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5567836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7-10-20
책 소개
목차
한국판 서문 _박종현·정태인
추천사 _ 니 로드릭
1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민주주의에 관한 폴라니의 견해
1장 전환에 관하여: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2장 하이에크: 빈에서 시카고로
3장 폴라니의 사회주의적 비전의 뿌리
4장 미래로의 회귀: 1930년 의 세계경제위기
5장 케인스와 폴라니: 1920년 와 1990년
6장 칼 폴라니 저작의 주요 개념과 현 적 적실성
장 문화와 경제
8장 시민권으로서의 사회 배당
2부 정복과 취에서 자립 발전으로 가는 남반구
9장 자본주의 세계 체제의 구조적 연속성과 경제적 종속
10장 중상주의에서 신자유주의와 2008년 금융위기로
11장 2008년의 거 한 금융화
12장 발전경제학의 전망
13장 공평한 경제발전을 위한 정책 공간의 회복
14장 지적 독립과 남쪽의 전환적 변화
3부 결론
15장 세계화와 발전: 서방의 쇠퇴와 나머지 세계의 부상
후기 _사미르 아민
리뷰
책속에서
산업자본주의 등장 이전에 시장은 경제생활의 보조물 이상이 아니었다. 이 점에서 현 자본주의
의 일반화된 시장경제는 예외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개선’(‘효율’이라고 읽자)이 ‘서식지’(‘안전’이
라고 읽자)를 정복하고, 노동과 토지, 화폐 그리고 삶의 본질적인 것들이 상품화됨에 따라, 경제
는 그 자체의 ‘경제적’ 법칙에 의해 추동되는 자신만의 고유한 존재양식을 얻게 되었다
_6장 칼 폴라니 저작의 주요 개념과 현대적 적실성
20년 동안의 경제인류학에 관한 폴라니의 연구가 의미를 갖는 것 역시 이런 맥락에서다. 그는 이
들 연구를 통해 “사실상 인류학도들에게, 동일한 생산도구가 사용되었음에도 각양각색의 다양한
제도가 공존했다는 사실보다 더 자명한 것은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경제학은 사회과학
의 여왕이라는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 우리는 과도한 전문화의 경향을 뒤집고, 사회 속의 인간
에 관한 연구를 다시 통합해야 하며, 사람의 살림살이가 확보되는 방식과 사회 속의 인간들이 모
든 사회를 빠짐없이 포함시킨 문화적 매트릭스의 보다 큰 실체 내에서 정치체를 조직하는 방식
사이의 관계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_7장 문화와 정치
이런 정책이 실패했다는 사실은 이제 널리 인정되고 있다. 나는 때때로 어떻게 다자간 기구의 발
전 전문가가, 특정 정책 목록인 이른바 워싱턴 컨센서스가 나라들의 어마어마한 다양성에 다 들
어맞는다고 감히 생각할 수 있는지 묻는다. 그 답은 간단하다. 정책이란 채권자의 이득을 옹호하
는 것이고 외국인 투자자에게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로 이런 요구는 획일적이라고
할 만하다. 문제는 그런 환경이 성장과 발전을 가져온다는 가정이 경험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_13장 공평한 경제발전을 위한 책 공간의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