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뮤지컬/오페라
· ISBN : 9791194775171
· 쪽수 : 151쪽
· 출판일 : 2025-08-05
목차
오페라 몽월 소개 ....................... 005
제 1 막
문희 - 내 사모하는 님이시여 ......... 014
보희 - 나 어제밤 꿈을 꾸었네 ........ 020
문희와 보희, 유신, 춘추의 4중창 ... 027
유신 - 나는 신라인이다 ................ 033
문희와 춘추의 2중창 ................... 040
춘추 - 오, 아름답고 순결한 나의 여인이여... 044
문희와 춘추 - 완전한 사랑 ............. 050
제 2 막
신라 용사들의 합창 (남성합창) ....... 054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여성합창) .. 062
춘추 - 가시나무 새 ....................... 070
어야 디여 차! (혼성합창) ............... 075
여왕과 춘추, 상대등의 3중창 .......... 089
상대등 - 그는 누구일까요? ............. 092
여왕과 춘추의 2중창 ..................... 097
여왕 - 이 여인을 구하리라 .............. 099
이 여인을 구하소서 (혼성합창) ........ 103
제 3 막
문희 - 떨어진 꽃잎 ......................... 112
유신 - 이 몹쓸 날 ........................... 118
유신과 문노의 2중창 ...................... 122
문노 - 서동요와 처용가 ................... 126
유신과 보희, 문노 3중창 ................. 131
문희 - 내 님을 위해서라면 ............... 135
문희와 춘추 - 영원한 사랑 ............... 140
신라의 영광 (혼성합창) ................... 145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페라 몽월 소개
[근거 설화]
신라시대 김유신(金庾信)의 누이 문희(文姬)가 언니인 보희(寶姬)로부터 꿈을 사서 김춘추(金春秋), 즉 태종무열왕의 비(妃)가 된 설화. ≪삼국유사≫ 권1 태종춘추공조(太宗春秋公條)에 전하는데, 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처음 보희가 꿈에 서악(西岳)에 올라가 오줌을 누니 장안에 가득 찼다. 이튿날 아침 아우인 문희에게 꿈 이야기를 하니 문희는 그 꿈을 사기를 소원해 비단 치마 한 벌을 주고 옷자락을 벌려 꿈을 사들이게 되었다.
그 뒤 김유신이 김춘추와 같이 정월 오기일(午忌日)에 자기 집 앞에서 축국(蹴鞠)을 하다가 일부러 김춘추의 옷을 밟아 옷끈을 떨어뜨리고 제 집에 들어가 달자고 하였다. 이에 김유신이 맏누이 보희에게 꿰매게 했으나 보희가 이를 거절하므로 문희에게 다시 부탁하니 문희는 그 뜻을 알고 상관해 그 뒤부터 김춘추가 자주 내왕해 임신하게 되었다.
김유신이 부정하게 관계해 임신한 문희를 꾸짖고, 선덕여왕이 행차하는 것을 기다려 마당에 장작더미를 쌓고 불을 질러 태워 죽이려 하였다.
왕이 이를 보고 측근에게 누구의 소행인가를 다그쳤는데, 김춘추의 안색이 돌변하므로, 문희를 구하고 혼례를 행하게 하였다.
문희가 바로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의 비인 문명왕후(文明王后)다.
* 왕실 사회에 보기 드문 이 설화는 ‘서악사뇨몽(西岳捨溺夢)’이라고도 하고 ‘선류몽(旋流夢)’이라고도 한다.
즉, 높은 산에 올라가 오줌을 누면 그 오줌이 장안에 가득 차게 되고, 그 꿈을 꾼 사람보다 산 사람이 국모(國母)가 된다는 설화다.
* 고려 건국 설화 가운데 보육(寶育)이 곡령(鵠嶺)에 올라가 오줌을 누니 삼한의 산천이 은해(銀海)로 변하는 꿈을 꾸었다는 내용 역시 이 설화의 영향이다.〈문희매몽설화〉가 왕권과 관계되는 사실은 심리적·신화적 측면에서 보다 깊은 검토가 요구된다. →선류몽설화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開國傳說의 變에 對하여(金庠基, 國學論叢),
꿈傳說(張德順, 韓國說話文學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1974).
시간적, 공간적 배경
AD 630년경, 선덕여왕의 치세, 신라의 도읍지 서라벌의 남산과 김유신의 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