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꺕쑴

꺕쑴

(삼귀의에 대한 가르침)

게셰 체링 노르부 (지은이), 인강 김수연 (옮긴이), 게셰 빨댄 닥빠, 게셰 소남 초펠
그린비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510원
14,790원 >
15,300원 -10% 2,500원
0원
17,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꺕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꺕쑴 (삼귀의에 대한 가르침)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94513001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4-12-16

책 소개

꺕쑴(귀의)에 대한 체계적이고 명확한 설명이 들어 있다. 저자는 누구라도 이해하기 쉬운 예시를 들어 개념을 자세히 해설했다.

목차

일러두기 06
머리말 09
추천사 10

Ⅰ. 귀의의 핵심 여섯 가지 … 20

1. 귀의의 원인 23
1) 귀의의 원인 두 가지 23
2) 귀의 세 가지 26
3) 귀의심을 일으키는 요건 27
4) 고통 세 가지 28
5) 자유가 없다는 것 34
6) 무생을 깨달아 얻으려면 36
7) 참된 귀의심 36
8) 고통의 본질 37
9) 법을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핵심 38
10) 참된 귀의심이 생기는 이치 39

2. 귀의의 대상 41
1) 귀의할 대상이 갖추어야 할 조건 네 가지 42
2) 귀의의 대상 세 가지 44

3. 귀의하는 방식 47
1) 삼보의 공덕을 아는 것  48
2) 삼보 각각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 54
3) 삼보를 귀의처로 맹세하는 것 55
4) 굳은 선언 55
5) 귀의의 본질 56
6) 가장 훌륭한 희구 57
[질의응답] 58

4. 삼보께서 우리를 구제하는 방식 71
1) 대규모 관정 법회의 교훈 72
2) 붓다께서 우리를 구제하는 방식 74
3) 우리는 무엇을 위해 붓다께 귀의하는가 76
4) 악도에 빠지지 않는 요건 77
5) 사형수의 예 79
6) 부자의 조언 80
7) 악도에서 벗어나는 핵심 82
8) 공성을 통찰하는 바른 견해를 얻기 위한 방법 83
9) 마구니 네 가지 83
10) 내가 나의 구제자이네 85
11) 빨댄 닥빠 큰스님의 교훈 89
[차담 중 질의응답] 90
12) 붓다께서 우리를 구제하는 방식의 핵심 95
13) 해탈 96
14) 사성제를 취하고 버림으로써 실천하는 방법 97
15) 사성제의 열여섯 가지 양상(행상) 104
16) 고통의 진실에 대한 쫑카빠 대사의 게송 110
17) 빨댄 닥빠 큰스님의 비유 113
18) 바른 귀의와 걜와 린뽀체의 말씀 114
[심야 담론] 117

5. 귀의한 이가 실천해야 할 지침(학처) 122
1) 하지 않아야 할 지침 세 가지 123
2) 해야 할 지침 세 가지 129
[질의응답] 141
[대중에게 질문] 153
3) 공통된 다섯 가지 지침 155
4) 『보리도차제대론』 156

6. 귀의의 공덕 157
1) 귀의의 이익 여덟 가지 157
2) 삼귀의 수행에 매우 중요한 게송 170
[대중에게 질문] 174
3) 환자와 의사의 비유 175
4) 삼귀의 수행의 핵심 177

Ⅱ. 삼귀의 사유하기 … 178

1. 귀의 대상 보충설명 179
1) 붓다께서는 어떠한 분인가 179
2) 붓다 말씀의 공덕(묘음) 182
3) 붓다 마음의 공덕 세 가지 196
[질의응답] 빨댄 닥빠 스님의 회신 200

2. 마무리 말씀 207
3. 회향 기도 208
[나눔] 209

[부록·티베트 기도문] 213
균착쑴빠_항상 해야 하는 세 가지 214
만달라 기도 226
삼귀의 하기 전 독송 228
쎔꼐_귀의와 보리심 일으키기 230
자비로운 스승께 예찬 232
체메시_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 일으키기 234
마음을 다스리는 여덟 가지 게송 236
반야심경 기도문 242
회향 기도 244
욘뗀 시규르마_공덕의 근원 246

저자소개

게셰 체링 노르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인도 대뿡 로셀링 사원의 승려이자 전임 불교철학 교수사이며, 반야학 최고의 권위자 대선지식인 게셰 빨댄 닥빠의 수제자. 티베트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고향의 작은 사원에서 불교 공부를 시작했고, 1984년 스승 상라 툴쿠잠빠 툽덴 린첸에게 사미계를 받았다. 인도로 건너가 대뿡 로셀링 사원에 입학한 해에 달라이 라마 존자에게서 비구계를 받았다. 2001년 게셰 하람빠(티베트 겔룩빠 최고의 불교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2008년 로셀링 사원 교육부의 주요 책임자가 되었다. 2010년 티베트 당고 지역의 가덴 랍덴남걀 사원에서 샨띠데와의 『입보리행론』과 빨댄 닥빠 큰스님의 가르침을 전했다. 2008년부터 현재까지 로셀링 사원에서 재직하면서 현교와 밀교에 대한 5대 불교 경전을 가르치는 한편, 온라인으로도 불교 입문 과정을 가르치며 세상의 평화와 행복을 위해 불교를 선양하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로 『ཤེས་རབ་ ང་པོ་དང་ཡོན་ཏན་གཞིར་གྱུར་མའི་འགྲེལ་པ།』(반야심경과 공덕의 토대 주석) 등이 있다.
펼치기
인강 김수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1년 영담 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출가했다. 2013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게셰 빨댄 닥빠 큰스님을 스승으로 하여 남인도 장춥최링(Jangchub Choeling) 티베트 사원에서 9년간 인명학과 반야학을 공부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중에 있다. 공동번역서 『현자들께서 기뻐하시는 중관의 난제에 관한 요지를 밝힌 견해』(게셰 빨댄 닥빠 지음)이 있다.
펼치기
게셰 소남 초펠 ()    정보 더보기
티베트 불교철학 박사. 티베트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인도로 망명해 불교 공부를 했다. 티베트 대뿡 로셀링 사원에서 게셰 하람빠 학위를 받았고, 에모리대학교에서 뇌과학을 공부했다. 대뿡 로셀링 명상 및 학문 센터 공동이사와 에모리대학교 티베트 학문 주관조정자를 역임했으며 정토마을 한국티베트문화학술연구원(KTCARI)에서 번역을 하면서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번역서 『로사르믹제(새로운 마음의 눈을 여는 말씀)』(달라이 라마 지음)가 있다.
펼치기
게셰 빨댄 닥빠 ()    정보 더보기
겔룩빠 3대 승원의 하나인 대뿡 로셀링 사원의 저명한 지도자이자 교수사. 중관학에 대한 특별한 견해를 차별화된 방식으로 설명해 명성을 떨치고 있다. 1947년 티베트 간덴 랍케링 사원으로 출가하여 1951년 티베트 라싸의 대뿡 사원에서 경전 공부를 시작했고, 1959년 인도로 망명해 1974년 인도 대뿡 사원에서 게셰 하람빠 학위를 받았다. 1989년부터 지금까지 대뿡 사원에서 학인들에게 5대 경인 인명학, 반야학, 중관학, 구사론, 율학을 가르치고 있다. 1983년 버지니아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 초청으로 불교 심리학을 가르쳤고, 2003년 에모리대학교(Emory University) 초청으로 3개월간 중론의 가르침을 폈다. 저서로 『선설신심장엄』Legs bshad dad pa’i mdzes rgyan, 『현자들께서 기뻐하시는 중관의 난제에 관한 요지를 밝힌 견해』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좋은 열매를 수확하고자 한다면 그 원인이 되는 밭에 좋은 씨앗을 뿌리고 정성껏 물과 거름을 줌으로써 열매가 잘 익도록 살펴야 합니다. 삼귀의의 원인을 바르게 심어야 하는 이치 또한 이와 같습니다. 좋은 원인에 의해서 좋은 열매를 얻게 되는 것처럼 우리가 귀의하는 그 원인이 바르고 견고하다면 결과적으로 바르고 참된 귀의를 할 수 있습니다.


잘 살펴보면 우리는 마치 감옥에 갇힌 죄수와 같습니다. 사형수가 감옥 안을 여기저기 돌아다니더라도 감옥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죄수에게는 자유가 조금도 허락되지 않습니다. 그와 같이 우리도 자유의지 없이 이 윤회의 세계를 반복해서 유영할 뿐입니다. 우리가 가장 먼저 인지해야 할 중요한 내용이 바로 유위의 고통입니다. 유위의 고통을 생각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어렵더라도 ‘업과 번뇌의 힘으로 좌지우지될 뿐 자신에게는 티끌만큼의 권한도 주어지지 않는 현실’을 자신의 능력만큼 최선을 다해 사유하고 또 반복해서 깊이 사고할 수 있다면 업과 번뇌의 힘으로 더 이상 끌려가지 않도록 만들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나에게 불같은 화가 일어난다면 스스로 화가 났다는 것을 인식하기가 쉽습니다. 불같이 일어나는 화로 인해서 악한 말을 하거나 누군가를 때리게 되면, 그러한 행위에 대한 후회와 부끄러움이 찾아올 가능성이 큽니다. 화로 인한 허물을 스스로 파악하기란 비교적 쉽습니다. 번뇌를 인지하기 쉬울수록 번뇌를 해독하는 방식도 쉬워집니다. 만약 탐(집착·탐욕), 진(증오), 치(잘못된 생각)의 번뇌가 매우 미세한 수준으로 발생한다면, 그것이 실제로 생겨났다 해도 번뇌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번뇌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면 이 번뇌가 얼마나 해로운지는 더욱 알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번뇌가 얼마나 해로운지를 모른다면 그것을 없애야 한다는 생각은 더욱더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