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의학 일반 > 정신의학
· ISBN : 9791195086108
· 쪽수 : 187쪽
· 출판일 : 2013-08-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자살이란 무엇인가?
자살의 정의
자살자수는 과소평가되고 있다
자살의 위험인자
자상행위와 자살
자상행위의 증가와 서브컬처(Subculture)
제2장 자살의 본질
자살의 위험성을 내제하는 이들의 심리
건강문제는 자살의 중요한 동기
자살의 원인
생활문제
나라의 정책
제3장 자살문제의 현황
1990년대의 자살자급증
자살의 수단
자살의 남녀비
세대별로 보는 자살
의외의 장소에서의 자살사고
사태의 심각성
자살의 영향
주위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
자살대책기본법과 자살종합대책대강
제4장 자살과 매스미디어
매스컴과 자살유발
장관의 자살
자살을 다루는 방식
실증적 연구
매스컴과 자살예방의 가능성
가이드라인과 보도자유의 침해
인터넷과 자살
제5장 자살과 정신질환
정신질환의 관여
정신질환과 자살문제의 범위
정신질환에 주목함의 의미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인가?
우울증의 증상
우울증에 걸린 사람은 정신과를 찾지 않는다?
우울증의 진단과 치료
항우울제
정신요법과 사회복귀요법
정신과 외 전문의의 관여
우울증대책만으로 충분한가?
제6장 정신생물학적 관점에서
개별성과 유전
게놈(Genome)과 다양성
정신생물학적 관점에서의 자살행동
자살행동과 세로토닌(Serotonin)신경계
자살행동과 정신생물학의 접점
자살예방에의 활용
근친자의 자살
제7장 자살예방의 방법론
자살(自殺)과 自死)
자살대책과 수치목표
자살예방방략의 기본적 인식
자살방법ㆍ수단에의 대책
핫 스팟(Hot spot)대책
지역대책
자살리스크에의 대응
남겨진 이를 위한 대책
자살을 억제하는 것
제8장 다양한 자살대책
수도권의 자살대책
병원내 자살사고의 사후대책과 당사자 케어
참가하는 것이 최대의 교육효과를 낳는다
자살예방학 개강
가이드라인의 작성
제9장 자살의 위험성이 높은 사람에의 대응
자살예방의 주역
대응의 어려움
갈등 해소와 마음의 준비
해야 하는 것, 해서는 안 되는 것
상담대응의 기본
사회자원과 지원의 계속
죽고 싶은 기분에의 어프로치
프리아버시의 배려
제10장 남겨진 과제들
대학병원 정신과 의사의 한탄
자살대책은 비우선 과제
인력ㆍ서포트ㆍ케어의 부족
실태분석ㆍ연구의 부족과 시스템 부재
평가의 필요성과 계속의 중요성
인재양성과 교육
정보제공의 방법
끝맺음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