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6715625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0-06-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바울 사상의 근간으로서 두 기둥···010
제1부 바울 서신
1장 해석학
-해석학적 문제···026
-세 가지 해법····037
2장 바울 계열
-통일성과 상황적합성의 변증법···048
-바울 복음의 근본으로서의 묵시 사상···054
제2부 신학적 결과
3장 상황적합성
-복음의 상황적합성···086
-바울의 상황 서신들···089
-갈라디아서와 로마서···095
4장 통일성
-묵시 사상에 대한 반론들···122
-묵시적인 것과 그리스도의 부활···130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악마적 권세들···153
-그리스도인의 삶과 교회:
희망의 지평에서 복음의 전위全委와 실천···172
5장 에니그마
-율법의 에니그마, 죄와 죽음 간의 투쟁:
권세들 간의 투쟁 속에서의 율법···194
-죄와 죽음의 딜레마, 동일한 세력인가? 이질적 세력인가?···201
에필로그: 신학자 바울 ···214
참고문헌···246
역자후기···258
책속에서
“바울의 해석이 지닌 특징은 ‘화육운동’(the movement of the incarnation)을 자신의 사상에 담긴 능력을 통해 나타내는 일이었다.”
“바울의 희망 신학은 그의 ‘하나님중심’ 사상의 중요성에 방점이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역사의 완성으로서 그리스도-사건(Christ-event)이 아닌 하나님의 주권과 승리가 실현되는 것으로 막을 내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중심적 묵시가 복음의 주형(matrix)을 형성하고 그것이 맥박 치는 미래의 추진력을 일으키기 때문에 우리는 바울의 기독론이 하나님의 주권을 위해 헌신한다는 결론을 내리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