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길을 묻다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길을 묻다

전상길 (지은이)
창명(도서출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길을 묻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길을 묻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95823901
· 쪽수 : 618쪽
· 출판일 : 2016-08-12

목차

PART 1 첫 번째 렌즈, 창조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모습

제1장 창조경영과 인적자원관리

창조경영이란 무엇인가 5
1.1 창조경영의 정의 / 5
1.2 창조경영과 기업가정신 / 6
2 왜 창조경영인가? 8
2.1 성장의 한계 / 9
2.2 모방의 한계 / 11
2.3 신성장동력의 발굴의 필요성 / 12
3 한국기업의 미래 조직적응의 방향 18
4 기술포트폴리오를 이용한 창조적 전략형성 21
5 창조경영의 원리 24
6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맥락 27
6.1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역사적/진화적 맥락 / 27
6.2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사회적 맥락 / 32
7 요약과 정리 35

제2장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개관

인적자원관리의 전략적 중요성 48
1.1 복수의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킬 필요 / 49
1.2 복수의 이해관계 집단간 상생관계 형성의 필요성 / 62
2 경쟁우위의 확보와 유지 65
2.1 VRIO 모형 / 65
2.2 HR이 경쟁우위의 원천인가 HRMS가 경쟁우위의 원천인가 / 72
2.3 인적자원가치연쇄 / 73
3 창조경영시대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본 서의 프레임워크 76
3.1 외부환경과 조직내부환경의 중요성 / 79
3.2 인적자원전략 / 81
3.3 인적자원활동 / 82
4 요약과 정리 84

제3장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영향요인

외부환경요인 97
1.1 글로벌화의 가속화와 경쟁의 증가 / 97
1.2 노동력과 인구통계적 트렌드의 변화 / 103
1.3 국가문화 / 112
2 내부환경요인 115
2.1 기 술 / 115
2.2 조직문화 / 122
2.3 사업전략 / 127
3 창조경영의 구현을 위한 인재모습 135
4 요약과 정리 137


PART 2 두 번째 렌즈, 창조적 인적자원전략의 모습

제4장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계획

인적자원 계획 150
2 인적자원계획 수립의 중요성 151
2.1 사업전략과 부합하는 적정 인력규모 유지 / 151
2.2 효율적 인적자원 통제 / 151
2.3 통합적 인적자원관리 / 152
3 인적자원계획의 체계와 과정 152
3.1 인적자원계획의 체계 / 152
3.2 인적자원계획의 과정 / 153
4 인적자원의 수요예측 154
4.1 정성적 방법 / 154
4.2 정량적 방법 / 156
5 인적자원의 공급예측 162
5.1 내부 노동 공급원의 파악 / 162
5.2 노동공급예측기법 / 164
6 인력조정 프로그램 169
6.1 인력부족에 대한 대응전략 / 169
6.2 과잉인력에 대한 대응전략 / 170
7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172
8 요약과 정리 174

제5장 창조경영을 위한 직무분석

직무분석의 기초개념 185
1.1 직무와 관련된 용어의 의미와 위계 / 185
1.2 직무분석이란 무엇인가 / 188
1.3 직무분석이 왜 필요한가 / 188
2 직무분석의 절차와 직무정보 수집방법 191
2.1 직무분석의 절차 / 191
2.2 직무정보 수집방법 / 193
2.3 직무분석의 산출물 / 196
3 직무분석의 최근 추세 198
3.1 직무분석은 쇠퇴하는 과거의 유물인가? / 199
3.2 나의 직무에서 나의 역할로 변화 / 200
4 직무평가 204
4.1 직무평가의 정의 및 의의 / 204
4.2 직무평가 방법 / 205
5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207
6 요약과 정리 209

제6장 창조경영을 위한 직무설계

직무설계란 무엇인가? 219
2 직무설계의 발전과 기본철학 220
3 직무시스템의 설계모델 223
3.1 종업원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223
3.2 종업원은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 / 237
3.3 어떻게 직무와 직무들 간을 연결할 것인가 / 241
4 상황적합적 직무설계 243
5 대안적 직무설계 245
5.1 직무수행의 시간변경을 통한 직무설계 / 245
5.2 직무수행의 공간변경을 통한 직무설계 / 248
6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252
7 요약과 정리 254


PART 3 세 번째 렌즈, 창조적 인적자원 기능활동의 모습

제7장 창조경영을 위한 모집과 선발

모집의 의의 265
1.1 모집의 정의 및 전략적 중요성 / 265
1.2 내부모집 / 265
1.3 외부모집 / 266
1.4 내부모집이냐 외부모집이냐 / 268
2 모집의 원천 270
2.1 효과적인 내부모집 전략 / 270
2.2 효과적인 외부모집 전략 / 275
3 지원자의 관점에서 본 채용 279
3.1 회사의 명성 / 280
3.2 쉽고 빠른 지원절차 / 280
3.3 채용담당자의 행동 / 281
3.4 적합성에 대한 지각 / 281
4 선발의 의의 282
4.1 선발의 정의 및 전략적 중요성 / 282
4.2 선발의 원칙 / 284
4.3 선발절차의 두 가지 접근방법 / 286
4.4 합리적 선발도구의 요건 / 287
4.5 선발도구 / 292
4.6 선발의사결정과 선발오류 / 305
5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311
6 요약과 정리 314

제8장 창조경영을 위한 교육훈련과 개발

교육훈련 및 개발의 의의 326
1.1 교육훈련 및 개발의 정의 및 전략적 중요성 / 326
2 교육훈련의 체계 337
2.1 필요성 평가 / 338
2.2 목표와 측정 / 341
2.3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전달방법에 대한 설계 / 342
2.4 교육훈련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 352
2.5 교육훈련과 성과관리시스템 및 보상과의 관련성 / 355
3 조직개발 356
3.1 조직개발의 정의와 의의 / 356
3.2 조직개발과 조직변화 / 357
4 경력개발 363
4.1 경력개발의 의의 및 중요성 / 363
4.2 경력개발시스템 / 365
4.3 경력목표 / 368
4.4 경력경로의 설계 / 372
4.5 배치전환 / 376
4.6 교육훈련 / 378
4.7 승진 / 380
5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386
6 요약과 정리 389

제9장 창조경영을 위한 성과관리

성과관리의 정의 및 전략적 중요성 403
1.1 성과관리의 정의 / 403
1.2 성과관리의 전략적 중요성 / 405
1.3 기대이론과 성과관리 / 408
2 효과적인 성과평가시스템의 기준 413
2.1 전략적 적합성 / 414
2.2 타당성 / 414
2.3 신뢰성 / 415
2.4 수용성 / 415
2.5 구체성 / 417
3 성과관리시스템의 전략적 선택 417
3.1 누가 평가하는가 / 418
3.2 무엇을 평가하는가 / 426
3.3 어떤 방식으로 평가할 것인가 / 434
3.4 피드백은 어떻게 할 것인가 / 437
4 조직차원의 성과평가 439
4.1 BSC의 배경 / 439
4.2 BSC의 내용 및 구성요소 / 440
5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446
6 요약과 정리 447

제10장 창조경영을 위한 보상관리

임금의 정의 및 보상관리의 전략적 중요성 459
1.1 임금 및 보상 관련 용어의 정의 / 459
1.2 보상관리의 전략적 중요성 / 465
2 보상이론: 심리학 및 경제학적 접근 470
2.1 심리학적 이론 / 470
2.2 경제학적 이론 / 473
2.3 임금 관련 심리학과 노동경제학이론의 통합 / 476
3 효과적인 임금관리의 기준 477
3.1 임금수준 / 478
3.2 임금체계 / 486
3.3 임금(지불)형태 / 493
4 임금구조의 설계 500
4.1 시장임금선 결정 / 501
4.2 임금정책선 결정 / 503
4.3 임금등급과 임금범위 결정 / 504
4.4 임금구조의 평가와 조정 / 508
5 인적자원에 대한 세분화와 보상전략 510
6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512
7 요약과 정리 514

제11장 보상관리II

성과기반 보상의 정의 및 전략적 중요성 526
1.1 성과기반 보상의 정의 / 526
1.2 성과기반의 보상의 전략적 중요성 / 527
2 성과기반의 보상의 종류 533
2.1 개인성과에 대한 보상 / 533
2.2 집단성과에 대한 보상 / 540
2.3 조직성과에 대한 보상 / 544
3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552
4 요약과 정리 556

제12장 복리후생 및 산업안전관리

복리후생의 개념 및 전략적 중요성 565
1.1 복리후생의 개념정의 / 565
1.2 복리후생의 전략적 중요성 / 566
1.3 복리후생제도의 유형 / 567
1.4 복리후생제도의 새 조류 / 570
2 산업안전과 건강관리의 의의와 전략적 중요성 578
2.1 산업안전과 건강관리의 의의 / 578
2.2 산업안전과 건강관리의 전략적 중요성 / 578
2.3 무엇이 사고를 일으키나 / 582
2.4 산업안전과 직업병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586
3 복리후생관리의 최신동향 595
3.1 EAP란 무엇인가 / 595
3.2 EAP의 필요성 / 595
3.3 국내의 EAP현황 / 596
4 창조경영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 597
5 요약과 정리 598

찾아보기 / 607

저자소개

전상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계와 비즈니스 현장을 위해 혁신적인 창조인재 교육방식을 개발해 이식시키는 최고의 인사/조직 멘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SK텔레콤 전략기획실 선임연구원,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 경영대학 초빙 및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LG연암재단의 Research Fellow,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제주연구원의 연구자문위원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장과 Aon Hewitt Korea의 심사위원장을 역임하였다. 또 인사혁신처 및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자문위원, 대통령국정과제평가위원,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재편심의위원, 국가연구개발사업심의위원을 역임하였고, 또 국가과학기술연구회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경영평가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한국인사관리학회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및 뉴로경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또 벨기에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와 연암대학교의 운영위원,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한인상공회의소 경영자문위원과 마이다스 자인연구소 경영고문, 공무원연금공단 자문위원, 광해관리공단 인권위원, 파크시스템스(주)의 사외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대표저서로는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길을 묻다>와 2024년 세종도서 교양부문에 선정된 공저<실패하는 비즈니스에는 이유가 있다>가 있으며 6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24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과 한국경영학회가 수여하는 우수경영학자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