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95564309
· 쪽수 : 194쪽
· 출판일 : 2015-09-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추천의 말씀 6
1장 사혈의 역사 15
1. 사혈의 역사 개괄 20
2. 전통의학에서 사혈의 위치 26
3. 사혈의 정의와 명칭, 종류 31
4. 사혈의 목적과 원리 37
5. 사혈의 특징 38
6. 사혈의 병리와 내장과의 관계 44
7. 사혈을 위한 진단 46
8. 사혈 시 치료부위 48
9. 사혈의 적응증 56
10. 사혈에 사용된 도구 64
11. 사혈의 방법 74
12. 사혈의 금기와 부작용 85
13. 사혈의 쇠퇴와 현재 90
14. 최근의 연구 동향 93
2장. 사혈의 의학사적 의의와 21세기 통합의학의 패러다임 105
1. 19세기 이전의 전통의학 치료사조 106
2. 사혈의 한계와 19세기 질병의 변화 - 감염병 109
1) 전통의학적 치료의 예
2) 현대의학적 치료의 예
3)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의 치료사조의 차이
4) 감염병과 사혈
5) 동서양 사혈의 차이
6) 전통의학에서 감염병에 대한 사혈의 의의
7) 19세기 질병의 변화와 사혈에 대한 회의
3. 20세기 질병의 변화와 21세기 통합의학의 흐름 132
1) 20세기 현대의학의 성과와 과제
2) 시대별 치료사조와 통합의학의 요구
3) 20세기 질병의 대변화와 그 성격
4) 의학적 전환기
4. 사혈의 가능성 - 혈압 142
1) 혈액의 편성편쇠(偏盛偏衰) 현상의 문제
2) ABI(ankle/brachial index)와 수승화강(水昇火降)
3) 고혈압과 혈액량 감소
5. 사혈의 가능성 - 통증 155
1) 전통의학의 포괄적 표현
2) 현대의학의 포괄적 표현
3) 혈액과 관련된 통증
6. 사혈의 미래 161
맺 음 말 171
참고문헌 173
찾아보기 178
책속에서
사혈은 사혈에 의해서만 효과를 볼 수 있는 치료영역을 가지고 있을 뿐 만 아니라, 혈액과 관련된 물질적 결과물을 산출하므로 현대의학과의 접점이 가장 가까운 전통의술의 하나로 여겨진다. 아울러 다른 전통의학들과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있는 특징도 가지고 있으므로 21세기의 통합의학의 시도에 사혈요법을 신중하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서장(티베트)은 고한(高寒) 지역이라 표층의 낙맥이 쉽게 수축되어 잘 나타나지 않는다.”라고 한 바와 같이, 사혈은 혈액의 흐름이라는 물리적 성격에 개입하여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였으므로 치료방법에 물리적인 현상이 매우 많이 반영되었다. 아랍 사혈의 경우에도 물리적인 현상들이 많이 언급되는데(자료 1), 달의 인력(자료 2)이나 지리적 요소까지 고려되는 점(자료 3)이 흥미롭다.
사혈요법은 중풍환자의 피의 점도, 혈장의 점도와 혈소판의 집중률의 지표에 두드러지는 하락을 가져 오며, 뇌조직의 혈액공급 상황을 개선시켰고 얕은 정맥의 출혈로 뇌 내부 혈액 유동속도, 혈액량, 구성성분, 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뇌경색 환자의 응혈과 항응혈 기능이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