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91195158515
· 쪽수 : 720쪽
· 출판일 : 2014-06-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산수화의 출현
- 진(晉)·송(宋)
제1절 산수화의 출현 - 진(晉)
제2절 초기 산수화의 특색
제3절 최초의 산수화 문헌 - 고개지(顧愷之)의 「화운대산기(畵雲臺山記)」
제4절 중국화의 특성 결정과 이성(理性)의 출발점 - 종병(宗炳)과 「화산수서(畵山水序)」
1. 종병(宗炳)의 생애와 사상
2. 「화산수서(畵山水序)」에 나타난 사상과 내용
(1) 최초의 산수화론
(2) 산수화의 효능론
(3) “산수의 정신을 그려내다 (寫山水之神)”
(4) “형상으로써 그 본연의 모습을 그려내고, 채색으로써 그 본연의 색채를 나타내다 (以形寫形, 以色貌色).”
(5) 원소근대(遠小近大)의 원리 발견
(6) 도가사상이 회화이론에 영향을 미치게 되다.
3. 「화산수서(畵山水序)」의 영향
「화산수서(畵山水序)」 원문번역.
제5절 종병과의 대립과 합일 - 왕미(王微)와 「서화(敍畵)
1. 왕미(王微)의 생애와 사상
2. 「서화(敍畵)」의 사상과 내용
(1) 산수화의 효능을 논하다.
(2) 산수화가 독립된 분야임을 논하다
(3) “산수의 정신을 그려내다 (寫山水之神)”
(4) “신명이 강림하다 (明神降之)”
(5) “우주의 본체를 그려내다 (擬太虛之體)”
(6) 필묵의 정취를 추구하다.
3. 「서화(敍畵)」의 영향
「서화(敍畵)」 원문번역
제6절 산수화가 출현하게 된 사회적 배경 및 전신론(傳神論)의 현학적(玄學的) 근원
제7절 결론
제2장 산수화의 정체·발전과 돌변
- 육조(六朝) 후기에서 수초(隋初), 수(隋)에서 초당(初唐)·중당(中唐)까지
제1절 육조(六朝) 후기에서 중당(中唐)까지의 산수화 개론
제2절 수대(隋代) 산수화와 전자건(展子虔)
제3절 염입본(閻立本)·염입덕(閻立德)과 초당(初唐)의 산수화
제4절 고전산수화의 고봉 - 이사훈(李思訓)
1. 이사훈(李思訓)의 생애
2. 이사훈(李思訓)의 산수화
3. 이사훈(李思訓)의 영향
제5절 산수화의 최초 변혁 - 오도자(吳道子)와 이소도(李昭道)
1. 오도자(吳道子)
2. 이소도(李昭道)
부(附): 왕타자(王?子)
제6절 왕유(王維)와 수묵산수화(水墨山水畵)
1. 왕유(王維)의 생애와 사상
2. 왕유(王維)의 산수화
3. 왕유(王維)의 지위
제7절 필굉(畢宏)·위언(韋偃)·장조(張璪) 및 기타 수묵화가
제3장 산수화의 고도 성숙기
- 당말(唐末) . 오대(五代) . 송초(宋初)
제1절 당말(唐末)·오대(五代)·송초(宋初)의 남북 산수화의 특색
1. 당말(唐末)·오대초(五代初)의 산수화
2. 오대(五代)·송초(宋初)의 북방산수화
3. 오대(五代)의 남방산수화
제2절 촉(蜀) 지역 회화의 종사(宗師) - 손위(孫位)
1. 손위(孫位)의 생애
2. 손위(孫位)의 성취
3. 손위(孫位)의 영향
제3절 북방화풍의 창시자 - 형호(荊浩)
1. 형호(荊浩)의 생애
2. 형호(荊浩)의 산수화
3. 형호(荊浩)의 『필법기(筆法記)』
(1) 도진(圖眞)
(2) 육요(六要)
(3) 사품(四品)
(4) 이병(二病)
4. 형호(荊浩)의 영향
제4절 북방산수화의 3대가 - 관동(關同)·이성(李成)·범관(范寬)
1. 관동(關同)
2. 이성(李成)
3. 범관(范寬)
제5절 남방산수화의 2대가 - 동원(董源)·거연(巨然)
1. 동원(董源)의 생애
2. 동원(董源)의 산수화
3. 동원(董源)의 영향
4. 거연(巨然)
제6절 오대(五代)·송초(宋初)의 기타 산수화가 - 위현(衛賢)·조간(趙幹)·곽충서(郭忠恕)·혜숭(惠崇) 등
제4장 산수화의 보수(保守)·복고(復古)와 이변(異變)
- 북송(北宋) 중·후기
제1절 북송(北宋) 중·후기 산수화의 보수(保守)·복고(復古)와 이변(異變)
제2절 연문귀(燕文貴)·고극명(高克明)·연숙(燕肅) 및 기타 화가
1. 연문귀(燕文貴)
2. 고극명(高克明)
3. 연숙(燕肅)·송해(宋?)·진용지(陳用志)
제3절 이성(李成)과 범관(范寬)의 그림을 모방한 화가들
1. 허도녕(許道寧)
2. 적원심(翟院深)·이종성(李宗成)·상훈(商訓) 등
제4절 곽희(郭熙)와 『임천고치집(林泉高致集)』
1. 곽희(郭熙)의 생애
2. 곽희(郭熙)의 산수화
3. 『임천고치집(林泉高致集)』
(1) 산수화의 가치를 논하다.
(2) 전통에 대한 배움과 자연에 대한 배움.
(3) 산수미(山水美)에 대한 관조(觀照)와 취사(取捨)
(4) 삼원(三遠)
(5) 수양을 축적하고 정신을 함양하다.
(6) 사법(四法)
(7) 기타
제5절 보수주의에서 복고주의로 - 왕선(王詵)·조영양(趙令穰) 및 북송(北宋) 중기의 기타 화가들
1. 왕선(王詵)
2. 조영양(趙令穰)
3. 기타 화가들
제6절 북송(北宋)의 문인화가 - 소식(蘇軾)·3송(三宋)·조보지(晁補之)·교중상(喬仲常)
1. 소식(蘇軾)
2. 송도(宋道)·송적(宋迪)·송자방(宋子房)
3. 조보지(晁補之)
4. 교중상(喬仲常)과 「후적벽부도(後赤壁賦圖)」
제7절 운산묵희(雲山墨戱)의 창시자 - 미불(米?)·미우인(米友仁)
1. 미불(米?)의 생애
2. 미불(米?)의 산수화와 미학 사상
3. 미불(米?)의 성취와 지위
4. 미우인(米友仁)
부(附): 사마괴(司馬槐)
5. 미불(米?)·미우인(米友仁)의 영향
제8절 복고주의 풍조 속의 화가와 그림
1. 북송(北宋) 후기 산수화의 복고주의 풍조
2. 송 휘종(徽宗) 조길(趙佶)
(1) 조길(趙佶)과 「설강귀도도(雪江歸棹圖)」
(2) 『선화화보(宣和畵譜)』 「산수문(山水門)」
(3) 「강산추색도(江山秋色圖)」
(4) 「천리강산도(千里江山圖)」 왕희맹(王希孟),
제9절 요(遼)의 산수화
1. 일국이제(一國二制) 하의 양대 화풍
2. 요대(遼代)의 묘벽(墓壁)산수화와 경릉(慶陵)산수벽화
부록
[보충설명]
[인물전]
[그림 목록]
[색인]
[미주]
리뷰
책속에서
산수화는 중국회화에서 가장 높은 지위를 차지해왔으며, 중국회화사에서 제기되었던 거의 모든 문제들은 산수화사에 내포되어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당(唐)대 이후의 역대 대 화가들이 대부분 산수화가였고 회화이론도 거의 모두가 산수화론이었다. 산은 정(靜)이고 물은 동(動)이다. 정과 동, 강함(剛)과 부드러움(柔)은 대립적 통일을 대표하는 것으로 중국철학과 부합한다.
그림이란 무엇인가? 의식(意識)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림은 인간세상과 더불어 탄생하여 세태에 따라 변화를 겪었고 ...... 필자는 본서를 저술함에 있어 여러 화파(畵派)의 흥망성쇠에만 국한한 것이 아니라, 각종 화풍의 형성 원인을 비롯하여 역대 중국인들이 정신을 그림 상에 형상화하게 된 근본 취지를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