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9119556782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7-10-2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1장 서론: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 마이클 제이콥스·마리아나 마추카토
2장 긴축의 실패: 재정정책을 다시 생각한다 … 스테파니 켈튼
3장 화폐의 이해와 거시경제정책 … 랜들 레이·예바 네르시샨
4장 단기주의의 비용 … 앤드루 홀데인
5장 혁신기업과 기업이론 … 윌리엄 라조닉
6장 혁신, 국가 그리고 인내자본 … 마리아나 마추카토
7장 투자주도 성장: 유럽 위기의 해법 … 스테파니 그리피스 존스·조반니 코지
8장 불평등과 경제성장 … 조지프 스티글리츠
9장 민영화의 역설과 공공서비스의 외주 … 콜린 크라우치
10장 탈탄소: 혁신과 기후변화의 경제학 … 디미트리 젱겔리스
11장 자본주의, 기술 그리고 글로벌 녹색 황금기: 미래 형성을 돕는 역사의 역할
… 카를로타 페레스
원주
찾아보기
저자 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것은 재정균형에 집착하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증거이다. 간헐적인 재정적자의 근심에서 단순히 벗어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 대신 우리는 ‘재정 책임’의 정의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정책 입안자들은 특정한 재정 상태를 겨냥해서는 안 된다. 재정은 그 자체로 목표가 아니기 때문이다. 대신 재정은 생활수준을 높이고 더 평등한 소득분배를 촉진하려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정부재정을 더 과감하게 사용하지 않고서는 장기 번영에 필수적인 교육, 기술과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공공투자를 결코 할 수 없다.”
2장 긴축의 실패: 재정정책을 다시 생각한다
혁신 과정의 본질은 집합적이고 누적적인, 즉 조직적인 학습이다. 혁신 과정이 내재적으로 불확실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직학습에 대한 투자는 어떠한 수익 보장도 없이 일어나야 한다. 혁신기업은 세 가지 유형의 불확실성에 마주친다. 기술적 불확실성, 시장의 불확실성 그리고 경쟁의 불확실성이 그것이다.
5장 혁신기업과 기업이론
SIBs들의 최근 ‘사명 지향’ 프로그램들로부터 배우는 교훈은, 실제로는 그들이 시장을 교정할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시장을 창출하고 형성한다는 사실이다. 이런 일들이 성공한다면 그들은 그러지 않았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을 할 능력을 지녔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며 이야말로 케인스가 국가가 해야 할 일이라고 촉구한 것이다. 더 중요한 사실은 그들이 일종의 ‘거대한 전환’을 향한 길을 닦고 있다는 사실이다. 폴라니는 시장 기반 메커니즘들이 사회 과제와 환경과제에 해법을 제공하리라 기대할 수 없을 때 ‘거대한 전환’이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6장 혁신, 국가 그리고 인내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