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합충형파해 강론

합충형파해 강론

(사주정석: 기상명리의 진수)

윤훈근 (지은이)
밝은내일연구소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합충형파해 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합충형파해 강론 (사주정석: 기상명리의 진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91196162641
· 쪽수 : 441쪽
· 출판일 : 2018-06-27

책 소개

하늘에서 비가 내리니 땅에서 물상이 생장하고, 땅에서 아지랑이가 피어 하늘로 올라가 다시 비가 되어 내리게 된다. 천지가 상응하여 기상이 운행되는 전화-전환-변환 과정을 설명한 것이 합·충·형·파·해 등이다. 천간에서의 운행은 천간합의 방향성이고, 지지에서의 운행은 삼합의 운동성이다.

목차

제1장. 간지의 이해
간지의 생성원리 / 간지의 구성원리 / 간지의 기본속성
제2장. 천간론
십간의 기상운행 / 십간의 의의와 작용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제3장. 지지론
12지지의 기본속성과 의미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12지지의 발현과 전환 / 寅巳申亥 / 子卯午酉 / 辰未戌丑
제4장. 간지 기상론
간지의 기상흐름 / 사계의 기상운행
음양본위의 간지운동성 / 천간합-삼합-형·파 관계
제5장. 합충형파해
인사신해의 합충형파해 / 자묘오유의 합충형파해
진미술축의 합충형파해
제6장. 간지의 기상운행
甲子/ 丙子/ 戊子/ 庚子/ 壬子
乙丑/ 丁丑/ 己丑/ 辛丑/ 癸丑
甲寅/ 丙寅/ 戊寅/ 庚寅/ 壬寅
乙卯/ 丁卯/ 己卯/ 辛卯/ 癸卯
甲辰/ 丙辰/ 戊辰/ 庚辰/ 壬辰
乙巳/ 丁巳/ 己巳/ 辛巳/ 癸巳
甲午/ 丙午/ 戊午/ 庚午/ 壬午
乙未/ 丁未/ 己未/ 辛未/ 癸未
甲申/ 丙申/ 戊申/ 庚申/ 壬申
乙酉/ 丁酉/ 己酉/ 辛酉/ 癸酉
甲戌/ 丙戌/ 戊戌/ 庚戌/ 壬戌
乙亥/ 丁亥/ 己亥/ 辛亥/ 癸亥

저자소개

윤훈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진주에서 출생하였다. 호는 진유(盡洧)이고, 법명은 경공(憬空)이다.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사주·풍수·관상·점성학 등)과 기학(氣學)을 전공하여 철학박사를 취득하였다. 동양철학 일반에 대한 기본을 익힘으로써 동양술수학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고 해석에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석사학위논문으로 「合沖刑害破가 사주분석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으로 「相學의 도교수련적 접근」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얼굴지도로 인생을 여행하다』 『19이상만 보는 관상』 『귀눈입코』 『기상명리』 『합충형파해 강론』 『간지방향성과 궁위발동』 등이 있다. 한전 등 기업체와 자치단체 특강과 순천향대학교·인제대학교·경남대학교 등 평생교육원, 원광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사주, 명리, 관상, 작명 등을 강의하고 대한불교 대승종 교육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氣相)명리심리상담사 민간자격증을 운영하여 운명상담사를 배출하고 있다. 특히 天地의 氣相운행을 체득하여 기상명리(氣相命理)를 창안, 상표특허출원등록하였고, 천지(天地) 기운을 운용한 작명법을 고안하여 실전에 사용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亥 중 甲은 처음 만나는 세상에 대한 기대감과 세상 밖으로 나와야 하는 두려움·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산모의 고통과 출산의 폭발성은 丑에서 甲이 땅을 뚫고 나오는 에너지와 역동성에 비유된다. 인에서 갑이 록을 얻었다고 하지만 따지고 보면 갓 나온 새싹이요 어린아이에 불과하다. 子丑의 생명력과 역동성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으니 인간이 인지하거나 체험하지 못할 뿐이다. 드러나 보이는 寅에서 갑의 역동성을 보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그래서 寅에서 갑이 록을 이루고, 卯에서 왕지에 이르러, 辰에서 기운이 쇠하여, 巳에서 병(病)에 든다고들 한다. 실제로 목이 卯辰巳에서 왕성하다는 것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


흔히 乙은 동(動)하고 辛은 정(靜)하는 인자로 보는데, 이는 인간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표면 위의 乙→庚 과정과 달리 지표면 아래의 辛→甲 과정은 인간의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辛이 壬에 품어졌다가 癸에 의해 辛 껍질을 깨고 甲(새순과 뿌리)이 나오기까지 과정은 인간이 인지하지 못하기에 응집되고 축소된 모습으로 볼 뿐이다. 실제로 辛 껍질을 깨고 甲이 나오는 역동성은 乙에서 庚이 형성되는 것보다 훨씬 강하다.


‘저장’의 의미에서 壬은 유동성(밖), 亥는 고정성(안)이 강하다. 壬은 외부적 움직임이 많은 가운데 유일성이 있고, 亥는 외부적 움직임은 적지만 내부적 움직임은 강하다. 壬은 이것저것 부산한 것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에 몰두하고, 亥는 한 가지 일에 몰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러 가지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임은 여러 경험들을 통해 하나를 얻고, 亥는 하나의 일에서 여러 가지를 실행한다. 임은 유동(밖) 중 유일성(안), 해는 고정(밖) 중 유동성(안)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