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에너지/환경/우주
· ISBN : 9791195999521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2-05-03
목차
ESG경영 핸드북 목차
머리말
1. 기후변화와 ESG 개요
가. 기후변화의 현상과 원인
나. IPCC의 기후변화 종합보고서의 끔찍한 내용
1) “Clime Change 2007- Physical Science Basis".
2) ‘기후변화 2014 종합보고서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보고서‘
다. 기후변화 국제 대응
1) 글로벌 ESG 관련 주요 이벤트
2)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
라. 기후변화 국내 동향
마. ESG에 대한 기존 연구들
바. ESG가 기업에게 중요한 이유
1) 투자자의 ESG 요구 증대
2) 고객의 ESG 요구 증대
3) 신용평가에 ESG 반영
4) ESG 정부 규제 강화
5) 의무적인 지배구조 정보 공시
6)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 의무화
사. ESG 개요와 정보 공개
1) ESG전략경영 개요
2) ESG 정보공개
2. ESG 원칙, 표준, 가이드라인 및 평가기준
가. ESG 이니셔티브, 원칙, 표준, 가이드라인 및 평가 개요
나.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 및 평가기관(ABC 순)
1) AA1000 표준
2) AccountAbility
3) Bloomberg ESG Score
4) BSR(B.E.S.T Sustainability Rrporting Guideline)가이드라인
5) CDP(Carbon Disclosure Project: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6) Climate Act
7) Digest(Daishin ESG 평가 모델)
8) DJSI(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9) Drive Sustainability
10) EcoVadis
11) Equator Principles(적도원칙:赤道原則)
12) Fitch Ratings
13) FTSE4Good Index
14) GHG Protocol
15) GRI 가이드라인
16) GSIA(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
17) ICGN(국제기업지배구조네트워크)
18) IFC(국제금융공사)
19) IIRC(국제통합보고위원회)
20) IR(International Reporting) Frmework
21) ISO 26000
22) ISS
23) Morgan Stanley
24) Sustainvest
다. 국내 기준 등
1) 국가인권위원회 / 공공기관 인권경영 매뉴얼
2) 국민연금 ESG 평가기준
3) 기획재정부/공기업·준정부기관 경영실적 평가기준·방법
4) 사회적가치 연구원
5) 산업통상자원부/K-ESG
6)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정보공시 구조
7) 한국거래소/ESG 정보공개가이던스
8) 한국기업지배구조원
9) 환경부 녹색기업지정평가
3. ESG 관련 법령
1.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2.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3.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4.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5.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상생협력법)
6. 산업발전법
7. 조달사업에 관한 법률 (조달사업법)
8.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채용절차법)
9. 주택법
10.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11.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교통약자법)
1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에 관한 규칙」
13.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4. 온실가스
가. 온실가스 개요
1) 온실가스 정의
2) 기타 온실가스 관련 용어의 정의
3) 배출 활동의 구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4)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나. 온실가스 MRV
1) 온실가스 인벤토리
2) 온실가스 검증
3) 온실가스 MRV
4) 정도보증 및 정도관리
5) 불확도 평가
다. 명세서의 작성 및 배출량 등의 산정ㆍ보고체계
1) 명세서의 작성 및 배출량 등의 산정ㆍ보고체계 개요
2)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검증
라.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절차별 세부방법
1) 검증 개요 파악
2) 검증계획 수립
3) 문서검토
4) 현장검증
5) 검증결과의 정리 및 검증보고서 작성
6) 내부심의
7) 검증보고서 제출
마. 온실가스 감축
1) 온실가스 감축 개요
2)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도
3) 탄소배출권거래제도
4) 상쇄제도
5) 청정개발체제(CDM)
바. (참고 자료)온실가스 계산 실무
5. ESG 전략경영 모델, ESG경영 사례 및 ESG 매뉴얼
가. ESG 경영모델 개발 준비
나. 리더십
1) ESG 리더십의 6대 핵심요소
2)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성과
3) ESG 리더십 시스템
다. ESG 전략
1) ESG 전략 개요
2) ESG 전략개발 프로세스
3) ESG 전략기획의 6대 핵심요소
4) ESG 전략 핵심용어
5) ESG 전략기획의 6대 핵심요소
6) ESG 비전의 설정과 전개
7) 내외 환경분석
8) ESG 목표
9) 실행계획 개발과 전개
라. ESG 경영 모델의 평가
마. ESG 분야별 전략
1) 환경경영전략
2) 사회경영전략
3) 지배구조경영전략
4) 위기경영전략
5) 윤리경영전략
6) 지속가능경영전략
바. ESG 경영 사례(가나다 순)
KB국민은행, 농수산식품유통공사, LG 그룹, 삼성전자, SK하이닉스,
CJ제일제당, 신한금융그룹, 현대자동차
6. ESG 관련 인증제도
가. ESG_경영·평가_대응을_위한_ISO·IEC_국제표준_100選
나.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2018)」에 의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전 략과 체계
다. 표준화, ISO와 인증제도
1) 표준화
2) ISO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3)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의 역사
라. ESG 관련 인증제도
1)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2) 녹색경영시스템(GMS:Green Management System)
3) OHSAS 18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4) ISO 22301(비즈니스연속성 경영시스템)
5) ISO 26000(사회적책임경영시스템)
6) ISO/IEC 27001(정보보안경영시스템)
7) ISO 31000(리스크경영시스템)
8)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Anti-bribery mgt. system)
9) ISO 37301(준법경영시스템)
10) ISO 44001(상생경영시스템)
11)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12) ISO 45003(심리사회적위험관리시스템)
13) ISO 50001(에너지 경영시스템)
14) SA 8000(사회적 책임)
15) SR 10(Social Responsibilty 10; 사회적책임 경영시스템)
마. ESG 관련 국내 인증
1) 인권경영
2) 가족친화 인증
3.1) 바른채용 경영시스템(KPC-QA)
3.2) 공정채용 인증제도(한국경영인증원)
4) 노사관계 우수기업 인증
5)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
6) 실내 공기질 인증(Indoor Air Quality Certification)
7) 라돈 안전 인증제도
8) 로하스 인증 제도
마. 에너지, 건축, 국내 인증제도
1) 녹색건축 인증
2)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
3) 에너지 절약 계획서
4)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5) 장수명주택 인증
6)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
7) 교육시설안전 인증
바. 공급망 CSR 평가
1) RBA평가(공급망 평가)
2) EcoVadis(ESG 평가서비스 기관)
3) 공급망 ESG 평가
사. 품질, 위생안전, 서비스 인증제도
1)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인증 제도
2) ISO 10002(고객만족경영)
3) IATF 16949(자동차품질경영시스템)
4) ISO 22001(식품안전경영시스템)
5) FSSC 22000(Food Safety System Certification)
권말 부록 1: ESG경영 매뉴얼
권말 부록 2: ESG경영 관련 규정 사례 (권말 부록) ESG 경영 매뉴얼(목차)
(권말 부록) ESG 경영 매뉴얼(목차)
표지
제개정 현황
목차
Ⅰ. 총칙
1. 전문: ESG 경영의 의의, 필요성, 목적, 법규, 국제기준, 적용범위
2. 용어의정의: 경영용어, 환경용어, 사회용어, 지배구조용어
3. 리더십: 리더십과 의지, 방침, ESG 경영 책임과 권한
4. ESG 위험관리: ESG 위험과 기회의 식별, 평가 및 관리, ESG 위험관 리체계
5. ESG 지원: ESG 지원, ESG 적격성, ESG 인식, ESG 의사소통,
ESG 문서화된 정보
6. ESG 운용 기획과 관리
7. ESG 성과 평가: 모니터링,측정,분석,평가, 내부심사 및 경영검토,
외부검증, 개선
8. ESG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및 정보공시
Ⅱ. 환경 편
1. 전문: 환경경영의 의의, 필요성, 목적, 법규, 국제기준, 적용범위
2. 용어의 정의: 경영용어, 환경용어
3. 환경경영 리더십과 거버넌스: 리더십, 환경방침, 전략, 목표, 추진계 획, 거버넌스
범주
항목
환경경영 목표
환경경영 목표 수립, 환경경영 추진체계
원부자재
원부자재 사용량, 재생 원부자재 비율
온실가스
온실가스 배출량 (Scope1& Scope2, Scope3),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에너지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용수
용수 사용량, 재사용 용수 비율
폐기물
폐기물 배출량, 폐기물 재활용 비율
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환경 라벨링
친환경 인증 제품 및 서비스 비율
기후변화 대응
산림탄소흡수량
환경법규제
환경 법/규제 위반
4. 위험관리: 환경 위험과 기회의 식별, 평가 및 관리, 환경위험 관리체 계
5. 운영 및 성과: 친환경 제품, 서비스, 공급망, 사업장, 성과관리, 환경 회계, 생태계 보전
5.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및 정보공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정보공시
6. 부록: 환경관련 법규, 국제기준, 인증제도, 규정
Ⅲ. 사회 편
1. 전문: 사회적책임경영 의의, 필요성, 목적, 법규, 국제기준, 적용 범 위
2. 용어의 정의: 경영 용어, 사회적책임경영 용어
3. 리더십과 거버넌스: 리더십, 의지 표명. 방침, 전략, 목표, 추진 계획, 거버넌스
범주
항목
목표
목표 수립 및 공시
노동
신규채용 및 고용유지,정규직비율,자발적이직률, 교육훈련비, 복리후생비, 결사의 자유보장, 정규
직 중 고졸자 비율, 여가친화 경영, 50세 이상 비자발적 이직예정자 중 재취업지원 제공 비율
다양성 및 양성평등
여성구성원 비율, 여성급여 비율(평균급여액 대비), 장애인 고용율
산업안전
안전보건 추진체계, 산업재해율
인권
인권정책 수립, 인권 리스크 평가
동반성장
협력사 ESG 경영, 지원, 협약사항, 동반성장
지역사회
전략적 사회공헌, 구성원 봉사참여, 농어촌지역 상생협력 및 ESG 활동(균형발전), 산학협력 활성화
기여, 미래 세대 성장 및 교육 기여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자율적 노력 및 활동, 정보 보호 시스템 구축, 개인 정보 침해 및 구제,
소비자
소비자 정보 제공, 소비자 안전, 고객만족 대응체계 운영
사회법/규제
사회법/규제 위반
3. 사회적 책임 위험 관리: 위험과 기회 인식, 대응, 사회적 책임 위험관 리체계
4. 운영 및 성과: 인권, 노동관행, 공정운영관행, 지속가능한 소비, 정보 보호, 지역사회 참여
및 개발, 분쟁광물
5.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및 정보공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정보공시
6. 부록: 법규, 국제기준, 인증제도, 규정
Ⅳ. 지배구조 편
1. 전문: 지배구조 경영의 의의, 필요성, 목적, 법규,제기준 , 적용 범위
2. 용어의정의: 경영 용어, 지배구조 용어
2. 지배구조 경영 리더십과 거버넌스: 리더십, 방침, 전략, 목표, 추진 계 획, 거버넌스
범주
항목
목표
목표 수립 및 공시
이사회 구성
이사회 내 ESG 안건 상정, 사외이사 비율, 대표이사 이사회 의장 분리, 이사회 성별 다양성, 사외
이사 전문성
이사회 활동
이사 출석률, 사내이사 출석률, 이사회 산하 위원회, 이사회 안건 처리
주주권리
주주총회 소집공고, 주주총회 개최일, 집중/전자/서면 투표제, 배당정책 및 이행
윤리경영
윤리 규범 위반사항 공시, 윤리경영/반부패 관련 법규/행동강령 등 준수
감사기구
감사부서 설치, 감사기구 전문성(감사기구 내 회계/재무 전문가)
경영진
경영진 성과평가 및 보상
법/규제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
3. 위험관리: 사회적 책임 위험과 기회의 인식, 지배구조 위험관리 체계
4. 운영 및 성과: 이사회 리더십, 주주권, 감사,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5.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및 정보공시
6. 부록: 법규, 국제기준, 인증제도,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