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91195278930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9-11-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누군가 있었다
-전시 콘셉트 설계-
왜 과학관인가
유물 중심 과학관 vs. 체험형 과학관
우리나라 과학관은 모두 체험형?
유물 없는 과학관을 만든다는 것
서울의 과학관, 무엇이 다를까
프로젝트 추진 일정과 조직
건축
기획을 하고 싶은 사람을 위해
서울시립과학관을 위한 콘셉트 개발
과학으로 바라본 서울살이
-기본설계-
과학콘텐츠 이해하기
서울시립과학관을 위한 과학콘텐츠
전시관 주제 및 시나리오 개발
콘텐츠를 전시물로 만들기
연출총괄표의 변화과정
자문회의
시각적 정체성
-실시설계 및 제작-
상징조형물과 사이아트
전시물 제작
전시물의 기본 구성
패널
패널 디자인 정책
전시물 제작 사례
-설치-
공장 검수
설치
전시실 공사 전 확인할 사항
공간연출
그래픽 시공 및 전시물 설치
#에필로그 : 기획했지만 실현되지 않은 아이디어
-부록 과학전시 표준 개발과정-
산업으로서 과학전시의 미래
과학전시 표준 개발과정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울시립과학관이 발행한 「서울시립과학관 전시 설계 및 제작·설치 전시백서」(2016년 11월 30일)는 시간의 흐름과 공정에 따라 전시관이 어떻게 구성되고 설치됐는지 정리해 놓았는데, 서울시립과학관 입장에서 결과물만 기록하기에도 버거웠을 것이다. 나는 총괄계획가로서 어떻게, 무슨 이유로 의사결정이 되고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등의 현장상황을 기록해두고 싶었다. 그러니 이 책은 ‘사적인 백서’라고 할 수 있다. -프롤로그 중에서-
나에게 좋은 과학관은 관람객을 중심에 놓고 의사결정을 하는 과학관이다. 전시물을 개발할 때, 특별전시와 기획전시를 개최할 때, 관람동선을 디자인할 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과학전시 기획자는 관람객을 고려해야 한다. 서울시립과학관은 앞으로 과학관을 이용하게 될 청소년을 생각하며 기획하고 제작하려고 노력했다. -왜 과학관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