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5293353
· 쪽수 : 590쪽
· 출판일 : 2021-05-20
책 소개
목차
서문
편집인의 글
CAS: City&people•Area•Specialization
Ⅰ. 태국 개관
태국 미전도종족 리스트
CAS 디스커버리
2018년 태국 북부, 중부, 동북부, 남부지역과 사람들
인도차이나의 최대 미전도종족 1억명의 타이 세계 사람들
태국 무슬림 복음화를 위한 도전
이슈 인사이드
쿠데타와 태국의 현대사
도시와 사람들
태국의 화교
업마가 만난 사람
불교국가 태국의 마이너리티(minority), 무슬림을 위한 사역자
Ⅱ. 태국 북부와 미얀마
미얀마 미전도종족 리스트
CAS 디스커버리
키워드로 보는 아도니람 저드슨과 미얀마 선교역사
미얀마 역사와 문화를 형성한 3대 종족: 버마, 샨, 몬
13세기 란나왕국의 관문도시 세 곳의 ‘치앙’
태국에서 미얀마를 품고 섬기는 그레이스 선교부
이슈 인사이드
태국과 미얀마의 변화가 가져온 기회
태국 북부 관문 도시가 주는 기회
샨은 왜 아직도 1%인가?(샨 선교역사 뒤짚어 보기)
미얀마 라카인과 로힝야, 그 슬픈 역사의 기원
로힝야 사태 팩트체크
도시와 사람들
‘타일랜드 드림’을 꿈꾸는 미얀마 사람들
국경 도시에 살고 있는 미얀마 사람들
미얀마의 독특한 매력에 빠지다
마이순 카~ 짜이퉁
미얀마의 주요 8대 종족집단과 거주지역
웨린의 라카인주 여행 이야기
업마가 만난 사람
태국 매솟 미얀마 이주민 교회 셍두, 셍라 부부
치앙마이 샨 족 교회 나자루 전도사
치앙라이 미얀마 이주민 교회 싸이 묘민 목사
Ⅲ. 태국 동북부와 라오스, 캄보디아
라오스•캄보디아 미전도종족 리스트
CAS 디스커버리
태국 이산 선교의 기초를 닦은 C&MA
라오스 선교역사, 그 끝을 볼 수 있을까?
라오스의 마음을 담는 까오니여우
우본 사용설명서, 우본의 왓()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세 왕국 이야기
에메랄드 트라이앵글; 화해와 협력의 희망
이슈 인사이드
중국 일대일로와 함께 떠오르는 ‘이산’
이산의 선교적 기회
라오스 선교 방향과 전략
인도차이나의 슬픈 ‘진주’ 라오스
캄보디아 선교의 뜨거운 감자-한인 선교사 수(數)와 교회 자립
도시와 사람들
이산의 관문을 넘어 동남아시아의 관문으로, 나콘 랏차시마
Calm & Fast, 이산의 중심 콘깬
북동부의 상업도시, 우돈타니
메콩 강에 울려 퍼진 라오스 연가, 농카이&비엔티안
큰 불상의 도시 루앙프라방
태국 이산 남부 지역의 꽃, 우본 라차타니
‘어머니 강’에서 진짜 ‘라오스’를 발견하다, 라오스 남부 중심도시 빡세
현대판 ‘낙원’을 꿈꾸다, 라오스 남부 최대의 도시 싸완나켓
태국을 중심으로 한 인도차이나반도 주요 국경들
업마가 만난 사람
현지 교단과 함께 성장하다, 송형관 선교사
이용웅 선교사 & 찾아온 디아스포라, 의정부 펠로우십 교회에서 만난 태국 이주민들
‘베테랑의 겸손’ 우본 라차타니의 박선진 선교사
조용히, 삶으로 복음이 전해지길 소망하는 박다니엘 선교사
Ⅳ. 태국 남부와 빠따니 말레이
CAS 디스커버리
그곳에 무슬림들이 살고 있었다
태국과 고무나무
이슈 인사이드
남부 태국의 의미와 중요성
태국 남부는 아직도 선교사가 고프다
도시와 사람들
태국 남부 SOUTH THAILAND를 가다
태국 남부 전통과 불교의 뿌리, 나콘 시 탐마랏
다양성이 공존하는 태국 남부 최대의 도시, 핫야이
업마가 만난 사람
복음의 황금어장 태국 남부를 지키는 권오혁, 우종복 선교사
복음에 뿌리를 내린 믿음의 선배, 텅므안 쑥반, 까룬 쑥반 목사
핫야이의 ‘짜오라비얍’ 이완균, 양란주선교사
Ⅴ. 인도차이나반도권역을 위한 기도(*별도 판매)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재 인도차이나 소승불교 권역에서 선교돌파를 위한 최대 과제는 바로 ‘주류 종족(내 사회 각 계층집단), 거점 도시와 사람들’ 복음화이다. 태국 타이 족, 라오스 라오룸 족, 미얀마 버마 족, 캄보디아 크메르 족 등은 각 국가에서 60%~75% 이상 차지하는 거대한 미전도종족들이다. 이들이 거주하는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계층별로 다르게 접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한국교회가 성경적이고 전략적인 선교적 관점을 가지고 우선 태국과 태국인을 이해하고 나아가 태국을 통해 인도차이나반도 권역의 복음화를 위한 실제적인 협력과 동역, 현지 정보에 입각한 구체적인 기도제목을 가지고 기도하기를 요청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만들어진 ‘태국 중심의 인도차이나반도권역 선교현장 리서치’ 결과물인 본 단행본을 통해 한국교회와 선교단체에 인도차이나반도에 대한 선교적 필요와 방향, 기회와 과제가 더 많이 공유되길 바란다.
태국에 이슬람이 전래된 것은 11세기 또는 13세기라고 보는데, 전쟁시 용병 혹은 재력가, 종교 지도자로 들어오거나 무역하는 상인들에 의해 이슬람이 전파되었다. 특히 상인들에 의한 이슬람 전파는 다양한 경로가 이용되었는데, 아랍의 부유한 상인들은 주로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주거나 일부는 지역의 여성들과 결혼하여 아랍으로 돌아가지 않고 지역에 머물러 살게 되면서 자연히 이들의 영향을 받아 무슬림이 전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