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노인건강
· ISBN : 9791195088324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3-12-25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제1장 나와 인지증
왜 두려워할까?|노망과 치매|사쿠다이라에서의 왕진
우울증에 걸리다|‘죄송함’과 치유|정신증상과 인간관계
제2장 ‘치매’와 문화 차이
이질적인 것에 ‘라벨 붙이기’|오키나와의 순수치매|치매에 대한 사회적 오해
‘일수사견’과 문화 차이|‘살려지다’와 ‘살려지고 있을 뿐’|미국인에게 자립성 소실이란
제3장 마음을 여는 커뮤니케이션
개코원숭이의 평화 사회|가짜 대화와 친숙한 동료|‘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미소는 왜 중요한가|부시의 ‘치매 노인’ 같은 반응
개인사를 묻는다|몸의 위치와 높임말|상대방 세계의 비밀번호
제4장 허구로 만든 세계에 살다
그들의 세계|환경과 환경세계|보고 싶은 것을 본다|
말로 세계를 형성한다|최소 고통의 법칙|‘믿어버림’을 받쳐주는 심층의식
생각이 낳은 허구 현실|현실을 구성하는 경험
현실은 ‘사물’이 아니라 ‘의미’|밖을 향하는 허구 세계
제5장 ‘나’란 무엇인가
두 개의 ‘나’|?Me?와 mine|?나?와 눈앞의 이익
암환자와 무상를 깨달음|‘나’를 통합하다|자기란 기억이다
‘연결’에 대한 정동|거미줄의 불안|마음을 터놓은 ‘나’
제6장 ‘나’의 인격
상대방 수만큼 인격이 있다|24명의 빌리 밀리건|사회병리를 반영하는 다중인격
살기 위한 언어게임|회춘 현상|살기 좋았던 과거로
폭류 같은 에너지|생명이 나를 살게 한다|실체적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7장 질환을 만드는 현대 사회
생명과 나이의 함수|길게 늘어진 회색 지대|잘 연결됨
질환의 증식|고통을 질환화하다|자유와 불안
언어 습득의 심리 단계|일본 특유의 히키코모리|실신할 정도의 무력감
나 vs. 세계|자립과 ‘연결된 자기’|응석 부리는 이유
생존전략의 대전환 속에서|쉽게 화내는 이유|자립사회의 신음
최종장 ‘연결된 자기’의 세계로
연결의 심성|반전수수법의 정신|에도의 순환형 사회
권력과 개인의 자유|마음과 사심|자기 비하와 선조의 지혜
역자 후기
리뷰
책속에서
이 경험으로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는 좁은 의료관에서 해방된 것은 확실하다. 의료는 건강과 기능을 회복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어떤 상태의 사람이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의료의 보편적 작용은 ‘기분을 좋게 해주는 일’일 것이다. 고통으로부터 해방, 마음의 위로 등은 환자뿐만 아니라 인지능력이 저하된 노인도, 죽음을 눈앞에 둔 사람도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이런 사실을 깨닫게 되자 나도 위로받을 수 있었다.(제1장 나와 인지증, 29쪽)
앞 장에서 소개한 스기나미 구의 ‘노망 노인’과 ‘정상 노인’에 대한 조사결과는 인간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노망 노인’의 약 20%는 지능이 정상이거나 약간 저하되어 있을 뿐인데 ‘치매’로 간주하고, 반대로 ‘정상노인’의 10% 정도가 중등도에서 중증 지능저하를 보인다. 지능저하가 없더라도 우울증 때문에 동작이 둔하고, 엉뚱한 반응을 하는 것인데 ‘치매’로 간주하고, 한편으로 당연히 ‘치매 노인’에 속해야 할 사람이 가정이나 병원에서 보통 어르신으로 대접받고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고 있다.
왜 ‘치매’로 진단받아야 할 사람이 ‘정상’이라고 생각되고 있을까? 지능저하 여부와 관계없이 인간관계에 따라 주위 사람들의 노인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제2장 치매와 문화 차이, 42쪽)
“선생님은 인지증 노인과 어떻게 마음을 나누시나요?” 어느 수련의의 질문이다. 정신병원에 단기 실습을 나온 수련의들에게 치매 상태의 사람과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해야 할지 기초부터 가르치고 있다. 그들의 됨됨이가 다 다른데, ‘마음을 나누다.’라고 표현한 수련의는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말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나누는 것이 인지증 노인과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이다.(제3장 마음을 여는 커뮤니케이션, 6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