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시아로컬리티, 도시재생과 예술 Asia Locality, Urban Regeneration and Art

아시아로컬리티, 도시재생과 예술 Asia Locality, Urban Regeneration and Art

(한.영)

밤부커튼 스튜디오 (지은이)
리슨투더시티
12,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시아로컬리티, 도시재생과 예술 Asia Locality, Urban Regeneration and Art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시아로컬리티, 도시재생과 예술 Asia Locality, Urban Regeneration and Art (한.영)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95243068
· 출판일 : 2017-01-01

책 소개

2016년 신촌에서 열린 아시아로컬리티 포럼의 발표 자료를 토대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울이 2014년부터 국가 사업으로 시작한 도시재생 사업에서 나타나는 현실적 문제점들과 도시재개발의 대안으로써 재생사업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담았다.

목차

아시아 로컬리티 - 글 박은선(리슨투더시티 디렉터)

1부 도시재생과 문화
① 「밤부커튼 스튜디오_다각적 참여를 위한 예술가 허브」, 밤부커튼 스튜디오, 대만
② 「빈집, 빈고, 빈가게, 해방촌사람들, 빈마을! 자발적 공동체들의 공동체」, 김덕수(빈집), 한국
③ 「낙산의 변화에 대하여」, 이태호(공간낙산 대표), 한국
④ 「소비에서 생산으로: 도시재생사업의 근본적인 변화의 필요성」, 김꽃(공간 413), 한국

2부 도시재생과 환경
① 「두물머리 초감도 프로젝트」, 봄날(두물머리 활짝), 한국
② 「나무 유산 사랑 프로젝트」, 빅트리, 태국
③ 「신촌과 마을, 그리고 도시재생」, 이태영(전환도시 신촌), 한국
④ 「똑똑한 도시와 쓰레기통, 모두를 위한 밝은 미래」, 최빛나(언메이크 랩), 한국

3부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①「도쿄 올림픽과 도시 노숙 공동체」, 미사코 이치무라, 일본
②「재개발-도시재생-젠트리피케이션」, 박은선(리슨투더시티), 한국
③「성미산 마을과 젠트리피케이션」, 성미산 학교, 한국
④ 「신촌상권 상생방안과 지하보도 재탄생」, 박홍표(서대문구 지역활성화과 과장), 한국
사진

Introduction: 「Asia Locality」, Park Eunseon(Listen to the City’s Director)

Part1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e
①「Bamboo Curtain Studio, an artist hub for crossover engagement」, Bamboo curtain Studio, Taiwan
②「Binjip, Bingo, Bingage, Haebangchon people! Community of autonomous communities」, Kim Deoksu(Haebangchon BinJib), S.Korea
③「Naksan graffiti village and gentrification」, Lee Tae Ho(Naksan Art space), S.Korea
④ 「Shifting from consumption to production: Necessity for fundamental chang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 Kim Kkott(Space 413), S.Korea

Part2 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
① 「BIGTrees / Love Heritage Tree Project / Thailand」, Big Trees Group, Thailand
② 「An Illustrated Guide to Dumulmeori Flora Project -The resist against to development with grass’s eyes」, Bomnal(Dumulmori Hwaljak), S.Korea
③ 「Sinchon, village, and urban regeneration : To the chief of Seodaemun-gu」, Lee Tae young(Transition City Sinchon), S.Korea
④「Smart City and Smart Trash bin, brighter future for all (?)」, Choi Binna(Unmake Lab), S.Korea

Part3 Urban regeneration and Gentrification
①「Tent village and the Olympic games the Peace festival」, Misako Ichimura, Japan
②「Re development- Regeneration-Gentrification」, Park Eunseon(Listen to the City), S.Korea
③「Sungmisan village and Gentrification」, Sungmisan Village, Postsecondary School, S.Korea
④「The case of promoting prosperity of Sinchon market area and Rebirth of underground passage as Youth hub」,Park Hongpyo(Seodaemun ?Gu, Region revitalization department, public officer), S.Korea
Pictures

저자소개

밤부커튼 스튜디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의 타이페이에 자리잡은 20년이 넘은 아티스트레지던시 프로그램으로, 환경과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소로 오랫동안 노력해왔다. 미사코 이치무라는 일본 도쿄의 요요기 공원에서 노숙인으로 살면서 예술활동을 하고 있으며, 여성으로 도시에서 살아가기에 대한이야기, 그리고 누구나 도시에서 정주할 권리가 있음에 대해 이야기 해오고 있다. 빅트리는 태국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이너들, 전문가들, 시민들의 모임으로써 급격한 도시화로 잘려나가는 태국의 커다란 나무들의 존재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단체이다. 전환도시 신촌은 지역에서 에너지전환과 문화적인 전환에대해 고민하는 신촌을 기반으로하는 모임이다. 리슨투더시티는 청계천복원사업, DDP, 재개발, 4대강등 사업을 기록하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개입하는 예술가, 디자이너, 도시 활동가 그룹이다. 언메이크랩은 제작기술문화를 접면으로 기술사회에 대한 대안적 교육 프로그램과 연구, 제작 및 연대 활동을 벌이고 있다. 두물머리 활짝은 4대강 공사로 유기농지를 잃었던 팔당 두물머리 친구들로부터 시작했다. 이 일대에서 활동하는 시민, 청년, 농부, 지역민은 생태문화예술 커뮤니티를 만들었고, 생태적이고도 대안적인 삶을 직접 실험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며 사례 연구, 사례의 시각화, 사례의 공유에 관심이 많다. 낙산프로젝트는 이태호작가가 재개발지역으로 당시 묶여있던 마을에 벽화 사업으로 개입하면서 만든 공공미술프로젝트인데 본의 아니게 유명한 마을이 되어 버렸고, 최근 일부 주민이 계단 벽화를 지우면서 도시재개발-도시재생의 문제를 표면에 드러나게 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