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6452216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8-08-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편 한민족(韓民族)의 발생
제1장 선사시대(先史時代) 19
1. 인류의 진화와 민족의 형성 19
2. 동북아시아의 신석기문화 38
제2장. 전설의 시대(傳說時代) 52
1. 전설(傳說)시대의 설정 52
2. 동복아시아의 전설(傳說)시대 62
1) 전삼황(前三皇)시대 62
2) 후삼황(後三皇)시대≪제1차 북벌(北伐)시대≫ 64
제3장 역사시대의 진입 76
1. 한국 · 한민족(韓國·韓民族)의 성립≪한국측 기록에 의함≫ 76
1) 환인(桓因)부족의 탄생 77
2) 환인(桓因)부족의 이동 78
2. 중국 · 한민족(中國·韓民族)의 성립≪중국측 기록에 의함≫ 85
1) 황제(黃帝)≪환인(桓因)≫부족의 탄생 86
2) 황제(黃帝)≪환인(桓因)≫부족의 이동 90
3) 동북아시아 중앙에 정착한 황제(黃帝)부족 94
4) 황제(黃帝)부족과 문화의 천이(遷移) 97
3. 동북아시아 지역의 한민족(韓民族)의 분포(分布) 105
1) 한만(韓滿)≪만주(滿洲)과 한반도(韓半島)≫ 지역 106
2) 중원(中原) 지역 107
3) 몽고(蒙古) 지역 110
4) 시베리아 지역 111
5) 일본열도(日本列島) 113
6) 신강위구르(新疆 Uighur) 지역 114
7) 티베트(Tibet) 지역 115
8) 카자흐(Kazakh) 지역 116
9) 삼묘족(三苗族) 117
4. 동북아시아 이외 지역의 한민족(韓民族)≪북방몽골로이드≫의 분포 119
1) 터키(Turkey) 지역 120
2) 피노—우그리아족(Finno—Ugria族)과 사모예드족(Samoyed族) 122
3) 아메리카대륙과 오세아니아(Oceania) 지역 123
5. 고전과학(古典科學)의 원리와 그 인용법 125
1) 고전과학(古典科學)의 체계 126
2) 오행사상(五行思想)으로 구분되는 민족성 128
3) 역사인식의 오류 131
제2편 환인왕조(桓因王朝)
제1장. 한민족(韓民族)의 제1차 남정(南征) 135
1. 환인왕조(桓因王朝)의 성립 135
1) 중국측 기록의 환인(桓因)왕조 137
2) 한국측 기록의 환인(桓因)왕조 152
3) 환인(桓因)≪황제(黃帝)≫의 출생과 기록에 의한 역사의 개요 164
4) 환인(桓因)왕조≪황제(黃帝)왕조≫의 창건 171
2. 위사(僞史)로 조합한 사기(史記)의 오제본기(五帝本紀) 181
1) 황제(黃帝)왕조의 의아스런 왕통 계승 181
2) 이민족(異民族)들로 조합한 사기(史記)의 오제본기(五帝本紀) 185
3) 오제(五帝)의 모순된 혈연관계와 왜곡된 왕계(王系)의 구성 187
제2장 환인왕조(桓因王朝)≪황제왕조(黃帝王朝)≫시대 191
1. 중원의 환인왕조(桓因王朝)≪황제왕조(黃帝王朝)≫시대의 역사 191
1) 환인(桓因)≪황제(黃帝)≫왕조가 성립되기까지의 상황 192
2) 환인(桓因)≪황제(黃帝)≫왕조 칠제(七帝)의 왕세계(王世系) 정립 194
3) 환인(桓因)≪황제(黃帝)≫왕조의 왕대기(王代記)≪칠제본기(七帝本紀)≫ 197
2. 동북아시아에 건립된 환인왕조(桓因王朝)의 제후국(諸侯國)들 227
1) 만주(滿洲)와 한반도(韓半島)≪한만(韓滿)≫의 상황 228
2) 기타 동북아시아의 제후국들 235
3. 황제왕조(黃帝王朝)에 대한 고증 244
1) 유웅국(有熊國)과 헌원의 언덕(軒轅之丘)의 위치 문제 244
2) 강수(江水)와 약수(若水)의 위치 문제 249
4. 결언(結言) 261
제3편 환국(桓國)
1. 환국(桓國)≪배달나라≫의 성립 265
1) 환국(桓國)에 대한 문헌 검토 266
2) 환국(桓國)의 건국 272
3) 배달나라 환국(桓國) 277
2. 환국(桓國)시대 285
1) 환국(桓國)의 왕세계(王世系) 285
2) 환국(桓國)의 왕대기(王代記) 295
3. 환인(桓因)과 헌원(軒轅) 그리고 환웅(桓雄)과의 관계 310
1) 서언(序言) 310
2) 기록의 검토 313
3) 헌원(軒轅)과 환인(桓因)의 동일 인물임을 증명 320
4. 결언(結言) 345
제4편 조선(朝鮮)의 제1왕조≪단군조선왕조(壇君朝鮮王朝)≫
제1장 남방 민족의 제2차 북벌(北伐) 349
1. 중국 한민족(漢民族)의 형성 349
1) 요(堯) · 순(舜) · 우(禹)의 정체 349
2) 중원에 진주(進駐)한 요(堯) 세력 355
2. 남방 한민족(漢民族)의 제2차 북벌 359
1) 중원에서 왕권을 획득한 요(堯)집단 359
2) 환인(桓因)왕조와 환국(桓國)의 멸명 373
3. 한민족(漢民族) 하왕조(夏王朝)의 성립 379
1) 기록에 의한 역사의 개요 379
2) 한민족(漢民族) 하(夏)왕조시대 383
3) 하(夏)왕조 성립시의 혼전≪요·순(堯舜)과 곤·우(鯀禹)의 의아스런 관계≫ 394
4) 하(夏)왕조 성립시의 왕권의 이동 399
4. 도자기(陶磁器) 문화의 발달 401
1) 중국의 흑도(黑陶) 문화 401
2) 동북아시아 도자기(陶磁器) 문화의 전파(傳播) 403
5. 제3차 전환기(轉換期)에 일어난 사건들 409
1) 문화의 전파(傳播)에 대한 인식 409
2) 대홍수(大洪水) 이야기 413
3) 한반도의 홍수와 농경의 전설 420
제2장 조선(朝鮮)의 제1왕조≪단군조선왕조(壇君朝鮮王朝)≫의 성립 424
1. 단군조선왕조(壇君朝鮮王朝)의 건국 425
1) 문헌의 검토 425
2) 단군조선(壇君朝鮮)왕조의 건국 과정 438
2. 단군조선왕조(壇君朝鮮王朝)시대 454
1) 단군왕조(壇君王朝)의 왕세계(王世系) 455
2) 단군왕조(壇君王朝)의 왕대기(王代記) 460
3. 단군조선왕조(壇君朝鮮王朝)의 소멸 477
1) 서언 477
2) 사서에 나타난 단군(壇君)왕조의 소멸과정 480
3) 단군조선(壇君朝鮮)왕조 종말의 요약 482
4. 황제(黃帝)와 환웅(桓雄) 및 단군(壇君)에 대한 인식과 비판 483
1) 서언 484
2) 한국(韓國) 역사학자들의 견해 488
3) 일본(日本) 역사학자들의 견해 507
5. 결언(結言) 525
제3장 한민족(韓民族)의 제2차 남정(南征) 528
1. 백제(白帝)의 후손 은왕조(殷王朝)의 성립 529
1) 중원에서 한민족(韓民族)의 부흥 529
2) 중국 은(殷)왕조의 창건과 역사의 개요 538
3) 은(殷)왕조의 발생에 대한 분석과 역사 기록에 대한 재검토 547
4) 성탕(成湯)의 개혁 557
2. 은왕조(殷王朝)시대의 문화 558
1) 청동기(靑銅器) 문화 559
2) 은(殷)민족의 독특한 고유문화 562
3) 갑골문자(甲骨文字) 565
3. 한민족(韓民族)과 한민족(漢民族)의 남정(南征) 북벌(北伐)의 역사 571
1) 선사(先史)시대 571
2) 역사(歷史)시대 573
4. 은(殷) 문화의 천이(遷移) 577
1) 한반도(韓半島)로 천이(遷移) 577
2) 기타 동복아시아 지역으로의 천이(遷移) 579
3) 중원에서 은(殷)민족 문화의 소멸 5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