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510997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8-27
책 소개
목차
1부 다문화 형성의 성경적 배경과 교육
1장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적 특징과 교육의 발전
I. 디아스포라의 성경적 의미
2. 중간기 유대 디아스포라의 역사적 특징
1) 중간기 유대 디아스포라의 역사
2) 중간기 유대 디아스포라의 특징
3. 중간기 유대인 디아스포라 교육의 발전
1) 개인교육의 차원에서 공적인 회당 교육으로 발전
2) 공식적인 교육제도의 발전과 정착
(1) 초등교육 과정인 벧 하쉐퍼
(2) 중 고등교육 과정으로서의 ‘벧 탈무드’ 와 ‘벧 함미드라쉬’
(3) 대학 과정의 ‘신학 아카데미’
2장 다문화 유입
1. 다문화의 한국 유입 상황
1) 결혼을 통한 거주
2) 취업을 통한 거주
3) 유학생이나 사업을 통한 거주
4) 불법 체류 거주
5) 탈북자의 국내 유입
2. 다문화의 국내 거류에 따른 문제들
1) 노동현장의 문제
2) 다문화 결혼자 가정의 문제
3) 종교의 문제
3. 다문화 국내 거주자를 위한 선교전략
1) 세계관의 변화 유도를 통한 복음의 수용
2) 포괄적 다문화의 상호이해
3) 다문화 이주자 복지를 통한 가정복음화
4) 사이버 활용의 교육과 네트ㅤㅇㅝㅋ 형성을 통한 위기대처
5) 구심력을 통한 원심력의 선교
3장 다문화 중국인의 국내 거주
1. 중화 디아스포라의 발생원인
1) 글로벌 경제의 영향
2) 국제정치적 위상의 영향
3) 인구증가에 따른 해외 확장
4) 해외 거주자에 대한 종교적 무간섭 원칙
3. 재한 중화 다문화의 유입 동향
1) 취업과 금전 취득
2) 결혼과 국적 취득
3) 유학생생활을 통한 기술과 지식습득
4) 사업 목적
4. 재한 중화 다문화를 통한 역-환 상황화 모델의 선교
1) 신학교육을 통한 지도자 양성
2) 교회사역을 통한 전도훈련
3) 유학생 제자화 사역
4) 전인구원의 복지선교
4장 다문화의 세계관
1. 세계관의 정의
2. 다문화 결혼 이주 여성 세계관의 범주
1) 자연주의 세계관
2) 부족적 세계관
3) 불교와 힌두교의 세계관
4) 중화권의 세계관
5) 무슬림의 세계관
3. 다문화의 세계관 분석과 복음
1) 사회주의 유물론 이주여성의 세계관
2) 조상숭배 다문화인의 세계관
3) 다신 숭배의 혼합주의 세계관
4) 공(空)의 세계관
5) 선행을 통한 구원의 세계관
4. 다문화의 세계관 변화를 위한 선교 커뮤니케이션
1) 진리 복음의 수용성
2) 비평적 상황화 적용
3) 예수 제자화 운동
4) 영적 전쟁을 통한 내적 치유 체험
5) 성화된 삶의 모범을 통한 감동 부여
2부 다문화 선교의 영역별 전략
5장 다문화인 가정
1. 가족의 기능
1) 부부의 애정
2) 자녀 출산과 양육
3) 경제적 안정
2. 다문화 가정의 갈등
1) 가정폭력
2) 자녀의 부적응과 학습 부진
3) 사회적 제도권 배제
3. 다문화 가정 복지
1) 가정 폭력 범죄의 법적 예방
2) 다문화 부부의 삶의 질 향상
3) 다문화 부부관계의 향상성
4) 다문화 가정의 경제 향상
5) 다문화 자녀 양육의 역할 증대
4. 다문화 가정 선교
1) 가정은 복음의 체험장
2) 거듭남의 체험을 통한 풍성한 삶
3) 갈등을 치유하고 화평한 삶의 유지
6장 다문화 아동
1. 다문화 아동의 학업적응 갈등요인
1) 기초학습이 낮음
2) 언어발달 지체 현상과 문화 부적응
3) 정체성의 혼란
4) 사회적 편견에 따른 왕따
2. 다문화 아동의 학업적응 교육의 필요성
1) 서구 국가들의 다문화 교육 정책
2)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
3) 한국 다문화교육의 특성과 개념 규정의 고려사항
3. 다문화 아동의 학업증진을 위한 선교 케어
1) 교회 학교를 통한 취학 전 한글 교육
2) 교회의 방과 후 학교 운영을 통한 학습증진
3) 자존감 회복을 돕는 성경교육
4) 다문화 상담사의 교육 상담
7장 다문화 청소년
1.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 거주 유형
1) 다문화 결혼을 통한 출산과 성장 거주
2) 중도입국을 통한 거주
3) 북한 이탈을 통한 거주
4) 난민과 불법체류를 통한 거주
2.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 적응의 문제점
1) 학력 저하에서 오는 자존감의 결여
2) 중도입국 청소년의 공교육 기회 상실
3) 문화 충격을 통한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4) 가정 폭력으로 인한 일탈 행동
3. 다문화 청소년 복지선교
1) 자존감 향상의 케어 선교
2) 지역사회의 교회공동체 편입 선교
3)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학업증진의 교육 선교
4) 직업교육을 통한 전인구원의 복지선교
8장 다문화 NGO를 통한 복지
1. 다문화를 위한 기독교 NGO의 역할
1) NGO의 성격과 유형
2) 기독교 NGO의 특징
3) 한국 기독 NGO에 대한 비평적 평가
2. 다문화를 케어 하는 기독교 NGO의 사례
1) 기아대책 기구의 국내 활동
2) 여의도 순복음교회의 굿 피플(Good People)의 활동
3) 세계다문화진흥원의 교육 활동
3. 다문화를 위한 기독교 NGO 선교 전략
1) 복지를 통한 존재선교 활용 전략
2) 교육과 제자화를 통해서 그들의 세계관 해체 전략
3) 이슬람의 역선교 대처 전략
4) 선교교육을 통한 원심력의 선교 전략
9 장 다문화 상담
1. 상담의 일반적 이해
2. 다문화 상담의 필요성
3. 다문화 상담의 기본 전제들
1) 다문화 상담의 기본 전제
2) 다문화 상담의 과제
3) 다문화 상담의 윤리
4. 다문화인의 상담방법
1)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2) 다문화 상담의 단계
(1) 초기 단계(Intake)
(2) 중기단계
(3) 후기단계
3) 다문화 상담사의 역량
5. 다문화의 선교 상담
1) 성경적 상담의 모델
(1) 아담스의 재습관화
(2) 웨인 맥의 8개항
(3) Tripp의 4 단계
a 사랑하라(Love)
b. 알라(Know)
c. 말하라(Speak)
d. 행동하라(Do)
2) 영적 상담의 치유
10 장 다문화 교육
1. 결혼 이주 다문화의 문명충돌의 갈등
2. 다문화 교육
3. 다문화가족 교육의 현황과 평가
1) 다문화인 가족을 위한 한국 정부의 교육 현황
(1) 법무부의 사회통합교육
(2) 보건 복지부의 배우자 및 예비 배우자 교육
(3) 여성부의 국제결혼 사전교육
2) 결혼 이주 다문화의 한국 적응을 위한 민간단체 교육
(1) 한국어 교육
(2) 자녀 교육
3) 결혼 이주 다문화가족 교육의 평가
4. 결혼 이주 다문화의 한국적응 선교교육
1) 교회 공동체를 통한 신앙 교육
2) 다문화 기독 아카데미를 통한 문화갈등 해소교육
3) 부부 교육을 통한 성경적 삶의 질 향상의 교육
4) 다문화 자녀의 교회 교육을 통한 수강 능력 향상
11장 다문화 갈등과 사회 통합
1. 영국의 다문화 유입과 갈등
1) 영국의 다문화 유입
2) 영국 이슬람 공동체의 영향력 증대
3) 영국 다문화 유입과 사회적 갈등
2. 독일 다문화 유입과 사회적 현상
1) 독일의 다문화 정책
2) 다문화 사회 논의
3) 독일의 이슬람 공동체와 갈등
3. 프랑스의 다문화 현상과 이슬람교와의 갈등
4. 한국의 다문화사회와 종교 갈등에 따른 대책
1) 다문화 유입에 따른 종교적 갈등
2) 종교적 갈등에 나타난 교리 비교
5. 종교적 갈등 극복의 선교전략
1) 공존의 교육 선교
2) 전인 선교의 활용
3) 세계관 교정을 위한 제자화 선교
12장 다문화 에큐메니즘과 한국교회의 역할
1. 다문화 에큐메니즘
2. 대륙별 다문화주의 정책과 문화충돌
1) 유럽과 미주의 다문화주의 정책
2) 호주의 정책
3) 아시아 국가의 정책
3. 사회통합주체로서의 교회의 역할
1) 정부와의 관계 속에서의 역할
2) 사회 복지 수여자로서의 역할
3) 국제적 관계 속에서의 역할
4) 교회와 교회와의 관계 속에서의 역할
13 장 탈북자 선교
1. 탈북의 원인
1) 정치적 상황
2) 식량의 위기
3) 남한 사회의 동경과 삶의 질 향상 추구
2. 탈북 과정에서의 경험
1) 고통과 자아의 상실
2) 정신적 외상경험
3) 가족 이산 경험
3. 탈북인의 국내 정착과 문제점
1) 남한 사회의 편견과 배제
2) 정착과정의 스트레스
3) 여성의 경제력 향상에서 성역할의 변화
4) 이질적 문화로 인한 적응의 문제
4. 탈북자 선교
1) 정부와의 협업을 통한 탈북자 프로그램 보완
2) 탈북인 선교단체의 역할 증대
3) 전인선교의 필요성 증대
5. 탈북인 선교의 미래
1) 북한교회 재건의 초석
2) 통일의 초석
3) 북한 선교의 다리
14장 난민선교
1. 난민 발생의 원인
2. 난민의 역사
1) 해외
2) 국내
3. 난민의 고통
1) 트리우마 문제
2) 난민촌과 거주지 문제
3) 법률적인 문제
3. 난민 선교의 효용성
1) 종교적 갈등의 치유를 통한 개종권유
2) 국제적 의무 이행으로 인한 국격 상승
3) 네트워킹을 통한 국제 협력
4. 난민 선교
1) 난민 접대와 체류 및 주거 지원
2) 아동 교육
3) 직업 창출
4) 난민 NGO를 통한 선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