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6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글로벌 트렌드와 사업화 전략

2026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글로벌 트렌드와 사업화 전략

IRS글로벌 편집부 (엮은이)
아이알에스글로벌(IRS Global)
49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41,000원 -10% 0원
24,500원
416,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6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글로벌 트렌드와 사업화 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6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글로벌 트렌드와 사업화 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94532163
· 쪽수 : 514쪽
· 출판일 : 2025-11-03

책 소개

지구온난화는 지구 전체의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IRS글로벌에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글로벌 트렌드를 조사하고, 에너지 전환의 중심에 있는 재생에너지 동향과 촉진 전략을 분석하였다.

목차

Ⅰ. 탄소중립ㆍ탈탄소 실현을 위한 글로벌 트렌드

1.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글로벌 한계와 기회
1-1.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동향과 배경
1) 탄소중립이 요구되는 세계 정세
(1) 세계 온실가스 배출 및 기온 동향
(2) 기후변화 협약 파리협정
(3) 유엔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2) 세계 온실가스(GHG) 배출량 동향과 각국의 배출 감소 목표
3) 2030년의 배출 삭감 목표(NDCs)에 관한 분석과 평가
(1) 세계 각국의 NDCs 배출 감축 목표 상황
(2) NDCs의 배출 감축 노력 평가
4) 배출 감축 노력의 연구사례 분석
(1) UNFCCC 사무국에 의한 Synthesis 리포트
(2) UNEP에 의한 Emission Gap Report 2024(EGR 2024)
1-2. 주요국의 GHG 배출 감축 목표와 대응 현황
1) 미국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2) EU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3) 영국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4) 캐나다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5) 프랑스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6) 독일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7) 이탈리아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8) 중국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9) 일본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10) 한국
(1) 현재까지의 진척 현황
(2) 향후 목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대응

2. 탈탄소화에 대처하는 국내외 정책 추진 동향
2-1. 미국의 탈탄소화 정책 추진 동향
1) 제2차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ㆍ환경 정책 재검토
(1) 배출규제 등의 철회
(2) IRA의 재검토ㆍ철회
(3) 파리협정으로부터의 탈퇴
(4) 에너지 도미넌스 정책
2) 미국의 배출량 추계 분석
2-2. 유럽의 탈탄소화 정책 추진 동향
1) 유럽의 목표와 현황
2) 유럽의 문제의식과 정책 동향
(1) 2024~2029년 전략 어젠다
(2) EUROPE'S CHOICE: 2024~2029년 정치 지침
(3) 드라기 리포트
(4) 부다페스트 선언
(5) 경쟁력 컴퍼스
(6) 옴니버스 패키지, 클린 산업 딜
2-3. 영국의 탈탄소화 정책 추진 동향
1) 에너지믹스의 진척과 2030년 목표
(1) 에너지믹스의 진척
(2) 2030년 에너지믹스 목표
2) 인허가 취득 프로세스의 최적화
(1) 지역ㆍ국가별 인허가 제도와 과제
① 국가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NSIPs)
② 도시계획법(TCPA)
③ 스코틀랜드
(2) 인허가 취득 프로세스의 최적화를 위한 행동계획
① 인허가 제도 관련 기관에 필요한 툴 제공
② 인허가 제도의 개정
③ 입법개혁 착수
④ 자연환경에 대한 배려
⑤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⑥ 각국 정부와의 연계
3) 계통접속 프로세스의 개정
(1) 송배전망 증강과 확장의 필요성
(2) 계통접속 프로세스의 과제와 행동계획
① 계통접속 규칙의 재검토
② 규제개혁
③ 인허가 절차 일부 면제
④ 지역사회와의 연계
4)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를 위한 시책
(1) 차액 결제 계약(CfD)
(2) Great British EnergyGBE
①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및 보유
② 프로젝트 개발
③ 지역발전계획(Local Power Plan) 추진
④ 서플라이체인(supply-chain) 정비
⑤ Great British Nuclear(GBN)와의 연계
(3) 지역의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4) 기타 저탄소 발전기술
① 원자력 발전
② 바이오매스 발전
③ 신흥 재생에너지 기술
(5) 기타 시책
① 풍력발전 산업과 민간항공 및 방위 산업 간의 상호간섭
② 기설 발전소에 대한 지원
5) 전력 시장 개혁
(1) 도매전력시장
(2) 용량 시장
(3) Ancillary services(발전설비 계통연계 서비스) 시장
(4) 탁송 요금
(5) 전력 소매 시장
6) 단주기형 유연성(Short-duration flexibility)
(1) 축전지
(2) 소비자 주도의 유연성(Consumer-led flexibility)
(3) 국제연계선(인터커넥터)
7) 장주기형 유연성(Long-duration flexibility)
(1) 가스화력+CCUS
(2) 수소발전(H2P: Hydrogen to Power)
(3) 장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LDES: Long-duration electricity storage)
① '캡 앤드 플로어형 투자 지원 스킴' 도입
② 파이낸스의 제공
③ 용량 시장 개혁
④ 이노베이션 추진
⑤ 인허가 및 계통접속
(4) 가스 화력
8) 서플라이체인 및 노동력의 강화와 확보
(1) 공급망(supply-chain) 확보를 위한 과제
① 공급망 전체의 안정성 확보와 투자환경 정비
② 자국내 제조능력 강화 및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향상
③ 물류면에서의 제약
(2) 노동력 확보를 위한 과제
① 향후를 위한 인재 육성
② 스킬 향상과 인력 이전
③ 클린 에너지 산업의 직업에 대한 인지도와 다양화의 필요성
④ 클린 에너지 산업의 지역 편재
(3) 공급망 및 노동력의 강화와 확보를 위한 행동 계획
① 공급망(supply-chain)에 있어서의 자국내 기회의 최대화
② 국제연계를 통한 공급망 지원
③ 자국내 노동력 강화
④ 클린 에너지 산업의 직업에 대한 인지도 향상
2-4. 아시아ㆍ대양주 지역 주요국별 탈탄소화 정책 추진 동향
1) 개요
2) 국내 정책 동향
3) 해외 국가별 정책 동향
(1) 중국
(2) 일본
(3) 대만
(4) 필리핀
(5) 베트남
(6) 태국
(7) 말레이시아
(8) 싱가포르
(9) 인도네시아
(10) 인도
(11) 호주
4) 향후 사업 기회와 유의점

Ⅱ.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트렌드와 전망

1. 세계 에너지 전환 현황 및 대응 전략
1-1. 세계 에너지 전환의 현재 위치
1) 핵심 포인트 요약
(1) 계속 확대되는 세계 에너지 수요와 CO2 배출량
(2) 지정학적 정세를 배경으로 한 에너지 거래의 재구축
(3) 총 에너지 공급 및 탄소
2) 에너지 섹터별 주요 포인트
(1) 석유: 구조적인 수요는 포화상태(피크오일)
(2) 천연가스: 재생에너지 및 주력 에너지로 진화
(3) 석탄: 높은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을 갖추고 아시아 신흥국에서의 수요는 대폭 확대
(4) 주요 광물: 중국이 생산ㆍ매장량 모두 우위 유지
(5) 전력: 급속한 전기화 진전 및 공급 인프라에 대한 과제도 가시화
(6) 풍력ㆍ태양광 발전: 지속적인 성장에도 지역 간 격차와 구조적 제약이 확대의 벽으로
(7) 바이오연료: 아시아 주도 성장과 유럽 감퇴로 지역차 확대
(8) 에너지 유래 탄소배출량: 중국과 인도가 세계 배출 증가의 주 요인
3) 저탄소 및 제로탄소 에너지에 대한 투자의 이점
4) 지역별 에너지 안보
1-2. 에너지 新시대를 가속하는 에너지 전환
1) 개요
2) 파리협정 이후 진전
3) 에너지 전환의 현황과 이슈
(1)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의 저하
(2) 재생에너지 기술 도입 속도와 규모
(3) 클린 에너지 전환에 대한 투자
(4) 고용 및 경제성장에 대한 클린 에너지 분야 기여
(5) 경제성장과 배출량의 분리(디커플링)
(6) 개발개도국의 에너지 전환을 지원하는 혁신적인 메커니즘
4) 에너지 전환 가속화의 기회와 이점
(1) 에너지 안보와 주권
(2) 에너지 경제성
(3) 에너지 접근성
(4) 전력 시스템의 회복탄력성
(5) 일자리 창출ㆍ경제성장ㆍ산업경쟁력
(6) 추가적인 사회경제적ㆍ환경적 편익
1-3. 에너지 전환에 요구되는 과제 및 전략 분석
1) 향후 과제와 리스크
(1) 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기 위한 자금 조달
(2) 전력 수요의 구조적 증가
(3) 클린 에너지 기술 공급망의 취약성과 리스크
(4) 기상 및 기후 변동성
(5)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는 세계적 전환 실현
2) 제도적ㆍ거시경제적ㆍ법적 장벽
(1) 에너지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 부족
(2) 여러 수준과 차원에서 존재하는 정책 불일치
(3) 넷제로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장기 전략 부족 또는 불충분
(4) 사회 정의와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집중 부족
(5) 클린 에너지 자금 조달을 확대하기 위한 여건 부족
(6) 장벽 또는 촉진 요인이 될 수도 있는 무역정책 및 투자협정
(7) 지속적인 화석 연료 확장 및 락인(lock-in)
(8) 화석 연료 관련 로비 활동, 허위 정보, 그린워싱 및 지연 전술
3) 새로운 에너지 시대 전환을 위한 대응 전략
(1) 정책의 정합성, 명확성, 확실성 확보
(2)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지지하는 인프라에 투자
(3) 새로운 전력 수요는 재생에너지로 공급
(4) 공정한 에너지 전환 중심의 경제발전 촉진
(5) 무역과 투자에 대한 협력 강화 및 전환 가속화
(6)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전환 자금 확보를 위한 구조적 장벽 해소

2. 효과적인 에너지 전환 촉진 트렌드
2-1. 글로벌 에너지 전환
1) 개요
2) 글로벌 에너지 전환 트렌드
(1) 에너지 전환의 진전은 회복세
(2) 지역별로 크게 상이한 평균 에너지전환지수(ETI)
(3) 에너지 전환을 계속 주도하고 있는 북유럽 지역
(4) 중요하지만 지연되고 있는 에너지 안보
2-2.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의 재정립
1) 에너지 전환의 역사적 동인
2) 새로운 글로벌 관계의 에너지 시스템
(1) 진화하는 시장 현실
(2) 확장된 내러티브
(3) 다중 속도 및 다차원적인 전환 관리
3) 에너지 시스템의 성장과 경쟁력
(1) 투자 필수 사항
(2) 정책 및 시장의 힘
(3) 경제적 기회로서의 에너지 전환
2-3. 세계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는 배터리 등의 충전 시스템 트렌드
1) 개요
2) 전력부족과 과부하: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송전망 통합의 과제
3) 축전 시스템 구축: 재생에너지 과제 해결
4) 축전지 혁명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회
5)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의 원동력

3. 재생에너지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3-1. 세계 재생에너지 도입 현황
1) 세계 전체 재생에너지 도입 개관
2) 세계 국가별 도입량
(1) 태양광 발전(PV)
(2) 풍력 발전
3) 재생에너지의 비용 동향
4) 역대 최대 증가로 에너지 시스템 전환 가속
5) 재생에너지의 과제
3-2. 재생에너지 전력 성장
1) 재생에너지의 발전 동향
(1) 발전 용량의 발전
(2) 발전량의 추이
2) 주요 분야별 최근 동향
(1) 태양광 발전
(2) 풍력 발전
3) 향후 주요국 및 지역 전망
(1) 아시아
① 중국
② 인도
③ 동남아시아
④ 한국ㆍ일본
(2) 미국
(3) 유럽
4) 비선형적인 재생에너지 성장이 가져오는 시스템 전환
3-3. 재생에너지 선진지역 중남미의 현황과 과제
1) '재생에너지 선진지역' 중남미 지역의 내실
(1) 미국으로부터의 천연가스 수입에 의존하는 멕시코
(2) 중미ㆍ카리브 국가들: 중미와 도서국으로 크게 나뉘는 상황
(3) 수력 의존에서 에너지원의 다각화를 목표로 하는 남미 지역
2) 새로운 신에너지 도입을 위한 과제
(1) 시간의 정권에 의해 에너지 정책이 좌우되는 경향
(2) 변동성이 높은 경제상황과 그에 따른 높은 자본비용
(3) 선주민 커뮤니티를 배려할 필요성
3) 풍부한 신재생 에너지를 배경으로 한 비즈니스 기회
(1) 그린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
(2) 밸류체인의 탈탄소화
(3) 탄소배출권 시장 활성화
4) 향후 중남미 지역이 기업의 중요한 파트너가 될 가능성
(1) 공급망의 탈탄소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중남미 수요가 높아질 전망
(2) 현지 사정을 이해하면서 자사 공급망의 탈탄소화에 편입시키는 것이 중요

Ⅲ. 에너지 혁신을 위한 新정부 유망 분야별 트렌드와 전망

1.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대전환
1-1. 에너지와 인공지능(AI)의 연관성
1) 인공지능(AI)의 부상과 에너지와의 연관성
(1) AI의 부상
(2) 인공지능(AI)을 위한 에너지
(3)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인공지능(AI)
2) AI을 위한 에너지와 에너지를 위한 AI
3) AI 모델 생애주기 및 에너지 소비
(1) 하드웨어 제조
(2) 모델 훈련
(3) 모델 사용
1-2. 에너지 혁신을 위한 AI와 영향 분석
1) 에너지 혁신을 위한 AI
2) 에너지 혁신 과제에 대한 솔루션을 가속화하는 AI
(1) 혁신 주기 개요
(2) AI를 혁신 프로세스에 통합
(3) AI에 의해 가속화할 에너지 기술 분야
3) 인공지능(AI) 시대의 에너지 보안
(1) 에너지 보안을 강화하는 AI의 응용
(2) AI를 위한 에너지 부문 공급망 보안
(3) 리스크 완화를 위한 데이터 센터의 스마트 통합
4) AI가 배출량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접근방식
(1) 데이터 센터의 배출량 증가 상황 파악
(2)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배출량을 줄이는 데 있어 AI의 역할
(3) AI로 인한 반등 효과의 불확실한 영향
1-3. 시나리오 플래닝에 의한 에너지 전망 분석
1) 개요
(1) 시나리오 플래닝과 접근방식
(2) 프레임워크와 현상 분석
(3) 중점과제의 현상 분석
① AI 기술의 진전과 에너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② 국제 정치
(4) 향후의 예상 가능한 사건
① 에너지 수요의 증가
② 에너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AI 기술의 발전
③ 에너지 시스템의 확실한 전력화
2) 주요 시나리오별 예측
(1) Surge 시나리오
(2) Archipelagos 시나리오
(3) Horizon 시나리오
3) 향후 40년 시나리오별 에너지 기술 연표
(1) 2025년 현재
(2) 2025~2035년
① Surge
② Archipelagos
③ Horizon
(3) 2035~2045년
① Surge
② Archipelagos
③ Horizon
(4) 2045~2055년
① Surge
② Archipelagos
③ Horizon
(5) 2055~2065년
① Surge
② Archipelagos
③ Horizon
4) ESS 2025에서의 에너지 정량 분석
(1) 1차 에너지 공급
(2) 화석연료
① 석유
② 천연가스
③ 석탄
(3) 신재생에너지
(4) 원자력
(5) CO2 회수 고정 기술과 기후변화 영향
5) IEA ‘Energy and AI’와의 비교
(1) IEA AI 보고서 개요
(2) IEA AI 보고서와 ESS 2025의 비교
① 시나리오 내러티브의 유무
② AI 보급 확대가 에너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③ SMR에 대한 기대
④ AI 보급이 에너지 시스템에 미치는 리스크

2. 수소에너지 및 수소발전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2-1. 국내외 수소산업 시장, 정책 동향과 전망
1) 세계 수소 수급 현황과 전망
(1) 수소 수요 동향
(2) 부문별 수소 수요
(3) 수소 공급 동향
2) 세계 수전해 시장 현황과 전망
(1) 시장 및 투자 현황
(2) 수전해 기술 현황 및 혁신 로드맵 : 국내 기술 다각화 전략
① 주요 수전해 기술 비교 분석 및 상용화 수준
② 국내 수전해 R&D 핵심 기술 로드맵
(3) 주요 업체 사업 동향
① 수전해 기업
② 전해조 제조기업
3) 세계 수소 무역과 인프라
(1) 수소 무역 현황과 전망
(2) 수소 파이프라인 현황과 전망
4) 수소에너지 가능성
5) 주요국별 수소 정책 추진 동향
(1) 수소 전략 및 공공 자금 지원 현황
(2) 수소 수요 확대 정책
(3) 수소 공급 지원 정책
(4) 수소 인증 제도 동향
6) 세계 수소 프로젝트 현황
2-2. 글로벌 수소 교역 및 협력 현황과 전망
1) 수소 수급의 지역적인 부조화
(1) 수소 공급망
(2) 청정 수소(Clean hydrogen)
(3) 수소 및 파생품의 지역별 수요와 미스매치
(4) 수입과 자국내 생산의 비교
2) 수소 무역 동향과 전망
(1) 주요 수소 산지와 비용
(2) 청정수소 수송의 향후 거래 트렌드
① 2030년까지: 초기 무역 루트 확립
② 2050년까지: 광범위하고 깊은 무역 관계가 지구를 연결할 가능성
③ 2050년까지 전체 수소의 70%가 재생가능에너지원 공급에 의해 제조
④ 2050년까지의 해상 선박 및 파이프라인 수송 능력
3) 수소 및 파생상품에 대한 투자 동향과 전망
(1) 2030년 및 2050년 전망
(2) 수소와 파생상품 무역을 통한 투자비용 절약
4) 수소 투자 시나리오 분석
(1) 케이스별 시나리오 검증
(2) 시나리오별 수소 무역 루트
(3) 시나리오별 공급비용 예상
5) 실현가능 요소에 의한 분석
(1) 지역별 역할
(2) 초국가적인 글로벌 수소 상품 시장
2-3.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1)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기술 개요
(1) 개요
(2) 활용
2) 글로벌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전망
3) 국내 연료전지 발전 동향 및 최근 이슈
(1) 생산 실적
(2) 발전량 및 설비용량
① 발전량
② 설비용량
(3) 국내 주요 동향
(4)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5) 청정수소 인증제
① 청정수소 인증 관련 국제 동향
② 주요 정책과제
4) 수소ㆍ암모니아 발전 기술개발 동향
(1) 수소ㆍ암모니아 발전 기술 개요
(2) 글로벌 수소ㆍ암모니아 생산/수급 동향
① 수소
② 암모니아
(3) 수소ㆍ암모니아 가스터빈 발전 동향
(4) 수소ㆍ암모니아 혼소발전 기술 동향

3.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3-1. 해외에서 추진되는 소형모듈원자로(SMR) 동향과 산업 전략
1) 전력 수요 증가에 대한 대응과 탈탄소화 실현을 위한 원자력 주목
(1) 개요
(2) 원자력에 대한 기대와 과제
(3) 거대 IT 기업도 주목하는 원자력
(4) 아마존이 SMR에 투자하는 이유
2) 진화하는 원자력 기술(차세대 혁신로)
(1) 혁신 경수로
(2) 고온가스로ㆍ고속로
(3) 소형모듈원자로(SMR)
(4) 핵융합
(5) FOAK 리스크에 대한 대응 필요성
3) 원자력을 둘러싼 정세와 특히 주목받는 경수로 SMR
(1) 에너지 안보의 관점
(2) 기후변화 대책의 관점
(3) 전력 수요의 관점
(4) SMR 개발ㆍ사회 구현 동향
4) 지속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SMR의 핵심 가치
(1) 원자력으로의 회귀
(2) SMR의 정의와 기대
(3) SMR 세계시장 동향 및 성장 전망
(4) SMR 개발을 위한 향후 과제
5) 소형모듈원자로: 용융염 원자로 및 고온가스로의 기술동향
(1) 개요
(2) 소형모듈원자로(SMR)
(3) 주목할 만한 동향
① 용융염 원자로 및 고온가스로 동향
② SMR용 연료제조 동향
③ SMR의 열 이용 기술
(4) 향후 전망
(5) 소형모듈원자로에 관한 지적재산 분석
3-2. 국가별 소형모듈원자로(SMR) 관련 동향
1) 각국의 소형모듈원자로(SMR) 주요 동향
2) 미국 동향
3) 영국 동향
4) 프랑스 동향
5) 기타 유럽 국가들의 동향
6) 중국ㆍ러시아의 동향
7) 일본 동향

4. 에너지저장장치(ESS)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4-1. 에너지저장장치(ESS) 정의 및 분류
1) 정의 및 개념
2) 구성 및 분류
(1) 구성
(2) 기술별 분류
(3) 용도별 분류
3) 기술별 분류와 특징
(1) 전기ㆍ화학적(배터리) ESS
(2) 기계적 ESS
① 양수 발전
② 압축 공기
(3) 열적 ESS
① 초임계 CO2
② 용융염
③ 액화 공기
(4) 화학적 ESS
① 수소
② 암모니아 및 메탄올
4-2. 국내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ESS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설치량 및 시장 전망
(2) 국가별 설치량 및 시장 전망
(3) 용도별 시장 전망
(4) 기술별 시장 전망
2) 국내 동향
4-3. 주요국의 에너지저장장치(ESS) 도입 사례
1) 미국 ESS 도입 사례
2) 독일 ESS 도입 사례
3) 영국 ESS 도입 사례
4) 호주 ESS 도입 사례
5) 한국의 장주기 에너지저장장치(LDES) 설치 사례

5. 분산형 전원 국내외 추진 현황과 시장 동향
5-1. 분산형 전원의 국내외 기술 및 시장 동향 분석
1)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전환의 이해
2) 글로벌 기술 및 시장 동향
(1) 분산형 에너지 시장 규모 및 성장 전망
(2) 핵심 기술 혁신 동향: VPP 고도화 및 ICT 융합
(3) 해외 주요국 정책 및 활용 사례
3) 국내 기술 및 시장 동향
(1) 국내 정책 및 제도적 변화: 분산에너지 특별법과 K-VPP 도입
(2) 국내 기술 개발 및 전력망 대응 과제
4) 국내 분산형 전원 활용 사례 분석
(1) 지역 에너지 자립 모델: 제주도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2) 도시 및 산업단지 적용 사례: 스마트시티 마이크로그리드
5) 요약 및 전략적 제언
(1) 분산형 전원 전환의 주요 트렌드 종합
(2) 미래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적 제언
5-2. 분산형 전원의 국내외 정책 추진 동향
1) 개요
(1) 분산형 전원의 중요성
(2) 분산형 전원의 개념 및 국내외 정책 환경 변화 배경
2) 국내 분산형 전원 정책 추진 동향
(1)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주요 내용
① 분산에너지의 법적 정의 및 범위 설정
② 분산에너지 설치 의무제 도입
(2) 전력계통 안정화 제도: 전력계통영향평가 도입의 의의
(3) 시장 활성화 및 인센티브 제도: 분산특화지역 추진 현황
(4) 분산형 전원 확대 전략: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목표 및 VPP 도입
① 2036년 분산형 전원 발전량 목표
② 통합발전소(VPP) 구축 계획(K-VPP)
3) 해외 주요국 분산형 전원 정책 및 시장 동향
(1) 미국: FERC 개혁과 IRA를 통한 분산형 자원(DER)의 시장 통합
① IRA를 통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
② FERC Order 2222의 파급 효과
③ VPP 상업화 모델 구축 현황
(2) 유럽연합(EU): 강력한 탈탄소 목표와 인허가 장벽
① 정책 프레임워크 및 목표 추진
② 정책 이행의 현실적 도전 과제
(3) 아시아 주요국 동향: 일본과 중국의 VPP 추진
① 일본의 전력 시스템 개혁
② 중국의 신전력 시스템 전략
4)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제와 대응 전략
(1) 국내외 분산형 전원 정책 비교 분석
(2) 국내 정책 추진 과정의 주요 도전 과제
(3) 향후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