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늘은 태안

오늘은 태안

김미정, 전현서 (지은이)
얘기꾼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늘은 태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늘은 태안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가이드 > 충청도여행 가이드북
· ISBN : 9791195152544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5-07-13

책 소개

오늘 당장 떠날 수 있는 용기를 주는 여행서가 나왔다. 특별하지 않은 어느 날, 두 작가는 준비 없이 버스를 타고 여행을 떠난다. 이백오십 리 일곱 해변길을 걸으며 마을 사람들과 인연을 맺어가는 작가의 따뜻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목차

오늘은 태안

바라길
01. 여행은 이렇게 시작되고 - 태안터미널 024
02. 분홍에 취하다 - 학암포로 가는 배롱나무 가로수길 027
03. 항구의 꿈 - 분점포구 030
04. 은빛 향연 - 학암포 034
05. 모두 바다를 향하고 - 구례포 038
06. 숲의 소리 - 먼동해변 044
07. 해녀에게 쓰는 편지 - 해녀마을 047
08. 뭐든 척 보면 안다 - 능파사 050
09. 일만 오천 년의 시간 -신 두리해안사구 052
10. 날마다 새 옷으로 - 두웅습지 058
11. 노을이 남기고 간 빛 - 신두리해변 062

소원길
01. 세상을 밝게 해주는 사람들 - 설박키 068
02. 한가로이 잘 살았네 - 소근진성 071
03. 노인과 바다 - 안태배해변 0774
04. 아름다운 바다색으로 마중 나오다 - 태배전망대 078
05. 동행 - 이원면방조제 희망벽화 082
06. 시간이 머문자리 - 가르미끝산 086
07. 반달쪽배에 발 담그고 - 구름포해변 090
08. 바다를 품은 사람들 -수 망산 09093
09. 성숙한 향기 - 천리포수목원 096
10. 마루금을 따라 걷다 -국사봉 101
11. 정서진에서 부르는 노래 - 만리포 104

파도길
01. 뱃고동 울리면 - 모항 110
02. 풀꽃을 볼 때는 그랬지 - 모항저수지 가는 길 114
03. 숨비소리 들린다 - 어은돌 118
04. 바람소리 파도소리 - 파도리 121
05. 자염축제 - 근흥면 마금리 낭금마을 124
06. 꼭꼭 숨겨둘래 - 아치내해변 130
07. 금나와라 뚝딱 - 통개항 134
08. 해맞이 해변 - 연포 140

솔모랫길
01. 남면우체국에서 엽서 한통을 쓰다 - 해변길 이정표 앞에서 146
02. 낭만이 필요할 때 - 몽산포 150
03. 발가락을 움직여보자 - 곰솔림 155
04. 원시의 바다 - 달산포 160
05. 신선하고 창백한 얼굴 - 청포대 163
06. 태초의 별주부를 만나다 - 거멍바위 166
07. 봉골레와 꽃게탕 - 마검포 168
08. 송홧가루 날리면 - 송화염전 172
09. 바람도 쉬고 햇살도 쉬고 - 드르니항 176

노을길
01. 시작이라는 그 역동적인 설렘 - 백사장항 182
02. 너를 위하여 - 백사장해변 ~ 삼봉 전망대 187
03. 눈물이 아지랑이 되어 -삼 봉 191
04. 내면의 소음을 줄이는 일 - 사색의 길 194
05. 지킴으로써 얻어지는 것들 - 기지포 해안사구 198
06. 지나 온 길과 가야 할 길 - 두여전망대 202
07. 남은 시간 마중하기 - 두에기해변 206
08. 풍요로운 젓개 - 방포 210
09. 사랑의 해변 - 꽃지 214
10. 딴뚝에서 하룻밤 - 딴뚝마을 218
11. 오래된 그리움 - 태안승언리 상여 222
12. 나들이 - 안면도 자연휴양림 226
13. 바다의 푸른 꿈 - 정당리 안면암과 조그널 섬 230
14. 위로의 몸짓 - 붕기풍어제 234

샛별길
01. 욕심내면 안 되는 거잖아 - 병술만 체험장 240
02. 눈을 감으면 - 샛별해변 246
03. 안킬로사우르스의 등껍질 - 쌀 썩은 여 250
04. 안면의 얼굴 Ⅰ 254
05. 안면의 맛 257
06. 마지막 메질꾼 - 신야리 대장간 260
07. 높은 곳에서 멀리 바라 봐 - 국사봉 264
08. 짧고도 긴 휴식 - 황포항 270

바람길
01. 고요하고 평화로운 - 법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274
02. 기록, 그리고 기억 - 고남패총박물관 277
03. 시인을 추억하며 - 대야도 천상병 고택 280
04. 안면의 얼굴 Ⅱ 284
05. 마법에 걸린 운여 - 운여해변 290
06. 여신의 손길 - 바람아래해변 294
07. 넉넉한 살림살이 - 옷점항 298
08. 앞마당엔 바다를 들여 놓고 - 가경주마을 304
09. 기다림을 안다는 것은 - 영목항 307

저자소개

김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했고 동양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공원 힐링로드 77선> <얘기꾼이 들려주는 우리 문화재 이야기> <오늘은 태안> <오늘은 태백>등 기획출판에 작가로 참여했다. 2015년 <불교문예>를 통해 동화작가로 등단했다.
펼치기
김미정의 다른 책 >
전현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수원 출생. 2021년 한국소설에 단편소설 「스틸」이 당선되어 등단. 2022년 한국소설 신예작가 선정. 2022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발표지원사업에 단편소설 「탱고」 선정. 여행에세이 『국립공원 힐링로드 77선』, 『오늘은 태안』 등의 공저가 있고 『도도한 여행 우이도』를 썼다.
펼치기
전현서의 다른 책 >

책속에서

할머니는 찐 옥수수 하나를 건넨다.
“끼니 거르지마유. 먹을 데두 없었을 텐디.”
굳은살이 박힌 거친 손이다. 젊었을 때는 고왔을 손이 평생 물질하느라 이렇게 되었겠지. 그 손을 보자 스르르 가슴이 저려오더니 눈물이 나려한다. 할머니 눈은 바다처럼 깊어 내가 놀러 다니는 사람인지도 아는데, 들킬라. 고개를 돌려 옥수수를 한입 베어 먹었다. 따뜻하다.
뭐든 척 보면 안다 - 능파사 중에서

태양은 더 빨리 바다저편으로 넘어간다. 해변에 남은 자는 노을이 남기고 간 빛 속으로 걷는다. 나는 해변의 일부가 되어 노을빛이 이끄는 대로 너울너울 걸었다.
노을이 남기고 간 빛 - 신두리해변 중에서

“호오이 호오이!”
해녀들의 숨비소리였다. 어쩌면 한숨 같기도 한 이 소리는 바다속을 드나들며 내뱉는 해녀들의 가쁜 숨소리다.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면 그냥 지나쳤을 것이다. 방파제 가까이에 띄워놓은 배 주위로 검은 점들이 대여섯 보이더니 연신 오리발을 수면위로 쳐올리고 자맥질한다. 매끈한 청둥오리 같다.
“안녕하세요?”
손을 마구 흔들며 인사를 건넸다. 고맙게도 손 인사로 답한다.
숨비소리 들린다 - 어은돌 중에서

해안도로를 지날 때 바다로 잠깐 시선을 돌리던 그가 무심하게 말한다. “섬이 노네유.”
네? 무슨 말씀이신지…. 내가 알아듣지 못하자 그가 어깨를 한번 으쓱하더니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오늘처럼 안개가 낀 날 바다를 보고 있으면 조금 전까지 보이던 섬이 갑자기 없어지거나, 없던 섬이 휙 나타나기도 하고 이쪽에서 저쪽으로 자리를 옮겨 앉은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그럴 때 이곳 사람들은 ‘섬 놀다’라고 표현한다는 것이다. 천진하고 익살스런 비유다. 섬에게 생명을 주어 친구처럼 대하는 바닷가 사람들, 안면도 사람들이다.
안면의 얼굴 Ⅱ 중에서

영목항은 안면도의 마지막 항구이면서 섬으로 가는 시작점이기도 하다. 남쪽을 향하고 있는 영목항에서 바다를 건너면 충남 보령에 닿고 고대도, 장고도, 외도로 가는 여객선이 여기서 출항한다. 인근의 섬을 돌며 바닷길 여행을 할 수 있는 유람선도 영목항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모두 물때가 맞을 때 가능한 일이다. 물이 들어오길 기다려야 한다.
바닷가 사람들은 기다림을 알고 있다. 더디게 여무는 농작물을, 하루에 두세 번 읍내로 가는 버스를, 일찍이 대처로 떠난 자식을 기다렸다. 그리고 항구에 앉아 바다로 나간 사람들을 기다렸다. 기다림은 삶이 되었고 숨을 쉬는 일처럼 아무렇지 않게 되었다.
기다림을 안다는 것은 - 영목항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