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96165376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목차
머리글
1장 동아시아 만들기와 전략적 파트너십
1. 동아시아란 무엇인가?
동아시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기
우리가 동아시아를 상상하는 방식
정치 리더십의 동아시아 만들기
2. 동아시아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동아시아를 연결하는 여러 가지 제도들
전략적 파트너십이란 관점으로 동아시아 바라보기
참고문헌
2장 한국과 일본: 파트너십, 미완의 정치적 기획
1. 들어가는 말
2. 수교 58년 회고
1965년 체제는 기울어진 운동장이었다
한일 파트너십은 김대중 정부의 대일 햇볕정책의 성과였다
3. 과거사 문제와 1965년 체제의 동요
민간 행위자들이 쏘아 올린 공
노무현 vs. 고이즈미, 박근혜 vs. 아베, 그리고 문재인 vs. 아베
4. 대북정책을 둘러싼 불협화음
남북 관계와 북일 관계의 선순환은 왜 중단되었을까?
한일관계가 갈수록 주변화하다
5. 경제 관계: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한일 FTA 교섭, 시작하자마자 중단되다
아베 내라, 대한국 수출규제를 강행하다
6. 미중 전략 경쟁 하의 한일 안보관계
한미일 안보협력의 가장 약한 고리는 한일 안보협력이다. ..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공동성명이 미칠 강력한 파장
7. 사회·문화 교류, 그리고 상호 불신
가장 많은 성과를 거둔 것은 인적, 사회·문화 교류 분야였다
양국 국민은 서로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8. 나가는 말
참고문헌
3장 중국과 일본: 전략적 호혜 관계의 부침
1. 들어가는 말
2. 수교 50년 회고: 협력자에서 경쟁자로
1972년 체제는 무엇이었을까?
파트너십으로 중일관계의 구조변화에 대응하려 하다
전략적 호혜 관계라는 새로운 틀로 제도화를 꾀하다
3.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리는 안보 최전선
중국, 대일 압박의 강도를 높이다
아베 내각, 집단적자위권 행사로 대응하다
4. 정냉경열, 그리고 지역 경제통합을 둘러싼 경쟁
국력 역전은 역사적 사건이었다
중국, 대일 희토류 수출을 중지하다
지역 경제통합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다
5. 반일/반중 내셔널리즘, 그리고 상호 불신의 심화
역사 수정주의와 반일 애국주의
양국 국민은 상대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6. '미국·일본 vs, 중국' 구도의 해양지정학 게임
미일동맹, 대중 견제의 강도를 높여가다
시진핑 정부, 해양에서 공세를 강화하다
아베 내, 대미 공조 하에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추진하다
7. 나가는 말
참고문헌
4장 한국과 중국: 전략적 협력 파트너십의 허와 실
1. 들어가는 말
2. 수교 30년 회고: 관계 발전을 향한 고군분투
경제가 선린우 협력관계를 견인하다
파트너십의 틀로 경제·통상과 북핵문제에 대응하다
북한 문제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크게 흔들다
3. 더할 나위 없는 경제적 파트너
정부 주도로 급속한 경제·통상 확대를 실현하다
한중 FTA 체결은 최대의 성과였다
4. 북한 문제라는 다모클레스의 검
6자회담을 매개로 유례없이 긴밀한 파트너십을 누리다
북한 체제 유지 문제를 둘러싸고 파트너십이 이완되기 시작하다
중국 역할론이 부침하는 가운데 파트너십이 주변화되다
5. 민족주의와 정체성의 정치가 초래하는 마찰
국민 간 상호 인식은 계속 악화되어 왔다
일본과의 과거사 문제로 한중 양국이 연대하다
6. 미중 전략 경쟁 하의 한중 전략적 협력 파트너십
사드 갈등은 사실상 미중 간 대리 경쟁이었다
중추 국가 한국의 전략적 선택이 지역 질서의 향방을 좌우한다?
7. 나가는 말
참고문헌
5장 중국-아세안 관계: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의 명과 암
1. 들어가는 말
2. 회고: 파트너십, 전략적 파트너십, 그리고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파트너십을 관계 발전의 기본 틀로 설정하다
비동맹적, 비군사적, 비배타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천명하다
포괄적 전략적 파트녀십으로 나아가다
3. 중국의 대 아세안 파트너십 외교의 성과
양측이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에 합의한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의 파트너십 외교는 미국 요인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
4.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경제 질서?
서로 최대의 무역 파트너가 되다
중-아세안 파트너십이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이끌다
일대일로 구상과 운명공동체론은 중국 중심적 질서의 서막인가?
5. 정치·안보적 협력과 갈등
아세안,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로 중국에 손오공 머리띠를 씌우려 하다
무기 이전은 중국의 안보적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아세안, 미중 전략 경쟁에 대해 AOIP를 천명하다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6장 일본과 아세안: 믿을 수 있는 파트너, 그리고 중국의 그림자
1. 들어가는 말
2. 회고: 일-아세안 파트너십의 전통과 최근의 움직임
1970년대 포럼, 공동성명, 후쿠다 독트린이 파트너십의 원형으로 간주되다
동아시아 외환위기에 직면하여 파트너십을 심화·확대하다
정치·안보협력을 전략적 파트너십의 또 하나의 축으로 설정하다
미중 전략 경쟁 하에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나아가다
3. 정치·안보 관계의 진전
일-아세안 파트너십은 다자주의 메커니즘에서 강력하게 작동하다
일본과 아세안 회원국의 양자 간 해양 안보 협력이 활발해지다
4. 경제적 파트너십의 진화, 그리고 후견-피후견 관계
일본, 아세안에서의 경제적 우위를 점차 상실하다: 무역, 투자, 그리고 ODA
지역주의를 담아낼 틀은 무엇인가? 아세안+3, EAS, TPP, RCEP
일본의 질 높은 인프라 이니셔티브는 일대일로의 대항마인가?
5. 미중 전략 경쟁 하의 일-아세안 파트너십
아베 내라, 대아세안 외교 5원칙과 FOIP를 천명하다
FOIP와 AOIP가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의 틀에서 수렴되다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7장 한국과 아세안 중간국 간 연대의 모색
1. 들어가는 말
2. 회고: 한국과 아세안, 동행의 파트너십
21세기에 관계가 급속히 긴밀해지다
한-아세안 전략적 파트너십의 지향점은 어디일까?
한-인도네시아 전략적 파트너십이 양자 간 관계를 선도하다
3. 한국과 아세안의 정치·안보적 접근
문재인 정부, 신남방정책을 천명하다
한국의 무기 이전, 안보협력의 핵심 축으로 등장하다
4. 경제교류·협력: 의지할 수 있는 파트너
무역·투자 관계가 전례 없이 확대·심화하다
아세안경제공동체, 동아시아공동체, 그리고 한-아세안 경제공동체?
5. 동아시아인으로서의 연대와 정체성 구축이란 과제
사람 중심의 한-아세안 공동체를 지향하다
아세안의 한국 인식은 긍정적, 한국의 아세안 인식은 부정적?
6. 미중 전략 경쟁과 중간국 간 제휴
아세안은 한반도 대화를 지지하고, 한국은 남중국해 문제에 중립적 자세를 취하다
아세안의 헤징 전략과 신남방정책은 상호 친화적이었다
한국판 인도·태평양전략과 한-아세안 연대구상은 연대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7.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