기업 … 126
3. 우주 관광을 실현하는 7개 회사 … 132
4. 주목받는 글로벌 기업 … 136
5. 발사체 기업의 화려한 약진 … 145
6. 위성을 통한 새로운 기회 … 153
7. 우주공간, 다양한 기술의 적용 … 162
PART 04 우주경제의 비즈니스 기회를 노려라
1. 우주 쓰레기 제거, 18조 원 성장 시장 … 170
2. 위성산업의 다양한 서비스 … 179
3. 인공지능, 우주기술 혁신 가속화 … 188
4. 엣지 컴퓨팅, 우주에서 더 가치 있게 활용한다 … 191
5.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와 원웹(유텔셋)의 차이점 … 197
6. 위성 개발자, 내·외부 플랫폼 사용자를 고객으로 … 205
7. 우주의학, 우주비행사와 우주공간 비즈니스 기회 … 209
PART 05 우주경제의 미래
1. 미-중 경쟁이 지구를 넘어 우주로 확장 … 216
2. 인도 재벌들도 우주전쟁 참전 … 226
3. 왜 달 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을까? … 228
4. 현실적인 문제를 마주한 우주산업 … 233
5. 우주산업에 대한 무어의 법칙 … 241
PART 06 우주경제를 위한 과제들
1. 우주항공방산의 비즈니스 전략 수립을 위해 … 248
2. 우주항공방산 분야 공급망 확보 … 252
3. 우주항공방산, 더 성장하려면 스타트업을 육성해야 한다 … 255
4. 기술적 수용을 통한 성장과 효율성 … 264
5. 우주경제 상업화를 위한 4가지 과제 … 275
6. 우주에서의 경제적 기회 탐색 … 280
7. 우수한 인재 육성과 인력 확충 … 28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이 기업가, 투자자, 정부기관 및 대학, 우주, 항공, 방산 분야에 다방면으로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우주공간을 경제공간으로 인식하는 데 다양한 인사이트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 우주경제 상황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우주경제의 흐름을 이해하고, 우주경제의 현실적 난관을 미래의 비전으로 만들어야 한다.
우주공간이 기회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인식의 변화와 구체적 방법을 찾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이러한 여정은 순탄하지 않을 수 있다. 파도가 넘실거리는 바다에서 파도와 바람의 방향을 이용해서 서핑하는 것처럼 많은 사람이 용기를 내서, 우주공간에 일렁이는 파도에 올라타길 바란다.
앞으로 우리가 어떤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것에 따라 우주를 위한, 어쩌면 무모하게 생각했던 노력이 현재와 미래사회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우주 인터넷부터 우주 관광까지, 엄청난 확장성을 자랑하는 우주산업은 거대한 블루오션으로 평가받는다.
우주산업에 참여하던 구글과 같은 기업도 이제는 우주기업으로까지 확장 중이다. 앞으로는 우주 관광 및 우주제조와 같은 신산업이 출현해 우주산업 성장을 이끌 것이다. 동시에 복잡해질 우주궤도를 관리할 우주 교통관제 이슈와 국제 규범 등 다양한 분야에 중요한 이슈들이 발생할 것이다.
필자가 처음 우주산업이 미래 신산업으로 가능성을 주장했을 때가 2017년이다. 아무도 우주산업에 관심이 없던 그때 필자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우주산업 시작의 여정을 시작했다. 대기업에서 우주사업부를 만들자고 기획안을 올리고, 우주항공 전문 투자 기업을 초청해서 우리의 가능성을 방산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