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진로/진학
· ISBN : 979119463404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2-2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4
1장 입시 첫걸음, 탐구력이 핵심이다
지금, 탐구력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18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의미하는 미래 인재상 21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25
1) 교과목 체계와 이수 단위의 변화 26
2)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의 주요 선택 과목 32
과목 선택 체험을 통한 나만의 학습 설계 39
1) 진로 맞춤형 과목 선택 시뮬레이션 39
2) 진로에 따른 모의 과목 선택 43
자기주도적 교육의 기대 효과와 도전 과제 46
2장 미래형 인재를 선발하는 입시의 흐름을 읽어라
2028 대입 제도의 변화 52
1) 통합형·융합형 수능의 도입 53
2) 내신 5등급제 전환과 평가 방식 변화 55
3) 대입 전형 방식의 재설계 58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슬기로운 학교생활 Tip 62
1) 균형 있는 내신, 수능, 비교과 활동 62
2) 학년별 대학 준비 로드맵 65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어떻게 우수한 학생을 판단할까 67
1) 학업 역량 70
2) 진로 역량 74
3) 공동체 역량 82
3장 경쟁력 있는 학교생활기록부 디자인하는 법
매력적인 학교생활기록부는 주제 탐구와 독서에서 출발한다 88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 이해 94
1) 학교생활기록부 평가 기준 95
2) 주요 영역 기재 요령 99
창체의 시대! 창의적 체험 활동 109
1) 자율·자치 활동 110
2) 동아리 활동 114
3) 진로 활동 116
4) 창의적 체험 활동의 기록 변화 119
지적 탐구가 태도로 드러나는 교과 학습 발달 상황 125
1)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126
2)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129
추천서를 대신하는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132
1)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의 이해 132
2)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기재 예시 135
4장 자기 이해를 기반으로 한 진로 탐색
꿈이 없어도 지적 탐구를 계속해야 하는 이유 138
진로 설계를 위한 자기 이해 142
1) 내 꿈은 어떻게 변했을까? 144
2) 자기 이해를 위한 질문지 145
3) 직업(진로) 탐색을 위한 질문지 146
진로 검사의 종류 147
대학 및 학과에서 희망 계열 탐색하기 152
1) 희망 계열(학과) 찾기 152
2) 희망 대학 및 학과(전공) 정보 탐색 155
TED/MOOC 활용하는 방법 163
1) TED/MOOC 활용 방법 165
2) TED/MOOC 활동 PPT 예시 171
5장 탐구력 신장을 위한 주제 탐구 활동
새로운 대입에서 학생의 성장을 보여 주는 방법 180
1) 대입의 변화에 따른 창체의 세특화 181
2) 주제 탐구에서 보여 줘야 하는 핵심 역량은 ‘탐구력’ 183
주제 탐구 활동의 구체적인 과정과 절차 186
주제 선정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방법 193
1)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 193
2) 인공지능을 활용한 질문과 개요 작성 방법 197
깊이를 더하는 주제 탐구 활동 탐색 방법 203
주제 탐구 보고서 작성과 결과 정리 216
1) 주제 탐구 보고서 작성 절차 및 방법 219
2) 좋은 주제 탐구를 위한 Tip 220
3) 주제 탐구 활동 결과 정리 222
4) 주제 탐구 활동 예시 223
6장 책 읽기에서 탐구력으로 확장하는 법
주제 탐구의 시작과 마무리는 독서 230
1) 독서 활동에서 주제 탐구 활동으로 연계·심화·확장하기 233
2) 교과 활동에서 창체 활동으로 연계·심화·확장하기 235
독서 활동을 위한 도서 탐색 방법 237
엮어 읽기와 깊이 읽기 독서법 244
1) 엮어 읽기(다독) - 1학년 244
2) 깊이 읽기(정독) - 2, 3학년 246
학년별 진로 독서 로드맵 248
사고를 키우는 독서 기록 방법 251
1) 교양 서적 독서 기록 251
2) 전공 심화 독서 기록 256
인공지능을 활용한 독서 기록 방법 260
참고 문헌 26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이 변화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도 달라지는 추세다. 입시 추세가 계속 변하다 보니 학생들도 입시 로드맵을 그리고 그에 대비해 많은 준비를 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앞으로의 입시에서 어느 대학이든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중요한 역량을 대표적으로 꼽는다면, 다름 아닌 탐구력이다. 명문대에서 키우고자 하는 미래의 인재는 인공지능과 차별되는 인간만의 새로운 관점과 창의적인 방식으로 미로를 마주할 수 있어야 한다. 앞으로 깊이 있는 지식의 확장을 통해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탐구자들이 입시라는 첫 관문을 잘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
- 들어가는 말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 간 연계와 통합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다학문적 접근 방식을 익히도록 설계되었다.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세계’와 같은 과목은 지리, 생태,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여 기후변화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각 학문의 관점과 방법론을 결합하여 문제를 다각도로 이해하고,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러한 융합적 사고 능력은 현대 사회의 복잡하고 상호 연관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글로벌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협력하고 혁신을 이끌어 내는 데 핵심적인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자기주도적 교육의 기대 효과와 도전 과제
무엇보다 학생들은 자기주도적학습 태도와 학습 전략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자신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꾸준히 실천하면서 학습 속도와 효율을 파악하는 메타인지 전략을 갖춰야 한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방식이 ‘다층적 학습 목표 전략’이다. 우선 학생이 실천 가능한 목표 수준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정한다. 무조건 달성할 수 있는 쉬운 목표(Easy Level)와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Hard Level)를 먼저 설정한 후, 두 목표 사이에 중간 목표(Medium Level)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슬기로운 학교생활 T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