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9631217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04-1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6
서문 12
1장 서론 15
1. 연구 목적 16
2. 방법론과 연구절차 22
1) 주석적 방법론 22
2) 연구 절차 25
2장 에스라-느헤미야의 역사적 배경과 혼합 결혼 해석사 27
1. 에스라-느헤미야의 역사적 배경 28
1) 페르시아의 역사 29
2.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귀환연대 35
1) 에스라의 귀환 연대 35
2) 느헤미야의 귀환 연대 47
3. 에스라-느헤미야 시대의 포로 공동체의 상황 49
1) 바벨론의 유대인 공동체 49
2) 예후드 54
3) 골라 공동체 61
4.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해석사 71
1) 제의적 해석 71
2) 상징적 해석 76
3) 사회-경제적 해석 79
4) 신학적 해석 82
3장 에스라 9, 10장과 느헤미야 13장의 구조와 주석 85
1. 에스라 9장 1-15절의 구조와 주석 86
1) 본문 번역 86
2) 구조 92
3) 세부 구조와 주석 98
4) 소결론 147
2. 에스라 10장 1-44절의 구조와 주석 150
1) 본문 번역 150
2) 구조 158
3) 세부 구조와 주석 164
4) 소결론 206
3. 느헤미야 13장 1-31절의 구조와 주석 209
1) 본문 번역 209
2) 구조 216
3) 세부 구조와 주석 223
4) 소결론 249
4장 결론 256
참고문헌 263
국문초록 281
ABSTRACT 284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문제가 단지 인종에 따른 반대 혹은 ‘포로 귀환 공동체’와 ‘그 땅의 백성들’ 간의 땅의 소유를 위한 ‘정권 다툼’과 현실 사회의 ‘사회-경제적 문제’, 포로 후기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 일어난 ‘배타주의적 사고’ 이상의 신학적 의미가 있음을 밝히도록 하겠다. 에스라-느헤미야에서 극단적으로 보이리만큼 철저하게 혼합 결혼을 반대한 이유는 혼합 결혼이 이들이 처해 있는 현실 사회의 문제를 반영하는 것이었을 뿐 아니라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그들의 조상들로부터 지켜 온 ‘여호와 유일 신앙’의 거룩함을 지키는 문제이자 ‘거룩한 씨’로서의 신앙적 정체성을 지키는 문제였기 때문이다.
그동안 ‘거룩한 씨’를 학자들은 인종적 표현으로 보아 왔다. ‘거룩한 씨’라는 표현이 신명기에 사용된 ‘거룩한 백성’과는 달리 거룩함의 육체적, 혈통적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여호와와 그의 백성 사이의 진실한 관계는 민족의 순수성을 통해서만 계속 유지될 수 있었다고 보아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스라서의 저자가 본문에서 골라 공동체를 지칭하며 ‘씨’가 아닌 ‘거룩한’ 씨라는 어구를 사용함에 주목해야 한다. 에스라서의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씨’가 아니라 ‘거룩함’에 있다.
구약 성경에서 ‘거룩한 씨’는 이사야서 6장 13절과 에스라 9장 2절에서 두 번만 사용되며 이것은 에스라서의 저자가 ‘거룩한 씨’라는 어구의 의도적 사용을 통해 골라 공동체가, 곧 이사야서 6장 13절의 남은 자들이며, 하나님의 언약을 계승한 후손들임을 드러내고 있음을 나타낸다. 에스라서의 저자는 신학적, 관계적 어휘인 ‘거룩함’을 통해 육체적, 혈통적 조건이 아닌 거룩함이 골라 자손의 정체성이며, 그것이 하나님의 언약 가운데 있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