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대체의학
· ISBN : 978899748463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5-12-29
책 소개
목차
· 감수의 글 |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산림치유의 발전
· 프롤로그 | 산림의학의 기초와 발전
제1부 산림의학의 전망
제1장 보완대체의료와 산림의학
1. 산림의학의 영역
2. 산림의학의 전망
제2장 산림욕에서 산림의학으로
제2부 세계의 산림치유
제1장 산림과 인류의 건강 - 연구 및 실천에 대한 세계적 동향
1. 최근 동향
2. 국제산림연구기관연합IUFRO
3. 산림의 효과와 리스크
4. 산림의 가능성
〈칼럼 1〉 국제산림연구기관 연합의 동향
제2장 독일의 기후의학과 이를 활용한 일본의 산림치유
1. 기후환경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2. 기후 노출 방법
3. 독일 기후요법과 지형요법의 배경
4. 일본 내 산림치유와 독일 기후지형요법의 공동 연구
제3장 한국의 산림치유
1. 산림청의 산림치유 정책
2. 산림치유 인프라
3. 산림치유지도사 교육
4. 산림치유 전문가 교육
5. 산림치유 연구 활동
〈칼럼2〉 한일 공동 연구 - 산림 풍경이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제3부 일본의 산림치유
제1장 일본 산림의학 연구의 흐름과 전망
1. 과거의 산림의학 연구
2. 현재의 산림의학 연구
3. 일본의 산림치유 연구 방향
제2장 면역기능과 산림치유
1. 피톤치드의 면역기능 효과
2. 산림치유 로드를 활용한 산림욕의 의학적 효과
3. 산림욕에 의한 NK세포 활성화의 메커니즘
4. 앞으로의 과제
제3장 산림치유의 생리적 효과 평가 시스템
1. 산림치유의 효과에 관한 평가
2. 산림치유의 개인별 효과 차이
3. 실험 시 고려할 점
제4장 산림치유의 생리적 효과 연구를 위한 일본 내 생리실험
1. 생리실험의 방법
2. 산림치유 기지에서의 생리실험 결과
3. 앞으로 실시될 산림치유에 관한 생리적 실험
〈칼럼 3〉산림치유 기지 실험의 실제
1. 산림치유 기지 실험의 실제 - 나가노 현 아게마츠마치
2. 산림치유 기지 인증 실험 - 와카야마 현 고야초
제5장 산림 동영상을 볼 때 받는 인상과 생리적·심리적 반응의 관계
1. 스트레스와 인체 방어체계
2. 산림욕 동영상을 볼 때 나타나는 인체 생리반응
3. 인상을 만들어내는 영상 요소
4. 음악을 추가한 자연 영상을 볼 때 피험자의 생리적 반응
제6장 기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산림치유에 대한 연구
1. 산림치유와 식품 소재?235
2. 식품을 활용한 인체 생리실험
3. 앞으로의 전개
〈칼럼 4〉 산림치유와 피톤치드
제4부 산림치유와 산림기지 설계방법
제1장 산림치유의 환경계측
1. 산림 내의 환경계측
2. 산림 내의 환경계측 방법
3. 산림 내의 광 환경
4. 산림 내의 온열 환경
5. 산림 내의 음 환경
6. 산림 내의 이온 환경
7. 산림 내의 기압 환경
제2장 산림치유의 주관평가
1. 산림치유의 심리적 효과
2. 대상자의 다양성과 심리적 효과 차이
3. 다른 임내 활동 프로그램에 의한 심리적 효과의 차이
제3장 산림치유의 환경 설계
1. 치유 로드의 환경 디자인
2. 치유 로드의 환경 디자인 설계 사례
제4장 산림치유 기지 디자인
1. 경관 디자인
2. 픽토그램
〈칼럼 5〉대학과 산림치유
〈칼럼 6〉치바 대학 카시와노하 캠퍼스에서 수행하는 ‘원예요법’ 연구
〈칼럼 7〉일본의 산림의학연구회 발족
〈칼럼 8〉산림테라피스트
· 에필로그 | 산림치유에 관한 연구 성과와 확실한 실례
인용문헌 & 참고문헌
색인
저자와 역자
저자소개
책속에서
산림치유의 이용과 효과는 매우 오래전부터 있어 왔지만 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05년 국내에 (사)한국산림치유포럼이 결성되고, 산림학을 비롯해 의료 및 다양한 분야의 관심 있는 학자들이 연구 활동을 시작하면서 새로운 분야의 학문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충북대학교 대학원에 ‘산림치유학과’가 개설되는가 하면 국립산림과학원에서도 ‘산림복지’의 일환으로 산림치유에 관한 효과 검증과 정책추진 등을 위한 전문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치유’란 인간의 건강과 행복, 그리고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의 융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산림치유의 연구는 매우 복잡하고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객관적인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근거중심적 연구 결과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신 산림치유개론》은 산림치유의 최근 연구를 이해하기에 매우 적합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일본에서 출간한 《산림의학?II(森林醫學 II)》를 번역한 것이다. 일본의 사례와 연구들을 위주로 소개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현실과 차이가 있는 점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능한 주를 달아서 독자들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는 점을 알린다. 또한 우리나라의 산림치유를 소개하는 장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의 동향을 추가하여 보완하였다.
_ <감수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