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한시선

한국 한시선

(해동시선)

조두현 (옮긴이)
명문당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한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한시선 (해동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91194314165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5-02-25

책 소개

우리나라 역대 한시를 엮은 《해동시선》에서 가려서 번역하였다. 번역은 직역과 의역적인 면을 살펴보고자 노력하였고, 시구 중 어려운 단어에 대하여는 주석을 달았다. 또 시인의 시상을 상기하여 대의를 첨가하였으며, 시인의 약전을 붙여서 이해하는 데 참고하도록 하였다.

목차

머리말

• 수장에게 與隋將于仲文여수장우중문 ― 을지문덕
• 가을밤에 秋夜雨中추야우중 ― 최치원
• 가야산에서 題伽倻山제가야산 ― 최치원
• 한송정 寒松亭曲한송정곡 ― 장연우
• 벼슬길 下第贈登第者하제증등제자 ― 이공수
• 배 안에서 舟中夜吟주중야음 ― 박인량
• 오자서의 사당에서 伍子胥廟오자서묘 ― 박인량
• 봄바람 東宮春帖동궁춘첩 ― 김부식
• 감로사에서 甘露寺次韻감로사차운 ― 김부식
• 누가 내 마음을 알리오 樂道吟낙도음 ― 이자현
• 배 띄워라 使宋船上사송선상 ― 최사제
• 뻐꾸기는 울고 偶吟우음 ― 최승로
• 비는 내리고 山中雨산중우 ― 설손
• 대동강 大同江대동강 ― 정지상
• 벗을 보내며 送人송인 ― 정지상
• 개성사에서 開聖寺八尺房개성사팔척방 ― 정지상
• 산방에서 山房산방 ― 이인로
• 소상강 밤비 소리를 듣고서 瀟湘夜雨소상야우 ―이인로
• 공자의 사당에서 有感유감 ― 안유
• 경포대에서 鏡浦泛舟경포범주 ― 안축
• 강을 건너며 熊津渡웅진도 ― 강호문
• 산수도를 보고 晉州山水圖진주산수도 ― 정여령
• 벗에게 寄無說師기무설사 ― 김제안
• 보덕굴 普德窟보덕굴 ― 이제현
• 낚시터에서 漁磯晩釣어기만조 ― 이제현
• 봄비 春興춘흥 ― 정몽주
• 일본에서 奉使日本봉사일본 ― 정몽주
• 강남곡 江南曲강남곡 ― 정몽주
• 명원루에서 明遠樓명원루 ― 정몽주
• 달을 바라보면서 漢浦弄月한포롱월 ― 이색
• 부벽루에서 浮碧樓부벽루 ― 이색
• 산골에서 村居촌거 ― 이숭인
• 강호에서 帆急범급 ― 김구용
• 낙동강을 지나며 過洛東江上流과낙동강상류 ― 이규보
• 징광사에서 宿樂安郡禪院숙락안군선원 ― 김돈중
• 부벽루에서 浮碧樓부벽루 ― 이혼
• 글을 가르치며 卽事즉사 ― 길재
• 갈매기가 비웃을 것을 碧瀾渡벽란도 ― 유숙
• 백운봉에 올라 登白雲峰등백운봉 ― 이성계
• 단풍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 정도전
• 완산에서 全州懷古전주회고 ― 권근
• 청명절 春日城南卽事춘일성남즉사 ― 권근
• 금강산 詠金剛山영금강산 ― 권근
• 풍악에서 送僧之楓岳송승지풍악 ― 성석린
• 아우에게 在高城寄舍弟재고성기사제 ― 성석린
• 살구꽃이 피었네 松山송산 ― 변중량
• 거울 鐵原懷古철원회고 ― 강회백
• 영월에서 寧越郡樓作영월군루작 ― 단종
• 죽음길에서 臨死賦絶命詩임사부절명시 ― 성삼문
• 백이 숙제에게 題夷齊廟제이제묘 ― 성삼문
• 그림을 보고 水墨鷺圖수묵로도 ― 성삼문
• 선죽교 善竹橋선죽교 ― 이개
• 도롱이를 보내준 뜻은 謝人贈簑衣사인증사의 ―하위지
• 강태공에게 渭川漁釣圖위천어조도 ― 김시습
• 나그넷길 無題무제 ― 김시습
• 대쪽 같은 마음 囉㖽曲나공곡 ― 성간
• 어부 漁夫어부 ― 성간
• 청산백운도를 보고 蔡子休求畵作채자휴구화작 ―강희안
• 이상곡 述樂府辭술악부사 ― 김수온
• 산수화에 붙여 題山水畵제산수화 ― 김수온
• 제천에서 堤川客館제천객관 ― 정인지
• 잠에서 깨어 睡起수기 ― 서거정
• 거문고를 타며 伯牙백아 ― 신항
• 그대를 생각하고 萬里만리 ― 박은
• 달빛을 싣고題壁제벽 ― 최수성
• 거문고 詠琴영금 ― 조광조
• 산사에서 宿山寺숙산사 ― 신광한
• 독서 讀書有感독서유감 ― 서경덕
• 연경에서 燕京卽事연경즉사 ― 소세양
• 기러기를 그린 그림첩을 보고서 題畵雁帖제화안첩 ―소세양
• 낙화암에서 落花巖낙화암 ― 홍춘경
• 마음을 달래며 無爲무위 ― 이언적
• 은자를 찾아서 訪曺處士隱居방조처사은거 ― 박순
• 삼일포 三日浦삼일포 ― 전우치
• 칠석 七夕칠석 ― 김안국
• 누가 대장부라 하리오 北征북정 ― 남이
• 한식 寒食한식 ― 이정
• 가을 秋懷추회 ― 정용
• 봄은 왔는데 送白光勳還鄕송백광훈환향 ― 임억령
• 산에 돌아와서 用企齋韻送聽松還山용기재운송청송환산― 임억령
• 송경에서 松京懷古송경회고 ― 이맹균
• 영남루에서 密陽嶺南樓밀양영남루 ― 김계창
• 산중에서 山中산중 ― 이이
• 화석정에서 花石亭화석정 ― 이이
• 임의 곁을 떠나며 求退有感구퇴유감 ― 이이
• 가을하늘에 秋思추사 ― 양사언
• 낚시질 南溪暮泛남계모범 ― 송익필
• 산길 山行산행 ― 송익필
• 만월 望月망월 ― 송익필
• 남악을 유람하며 遊南嶽유남악 ― 송익필
• 우계 형에게 寄牛溪기우계 ― 송익필
• 백마강 白馬江백마강 ― 송익필
• 발길을 끊고서 書懷서회 ― 김굉필
• 청주에서 題淸州東軒제청주동헌 ― 성현
• 홍경사에서 弘慶寺홍경사 ― 백광훈
• 봄날 閑居卽事한거즉사 ― 백광훈
• 어떤 사람을 사랑할까 偶吟우음 ― 조식
• 구름에 가린 햇빛 漫成만성 ― 조식
• 스님에게 贈僧증승 ― 성혼
• 마이산 馬耳山마이산 ― 김수동
• 지리산 遊岳陽유악양 ― 정여창
• 부벽루 浮碧樓부벽루 ― 기대승
• 해당화 그늘 아래서 海棠花下杜鵑啼해당화하두견제 ―신응시
• 꽃이 피고 지는데 偶吟우음 ― 송한필
• 매화 향기를 맡으며 偶吟우음 ― 이후백
• 규원 閨怨규원 ― 이후백
• 중양절 重陽중양 ― 정작
• 어느 곳으로 갈 것인가 題忠州望京樓韻제충주망경루운― 김인후
• 산사山寺산사 ― 이달
• 동학사에서 會東鶴寺次尹吉甫韻회동학사차윤길보운 ―이유태
• 약산의 동대에서 藥山東臺약산동대 ― 이유태
• 나그넷길 偶吟우음 ― 소두산
• 옛 자취를 찾아서 感古감고 ― 소두산
• 산을 넘으며 踰水落山腰유수락산요 ― 박태보
• 수종사 水鍾寺수종사 ― 김창집
• 응향각에서 凝香閣응향각 ― 이득원
• 무엇이 옳고 그른가 無可無不可吟무가무불가음 ―허목
• 그림에 붙여 龍湖吟용호음 ― 김득신
• 달 아래서 遊山寺유산사 ― 엄의길
• 밤비 山寺夜吟산사야음 ― 정철
• 꿈길 書懷서회 ― 정철
• 한산섬 閑山島夜吟한산도야음 ― 이순신
• 그림 題畵제화 ― 임광택
• 산을 찾아 齋居有懷재거유회 ― 유성룡
• 남강의 밤 南江夜泛남강야범 ― 최립
• 도중 途中도중 ― 이수광
• 취적원에서 吹笛院취적원 ― 이수광
• 한번 빗어 볼까 詠梳영소 ― 유몽인
• 생각하면 웃을 수밖에 此翁차옹 ― 이산해
• 해산사 海山寺해산사 ― 윤두수
• 노랫소리를 듣고 箕城聞白評事別曲기성문백평사별곡 ―최경창
• 대동강 大同江대동강 ― 윤근수
• 배꽃 閨怨규원 ― 임제
• 답청 놀이 浿江歌패강가 ― 임제
• 성심천 聖心泉성심천 ― 최숙생
• 꽃가지를 꺾어 들고 山中秋雨산중추우 ― 유희경
• 강정에서 江亭次成雙泉韻강정차성쌍천운 ― 유희경
• 언덕길 月溪월계 ― 유희경
• 등불 아래서 旅燈여등 ― 신흠
• 벗을 찾아서 醉題金自珍家취제김자진가 ― 이명한
• 백마강 白馬江백마강 ― 이명한
• 베틀에서 有感유감 ― 홍서봉
• 산길 山行산행 ― 강백년
• 제야에 除夜제야 ― 강백년
• 송도 松都懷古송도회고 ― 권갑
• 외딴집에서 途中도중 ― 권필
• 송강 묘를 지나며 過松江墓有感과송강묘유감 ― 권필
• 밤에 앉아서 夜坐書懷야좌서회 ― 권필
• 시를 읽고서 次玄悟軸中韻차현오축중운 ― 이지천
• 시를 읽고서 次玄悟詩卷韻차현오시권운 ― 김상헌
• 이별 留別유별 ― 정지승
• 봄날에 傷春상춘 ― 정지승
• 관서 땅에서 次鄭可遠韻차정가원운 ― 조수성
• 그믐밤에 除夜제야 ― 윤집
• 무릉이 어디뇨 戱吟희음 ― 허격
• 복숭아꽃 詠花영화 ― 이행원
• 금강산 金剛山금강산 ― 송시열
• 아내에게 瀋陽寄內南氏심양기내남씨 ― 오달제
• 송담에서 松潭偶吟송담우음 ― 송남수
• 청심루에서 野城淸心樓次韻야성청심루차운 ― 이식
• 수양산 首陽山수양산 ― 이담령
• 기러기 소리를 듣고 聞雁문안 ― 홍세태
• 만월대 滿月臺만월대 ― 홍세태
• 진남루 鎭南樓진남루 ― 홍세범
• 거울 怨詞원사 ― 최기남
• 거미 蜘蛛網지주망 ― 윤증
• 봄비 春雨춘우 ― 윤홍찬
• 산에서 山齋산재 ― 박령
• 수각 水閣수각 ― 임황
• 칠석 七夕칠석 ― 성덕문
• 항우 項羽항우 ― 주의식
• 소양강 昭陽江소양강 ― 김시완
• 그림을 붙이고서 題墨竹後제묵죽후 ― 정서
• 뱃놀이 秋日泛舟추일범주 ― 오한경
• 승가사 僧伽寺曉題승가사효제 ― 엄계흥
• 벗에게 贈友人증우인 ― 최림
• 국화 菊국 ― 최세연
• 달밤에 月夜월야 ― 임서규
• 들에서 郊居교거 ― 김시모
• 문을 열고 郡事군사 ― 홍우적
• 청심루 淸心樓청심루 ― 이순필
• 산에서 入山입산 ― 조관빈
• 육신사 六臣祠육신사 ― 정창해
• 가을밤 구름을 보고 秋夜望月有微雲點空仍賦추야망월유미운점공잉부 ― 안흥령
• 벗을 보내고서 送李時叔南歸송리시숙남귀 ― 유득공
• 거울 앞에서 元朝對鏡원조대경 ― 박지원
• 모춘에 暮春모춘 ― 신흥섬
• 달을 바라보며 月出口號월출구호 ― 홍현주
• 학 自白雲復至西岡자백운부지서강 ― 이서구
• 그림을 보고 陳曉畵진효화 ― 이서구
• 작은 것을 볼 때마다 初乘海舶초승해박 ― 홍석주
• 아이에게 兒莫啼아막제 ― 이양연
• 사람들의 말 送申使君光洙之任漣川송신사군광수지임련천― 이용휴
• 가을 잎 石井落槐석정락괴 ― 홍길주
• 갈매기와 더불어 漫興만흥 ― 이성천
• 각지에게 贈覺池증각지 ― 언기
• 일본에 보내며 送松雲之日本송송운지일본 ― 법견
• 김형에게 寄呈江陽金明府기정강양김명부 ― 처능
• 매화는 지고 山客산객 ― 해원
• 잠에서 깨어 睡起수기 ― 수초
• 강남곡 江南曲강남곡 ― 허난설헌
• 빈녀음 貧女吟빈녀음 ― 허난설헌
• 규원 閨怨규원 ― 허난설헌
• 어머니에게 泣別慈母읍별자모[자강릉상경自江陵上京] ―신사임당
• 달을 보고 賞月상월 ― 일타홍
• 한 閨情규정 ― 이숙원
• 꿈 夢몽 ― 이숙원
• 임을 이별하면서 別權判書尙愼별권판서상신 ― 의주기녀
• 반달 半月반월 ― 황진이
• 임에게 奉別蘇判書世讓봉별소판서세양 ― 황진이
• 송별 送別송별 ― 소옥화
• 임을 보내고 泣別北軒읍별북헌 ― 도화
• 강촌 江村春景강촌춘경 ― 죽향
• 꽃이 피고 지는데 落花渡낙화도 ― 신녀
• 정 寄情기정 ― 양사언의 소실
• 임을 그리며 秋懷추회 ― 억춘
• 백마강 白馬江백마강 ― 취선
• 임 懷人회인 ― 신익성의 노비
• 비단옷은 찢어져도 贈醉客증취객 ― 이매창
• 한 恨한 ― 취련
• 강태공 題太公釣魚圖제태공조어도 ― 정씨
• 3월에 집을 떠나 四絶亭遇諸學士席上口吟사절정우제학사석상구음 ― 태일
• 원사 怨詞원사 ― 전주 기녀

저자소개

조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시인. 전북 완주군 비봉면 출생. 전북대학 국문과 졸업 1959년《한시신역》으로 <현대문학>에 추천을 받아 문단에 나왔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