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5240197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1-10-2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6
첫 번째 수다
나는 지금 갱년기일까?
나의 갱년기 신호탄은 땀과 열감, 안면 홍조, 그리고 잦은 감기- 18
이것도 갱년기 증상? 불면증이 생기거나 VS 겨울잠을 자거나- 22
누군가에겐 가벼운 증상으로, 누군가에겐 심각한 질환으로- 26
친구와 선배들은 언제 ‘내가 갱년기구나’ 생각할까? 같은 듯 다른 갱년기의 시작- 29 지금 내 몸의 변화, 모두 기승전 갱년기? - 34
더 나은 갱년기를 위한 첫 시작, 몸의 변화와 솔직하게 마주하기 - 39
나에게 관대해지기 그리고 꼭 필요한 주변의 이해 - 42
더 많은 분과 함께 한 갱년기 수다 ❶ - 46
두 번째 수다
갱년기와 함께 달라진 나의 일상
나의 갱년기 일상 스케치, 소소하지만 큰 변화들 - 50
가장 큰 변화는 역시 식생활, 좋아지기보다 유지하기 - 54
건강보조식품들, 먹고는 있지만 과연 적절한 선택일까? - 58
또 다른 변화, 나의 옷장 속 그리고 사라진 기억 찾기 - 64
몸의 변화로 삶의 태도가 변하는 시간 - 68
세 번째 수다
갱년기 정보와 자가진단, 어렵고 아쉬워
갱년기에 대해 궁금할 때, 첫 시작은? - 74
좀 더 정확히 알고 싶어, 지금 나의 갱년기는 어디쯤 와 있는지 - 77
쿠퍼만 지수로 확인해 보면 이미 나는 갱년기 중증? - 83
다양한 자가진단법, 과연 얼마나 유용할까? -86
갱년기 여성에게 필요한 전문 케어, 산부인과가 답일까? 우리가 원하는 케어는? - 91
더 많은 분과 함께 한 갱년기 수다 ❷ - 100
70년생 선희 언니 갱년기 인터뷰 ❶- 102
네 번째 수다
‘갱년기’, 이 단어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갱년기’하면 떠오르는 첫 단어와 이미지, 왜 부정적 느낌이 강할까요? - 114
여성성 관점에 머물러 있는 ‘갱년기’의 해석 - 122
우리 시대에 맞는 새로운 해석이 필요해 - 127
더 많은 분과 함께 한 갱년기 수다 ❸ - 137
다섯 번째 수다
폐경 VS 완경, 그 차이를 아시나요?
머리로는완경, 입으로는 폐경 - 142
폐경, 우리에겐 아직 여성성의 상실? - 145
삶의 질과 연결된 생리, 생리의 의미는 무엇일까? - 149
완경 파티가 보여주는 사회적 시선의 성장 - 157
더 많은 분과 함께 한 갱년기 수다 ❹- 164
여섯 번째 수다
여성호르몬,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얼마나 알고 있니? ‘여성호르몬’ - 168
여성호르몬이 줄어든 ‘몸’, 새로운 질서에 적응하는 ‘나’ - 171
줄어드는 호르몬, 꼭 인위적 호르몬 요법만이 답일까? - 176
내 몸을 공부하고 이해하는 기회-갱.년.기 - 183
호르몬 감소로 나타나는 시그널, 건강한 삶을 위한 방향키로 - 190
일곱 번째 수다
몸의 갱년기보다 더 두려운 정신적 갱년기
예측할 수 없는 두려운 영역, 나의 정신적 갱년기 - 198
갱년기의 연관 검색어 ‘갱년기 우울증’, 자신의 내면과의 갈등 - 201
정신적 갱년기의 다른 말 ‘억울함’, 그리고 ‘자존감’ - 207
나는 언제 행복한가? 나에게 향하는 무게 중심, 자아 찾기 - 214
여덟 번째 수다
사춘기성장통 VS 갱년기 성장통
사춘기와 갱년기는 닮았다? - 228
‘성장통’의 사회적 시선, ‘지랄맞음’ - 235
중년이라는 이름, 좌충우돌 과도기 - 241
관계로부터의 독립, 단단한 ‘나’로 만들어지는 시간 - 244
70년생 선희 언니 갱년기 인터뷰 ❷- 254
아홉 번째 수다
들어 보셨나요? 아직은 생소한 남성 갱년기
아직은 무관심과 회피의 영역, 남성 갱년기 - 264
같은 듯 다른 듯 남성 갱년기 특징 - 268
갱년기 남성의 정신적 변화는? - 273
자신에게 향하는 갱년기 여성, 가족과 사회적 책임감에 묶인 갱년기 남성 – 277
갱년기는 인간이 공통으로 겪는 호르몬 변화의 시기 - 281
서로의 이해와 솔직한 대화가 필요해 - 285
더 많은 분과 함께 한 갱년기 수다 ❺- 290
열 번째 수다
갱년기, 사회적 시선으로 들여다보기
갱년기가 사회에 보내는 새로운 신호 - 296
더 빨라지고 더 광범위해진 요즘 갱년기 - 298
개인을 넘어선 세대의 건강 문제, 사회적 차원의 관심이 필요해 - 305
갱년기가 일으키는 사회적 관계의 파장 - 309
사회적 차원의 관심과 교육이 필요한 갱년기 - 315
도희의 60대 요가 선생님이 들려주는 갱년기 TIPS - 321
에필로그 -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