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453432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7-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콘텐츠 비즈니스로 성공하라
유튜브 수업 1 크리에이터 레볼루션
1장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어야 한다
1.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의 시대가 왔다
크리에이터 비즈니스에서 기회를 잡아라 / 콘텐츠 생태계가 새로운 흐름을 타고 있다
2. 지구인이 아니라 유튜버로 부르게 됐다
전 세계가 영상 콘텐츠를 만들고 올리는 시대다 / 유튜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3. 유튜브는 더 이상 방송이 아니다
유튜브는 종합 편성 방송 플랫폼이다 / 소통과 공감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
2장 유튜브는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간다
1. 유튜브가 콘텐츠 시장을 바꾸다
구글의 새로운 도전이 대박을 낳다 / 국가마다 고유한 유튜브 특성이 있다
2. 영상 콘텐츠 시장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졌다
콘텐츠 시장에는 경계가 없다 / 글로벌 무한 경쟁 시대가 열렸다
3. 시장 분석과 트렌드 이해로 미래를 대비한다
채널 운영을 스타트업 방식으로 해보자 / ‘쉬운 전달’과 ‘대중과의 연결’이 중요하다
4. 시장은 생존과 도태의 조정기다
대중문화 시대는 지나고 플랫폼만 남는다 / 초개인맞춤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3장 모든 비즈니스는 스토리텔링이다
1.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돼야 한다
대체 불가 콘텐츠 기획을 해야 한다 /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한다면 독보적이 될 수 있다
2.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을 해야 한다
콘텐츠 기획 때 시장 분석부터 해야 한다 / 제작 전 스토리보드를 만들고 촬영하며 수정한다
3. 변수를 예측하고 극복해야 한다
시장 파악과 콘텐츠 완성도를 둘 다 해야 한다 /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을 조화시킨다
4장 오리지널과 인공지능으로 승부한다
1. 오리지널리티가 차별화의 시작이다
자신만의 스토리와 감성을 갖춘다 / 브이로그는 최적의 스토리텔링 도구다
2. 콘텐츠 기획에 인공지능을 활용하자
챗GPT로 콘텐츠 기획의 혁신을 꾀한다 / 인공지능을 활용할 때는 융합적 사고가 필요하다
3. 창의적인 콘텐츠는 크리에이터의 몫이다
인공지능이 창의적인 기획을 하지는 못한다 / 이제 콘텐츠가 빠진 비즈니스는 없다
유튜브 수업 2 콘텐츠 트래픽 설계와 실행
5장 스토리텔링의 문법이 달라졌다
1. 도파민이 콘텐츠의 만족 기준이 됐다
스토리텔링은 뇌과학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 3초 혹은 7초 이내에 매혹적이어야 한다
2. 인간의 이해가 콘텐츠의 시작과 끝이다
조직 행동이나 인간의 심리를 파악해야 한다 / 인문학적 지식과 경험을 결합해야 한다
3. 초개인맞춤 콘텐츠 전략을 세워야 한다
초개인맞춤 콘텐츠로 교감에 성공해야 한다 / 커뮤니티 속성을 잘 알고 접점을 만들어야 한다
6장 융합적 사고로 데이터를 이해한다
1. 1인이어도 기업 마인드가 필요하다
콘텐츠 제작자의 눈높이가 시청자와 같아야 한다 / 콘텐츠를 만들 때 데이터 기반 메타인지가 필요하다
2. 트래픽 관련 데이터를 읽어내야 한다
나만의 데이터베이스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 주도적인 데이터 해석이 창의적 사고를 끌어낸다
3. 영상 콘텐츠 문법에 따라야 한다
영상 문법은 직관적이고 연결적이어야 한다 / 소비자의 집중력을 계속 붙잡아야 한다
7장 ‘운’ 아닌 ‘데이터’로 킬러 콘텐츠를 기획한다
1. 시장의 수요를 확인해야 한다
키워드 검색을 통한 트렌드 분석을 주기적으로 한다 / 파레토 법칙을 활용해 키워드를 분석한다
2. 데이터로 생각하고 영상으로 소통한다
데이터 분석력이 콘텐츠 경쟁력이다 / 데이터로 시작하고 감각으로 완성한다
3. 트래픽의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
트래픽이 없는 콘텐츠는 죽은 콘텐츠다 / 메인 타깃을 중심에 두고 확장성을 갖춘다
유튜브 수업 3 콘텐츠 플랫폼과 생태계 전략
8장 플랫폼별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
1. 플랫폼에 따라 공략법을 만든다
플랫폼의 트렌드 전략 1: 인스타그램 / 플랫폼의 트렌드 전략 2: 유튜브 / 플랫폼의 트렌드 전략 3: 틱톡 / 플랫폼의 트렌드 전략 4: 넷플릭스
2. 협업과 분리를 통해 확장한다
경계를 넘어 새로운 수요자를 찾아라 / 채널 분리로 정체를 극복하라
3. 데이터 세분화로 시장에 접근한다
소비자의 행동 패턴과 욕망을 읽어야 한다 / 타깃 관련 데이터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4. 콘텐츠 제작의 기준점을 활용한다
창작과 유통을 함께 공략하는 기획을 한다 / 구글 트렌드로 콘텐츠 기획과 평가를 한다
9장 콘텐츠 생태계와 포지셔닝을 이해한다
1. 구글 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라
협업 툴을 활용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 / 구글 애즈가 콘텐츠 기획의 도구가 된다
2. 숏폼을 활용해 구독자를 늘려라
누구라도 갑자기 유명해질 수 있다 / 체류 시간을 늘릴 콘텐츠 전략이 필요하다
3. 지식 정보 콘텐츠는 롱폼이 유리하다
깊이 있는 콘텐츠는 여전히 필요하다 / 경쟁이 치열할수록 콘텐츠의 질은 높아진다
4. 이키가이로 포지셔닝 전략을 구축한다
이키가이로 콘텐츠 방향성을 찾아라 / 최신 유튜브 트렌드에서도 나만의 길을 찾아라 / 콘텐츠 비즈니스는 장거리 마라톤이다
10장 차별화와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한다
1. 각 플랫폼의 특성을 이해하고 공략하자
플랫폼의 문법을 이해하고 대응해야 한다 / 콘텐츠의 형식과 내용을 동시에 신경 써라
2. 콘텐츠 원 소스 멀티유즈 전략을 세우자
원 소스 멀티유즈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하자 / 원 소스 멀티유즈를 전략적으로 배포하고 활용하자
3. 숏폼은 채널 활성화의 트리거가 돼야 한다
숏폼의 등장은 비즈니스 가치 때문이다 / 진입장벽이 낮은 숏폼을 공략하라
4. 크리에이티브한 콘텐츠가 브랜딩을 만든다
스토리텔링이 강한 브랜드가 성공한다 / 대중성과 개성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5. 라이브 방송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라이브 방송은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다 / 플랫폼별 라이브 방송 전략의 차이를 알아라
유튜브 수업 4 콘텐츠 수익과 비즈니스 모델
11장 크리에이터도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
1. 수익을 내는 단계를 밟아야 한다
조회수뿐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도 구축해야 한다 / 콘텐츠 비즈니스 생태계를 이해하고 활용하라
2. 커머스 플랫폼으로의 진화에 대비한다
커머스와 연결된 콘텐츠 전략을 구축하라 /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로 승부하라
3. 트래픽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든다
명분 없는 콘텐츠 비즈니스는 실패한다 / 글로벌 관점에서 명분과 비즈니스를 조화시킨다
4. 콘텐츠 비즈니스는 트래픽이 중심이다
자신만의 확실한 콘텐츠로 트래픽을 창출하라 / 광고와 저작권 시스템을 이해하라
5. 크리에이터는 사업가가 돼야 한다
시장의 흐름을 읽고 기회를 포착하라 / 주관적인 감각으로 시장을 판단하지 마라
12장 브랜디드 콘텐츠로 수익을 극대화한다
1. 브랜디드 콘텐츠는 스토리로 승부한다
브랜디드 콘텐츠는 기존 광고와 다르다 / 스토리 중심의 맞춤식 마케팅 전략이어야 한다
2. MCN을 활용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한다
MCN을 통한 비즈니스 확장 전략을 가져라 / 브랜디드 콘텐츠는 창의적 스토리텔링이 핵심이다
3. 광고주와 전략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기획 의도를 명확히 하고 시각 자료를 활용하라
광고주와의 소통 방식은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나가는 말 지금이 크리에이터로 성공할 최적의 순간이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상 콘텐츠 시장의 성장 추세는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유튜브는 이미 모바일 시장을 석권했다. 2024년 7월에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집계를 보면 유튜브가 국내 모바일 앱 시장에서 7개월 연속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6월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가 총 4,625만 명이었다고 한다.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대표적인 IT 기업인 네이버 사용자보다 많았다. 심지어 음원 시장도 국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누구나 쉽게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세상에서 성공한 크리에이터가 되기란 쉽지 않다. 크리에이터의 기본 자질인 콘텐츠 크리에이티브, 즉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갖추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착각하는 부분이 있다. 크리에이터와 크리에이티브라는 단어에 담긴 창의성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듯하다.
데이터에 기반한 콘텐츠 비즈니스에서 크리에이티브creative란 무엇을 의미할까? 먼저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해서 찾아낸 숨은 의미를 실마리로 해 스토리텔링으로 만들어 창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인사이트는 필수적이다. 여기서 말하는 인사이트란 자신의 배경지식과 추론 능력 등 이 결합된 형태를 의미한다. 철학자 칸트가 말한 것처럼 인간에게는 감성, 상상, 지성, 이성이 있다. 나는 이 중에서 지성과 이성과 관련된 것들이 인사이트에 포함된다고 본다. 감성은 직관 능력이고 지성 은 판단 능력이고 이성은 추론 능력을 말한다. 판단과 추론에 의한 인사이트가 있을 때 숫자투성이인 데이터의 숨은 의미를 찾아낼 수 있다. 이 숨은 의미를 창작의 실마리로 해 작업하는 게 현시대의 크리에이티브 기획이다. 데이터에 기반한 콘텐츠 비즈니스에서 크리 에이티브를 정성적 기획 능력으로만 이해하면 커다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즉 데이터를 읽고 숨은 의미를 찾아내 자신만의 콘텐츠로 만들 수 있는 인사이트가 크리에이티브다.
유튜브의 콘텐츠 평가 방식이 급변하고 있다. 과거에는 구독자 수가 채널의 영향력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였으나 이제는 조회수 가 더욱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 구독자가 많더라도 조회수가 저조하면 플랫폼에서 가시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신생 크리에이 터라도 조회수가 높다면 빠르게 성장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이는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구독자보다는 개별 콘텐츠의 조회수와 시청 지속 시간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광고주들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채널을 평가하는 방식이 달라졌다. 과거에는 구독자 수를 기준으로 광고를 집행했지만 현재는 조회수와 시청 유지율이 더 중요한 척도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곧 크리에이터가 장기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인지도보다 개별 콘텐츠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