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예창작 실기론

문예창작 실기론

(문학이라 읽고 문예라 쓴다)

한만수 (지은이)
한국문예창작진흥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예창작 실기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예창작 실기론 (문학이라 읽고 문예라 쓴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창작.문장작법
· ISBN : 9791196809836
· 쪽수 : 585쪽
· 출판일 : 2021-04-29

목차

●문예를 위한 몇 가지 첨언 3
권1. 마법의 글짓기 교실
제1장 왜 글짓기 교육을 해야 하는가? 35
1. 미래를 지향하는 글짓기 교육 35
1) 개요 35
2) 글짓기 교육은 세계적 추세 37
2. 글짓기를 잘하면 머리가 좋아 진다 39
1) 개요 39
2) 글짓기를 잘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40
3) 글짓기를 잘하면 자신감이 늘어나고 인성이 좋아진다. 43
4) 글짓기와 인성교육 연관성 46
3. 글짓기는 특기가 아니라 일상이다 48
1) 개요 48
2) 글짓기 교육은 필수다 49
4. 현행 글짓기 교육의 문제점 52
1) 개요 52
2) 글짓기 교육의 문제점 52
3) 선입감에 쓰지 못한다. 53
4) 전문적인 글짓기 교육이 열악하다. 54
5) 독서량 부족과 생활 경험 부족 55
6) 글 쓸 기회가 줄어들었다. 55
5. 누구나 글짓기 선수가 될 수 있다 57
1) 개요 57
2) 글짓기는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58
3) 고정관념을 버리면 잘 써진다. 59
4) 자유롭게 쓰면 된다 60
5) 진실 되게 쓰면 잘 써진다 61
6) 글짓기 교육의 왕도는 자신감이다. 61
제2장 글짓기 기초다지기 63
1. 일기 쓰기는 습관으로 판가름 난다 63
1) 개요 63
2) 일기 쓰기를 싫어하는 이유 63
3) 말 잘한다고 일기 잘 쓰는 것은 아니다. 65
4) 일기를 쓰면 좋은 점 65
2. 누구나 일기를 잘 쓸 수 있다. 67
1) 개요 67
2) 생각나는 대로 쓰게 한다. 67
3) 동기를 부여해 준다. 67
4) 피드백은 반드시 칭찬 후에 해 준다 67
3. 일기는 첫날부터 스스로 써야 한다 69
1) 개요 69
2) 좋은 약이 입에 쓰다 69
3) 스스로 일기 쓰게 만드는 법 70
4. 쓰면 쓸수록 늘어나는 어휘력 72
1) 개요 72
2) 책을 정독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72
3) 텔레비전에 나오는 자막의 문장을 정확히 이해한다. 72
4) 상품이나 물건의 이름을 정확하게 기억한다. 73
5) 각종 소리를 정확히 써 본다. 73
5. 일기 재미있게 쓰기 75
1) 개요 75
2) 글짓기에서 어휘력의 영향 75
3) 어휘력과 글쓰기 관계 76
6. 잠자는 어휘력 깨워주기 78
1) 개요 78
2) 연상 낱말 찾기 78
3) 키워드로 낱말 찾기 79
7. 문장 기초 다지기 80
1) 개요 80
2) 문장의 성분 80
8. 문장 만들어 보기 83
1) 개요 83
2) 주어의 역할 84
3) 서술어의 역할 84
9. 짧은 문장 만들어 보기 86
1) 개요 86
2) 낱말에 서술어를 활용해 보기 86
3) 문장을 확대해 보자 88
10. 문장 쉽게 만들기 90
1) 개요 90
2) 느낌의 뜻을 정확히 알고 써야 한다. 92
11. 문장력 키우기 93
1) 개요 93
2) 문장에 살을 붙여 본다. 93
3)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각도로 써 본다. 94
4) 모르는 낱말이 나오면 즉시 찾아본다. 94
5) 솔직하게 쓰는 습관을 길러라 94
6) 다시 고쳐 쓰기를 습관화한다. 95
7) 소리 내어 읽어 본다. 96
8) 인내심을 길러야 한다. 96
12. 맛있는 문장 쓰기 97
1) 개요 97
2) 구어체와 문어체 97
3) 구어체의 특징 98
4) 말하는 대로 받아 써 보자 98
5) 생각의 방향 정하기 99
6) 생각 한대로 쓰기 99
13. 글짓기 문장이란? 101
1) 개요 101
2) 창조적 문장 쓰기 101
3) 맛있는 문장 쓰기 102
제3장 마법의 글짓기 교실 105
1. 글짓기 문체의 특성 107
1) 개요 107
2) 표준말을 사용해야 한다 108
3) 연령에 어울리는 문체를 사용한다. 109
4) 존댓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109
5)’나는’이라는 말의 사용을 줄인다. 110
2. 글짓기 서술 방식 111
1) 개요 111
2) 글짓기의 서술 방식 113
3. 잘 쓰는 문체 따라잡기 115
1) 개요 115
2) 좋은 문체 만드는 5가지 방법 115
3) 글짓기의 3대 요소 116
4. 글짓기 문단 만들기 119
1) 개요 119
2) 문단의 형식 120
3) 문단 만들기 121
5. 글짓기 소재 찾는 방법 123
1) 개요 123
2) 소재의 역할 124
3) 소재 정하는 법 124
4) 소재를 내 것으로 만들기 125
6. 줄거리 만들기 129
1) 개요 129
2) 줄거리 구성 방법 129
2) 줄거리 구성 해 보기 130
3) 시작 부분 쓰기 132
4) 본론 쓰기 132
5) 결말 쓰기 133
7. 글짓기 시작하기 135
1) 개요 135
2) 시선을 사로잡아야 한다. 136
3) 깊이를 느낄 수 있도록 써야 한다. 136
4) 긴장하게 만들어야 한다. 136
5) 쉽고 의미가 없는 문장은 피한다. 137
8. 결말은 감동으로 141
1) 개요 141
2) 첫머리와 결말은 형제지간이다. 141
3) 본문과 거리가 멀 면 안 된다. 142
4) 쫓기는 인상을 주면 안 된다. 142
5) 무리한 결말은 무리수다. 142
6) 결말짓기 143
9. 다양하게 써 보기 147
1) 개요 147
2) 일기를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쓰기 148
10. 구체적으로 써 보기 151
1) 개요 151
2) 사실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은 다르다. 152
3) 구체적으로 쓰는 법 152
11. 초고 완성하기 157
1) 개요 157
2) 초고 완성하는 순서 158
12. 구성으로 맛있는 글쓰기
1) 초고 완성하기 개요 161
2) 구성의 필요성 161
3) 구성하기 162
13. 묘사는 글짓기 향기다 165
1) 개요 165
2) 묘사의 종류 166
3) 묘사하는 법 167
14. 글짓기 제목 짓기 171
1) 개요 171
2) 독자와 연결 코드다 172
3) 작품을 대변한다. 172
3) 감동 받을 제목 만들기 172
15. 퇴고하기 175
1) 개요 175
2) 퇴고 없는 완성은 없다 176
3) 집필과정에서는 오류가 보이지 않는다. 176
4) 습관적 문체 오류는 집필할 때 보이지 않는다. 176
5) 활자화되었을 때는 이미 배는 떠났다. 176
6) 퇴고하기 177
권2. 마법의 시 창작법
제1장 예술적 시 창작 개론 183
1. 예술적 시 창작 183
1) 개요 183
2) 시어의 예술적 정의 184
2. 예술적 시 창작 접근 방법 185
2) 문학적 접근 185
3) 예술적 접근 186
3. 예술적 시 창작법의 블루오션(Blue Ocean) 187
1) 예술적 시 창작법 187
2) 초보자도 알 수 있는 실기교육 187
3) 체계적 창작 실기교육 187
4. 예술적 시 창작 방향 189
1) 개요 189
2) 예술적 시 창작 방향 190
제2장 마법의 동시 쓰기 191
1. 동시를 잘 쓰면 머리가 좋아진다. 191
1) 개요 191
2) 어린이시를 쓰면 자신감이 늘어나고 인성이 좋아진다. 193
2. 동시의 정의 195
1) 개요 195
2) 동시란 무엇인가? 195
3) 누구를 위해 쓰는가? 195
4) 내용과 표현의 차이 196
5) 교육 대상 196
6) 청소년 시의 교육 방향 197
3. 어린이 시 개념의 이해 199
1) 개요. 199
2) 어린이 시 개념의 이해 199
3) 감상 작품 선택 범위 200
4. 어린이시 스스로 쓰게 만들기 204
1) 개요 204
2) 선입감을 가지고 지도해서는 안 된다. 204
3) 자유롭게 쓰게 한다. 205
4) 필사하기를 한다. 206
5. 어린이시는 어린이답게 써야 한다 207
1) 개요 207
2) 어린이 시의 형식 207
3) 표현하기 208
6. 어린이 시 쓰기 209
1) 즐거웠던 일에 제목을 붙여 놓고 써 본다. 209
2) 좋아하는 물건 이름을 제목으로 정하고 느낌을 써 본다. 209
3) 자연의 풍경에 제목을 정하고 느낌을 써 본다. 209
제3장 마법의 시 창작 작법 211
1. 마법의 시 창작법 211
1) 개요 211
2) 왜 시를 못 쓰는가? 213
3) 마법의 시 창작 작법 커리큘럼 215
4) 눈으로 보는 창작 교육 216
2. 시를 알아야 시를 쓸 수 있다 217
1) 개요 217
2) 시의 특징 218
3) 시의 3요소 219
4) 시의 형식 요소 219
5) 시의 갈래 221
3. 시어를 알면 시가 보인다 225
1) 개요 225
2) 시어와 일상 언어 225
3) 시어의 특성 226
4) 시적 화자 226
5) 시적대상 근처를 바라보기 227
4. 시적 대상 예술적 접근하기 229
1) 개요 229
2) 예술적 접근 230
5. 시인의 눈은 특별하다. 231
1) 개요 231
2) 시적 대상 232
3) 시적 발상 233
6. 시적 상상력이란 235
1) 시적 상상력 235
7. 낙타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 239
1) 시적 모티브란 239
8. 시에 생명을 불어 넣기 243
1) 개요 243
2) 관념을 구체화하기 243
3) 구체적 형상화를 잘하려면 245
9. 객관적 상관물이란 247
1) 개요 247
2) 객관적 상관물로 응용해 써보기 249
10. 시적 허용도 규칙이 있다 251
1) 개요 251
2) 시적허용이 필요한 이유 252
11. 영감(靈感)으로 시를 쓴다? 253
1) 개요 253
2) 시적 영감(詩的 靈感) 254
3) 시적영감은 어떻게 발현이 되나 255
4) 시적 영감에 대한 오해 255
12. 시 뜯어서 읽기 257
1) 개요 257
2) 시적 거리에 대하여 261
13. 모든 시에는 사람이 있다 265
1) 개요 265
2) 의인화 필요성 266
3) 의인화하는 법 266
4) 좋은 시는 은유다. 267
14. 초고 완성하기 271
1) 개요 271
2) 초고 완성하기 273
15. 퇴고할수록 빛이 난다. 285
1) 시의 제목은 얼굴이다. 285
2) 퇴고할수록 빛이 난다. 288
권3. 소설 창작의 정석
제1장 작가가 되겠다는 각오로 소설을 써라 295
1. 왜 소설을 써야 하는가? 296
1) 개요 296
2) 소설이란 무엇인가 296
3) 소설의 특징 297
4) 소설을 쓰면 무엇이 좋아지나. 299
2. 시작이 반이다. 300
1) 소설을 쓴다는 생각을 갖고 써야 한다 300
2) 무작정 시작하라. 301
3) 시작이 좋아야 결과도 좋다. 302
제2장 소설의 소재는 널려있다. 305
1. 소설의 소재는 널려 있다. 306
1) 개요 306
2) 소설의 소재는 가까울수록 좋다. 306
3) 소설의 소재 키우기 307
2. 소재 없는 줄거리는 없다 308
1) 개요. 308
2) 생각나는 대로 써라. 309
3)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어야 한다. 310
제3장 사건을 만들어 보자 313
1. 사건을 만들어 보자. 314
1) 개요 314
2) 이야기의 소재를 사건으로 만드는 법 314
3) 사건의 구조 315
2. 기승전결로 확대하기 316
1) 개요 316
2) 기승전결이란 316
제4장 소설 꼭지 만들기 319
1. 꼭지는 왜 필요한가? 320
1) 개요 320
2. 소설 꼭지 만들기 321
1) 단편소설 321
2) 장편 소설 꼭지 만들기 321
제5장 꼭지 에피소드 만들기 325
1. 에피소드의 기능 326
1) 개요. 326
2) 소설의 에피소드 역할 326
2. 에피소드 만드는 법 327
1) 개요 327
2) 등장인물의 특징을 모티브로 삼는다. 327
3) 배경을 이용해서 만든다. 328
4) 스토리에서 모티브를 찾아 확대한다. 328
5) 에피소드 이어 붙이기 328
제6장 초고 완성하기 331
1. 초고 완성하기 332
1) 개요 332
2) 꼭지 붙이기 332
3) 초고 완성하기 332
4) 초고 보관하기 332
2. 구성하기 333
1) 개요 333
2) 구성하기 333
제7장 주제보완하기 337
1. 소설의 주제란 338
1) 개요 338
2) 주제의 역할 338
2. 주제보완하기 339
1) 개요 339
2) 주제보완하기 339
제8장 캐릭터 창조하기 343
1. 캐릭터 분류하기 344
1) 개요 344
2) 캐릭터 분류 344
2. 캐릭터 창조하기 345
1) 개요 345
2) 언어로 캐릭터 창조 방법 346
3) 행동으로 캐릭터 창조 방법 346
제9장 배경 보완하기 349
1. 배경의 역할 350
1) 개요 350
2) 소설의 배경이란 350
2. 배경 보완하기 351
1) 개요 351
2) 배경 창조하는 방법 352
제10장 시점 반영하기 355
1. 시점이란 356
1) 개요 356
2. 시점과 거리 358
1) 개요 358
2) 소설에서의 거리 358
3. 시점에 따른 거리 359
1) 개요 359
제11장 문체 다듬기 363
1. 소설의 문체란 364
1) 개요 364
2) 소설 문체의 요소 364
3) 소설의 표현 방법 364
4) 소설의 어조 365
2. 좋은 문체 만들기 366
1) 개요 366
2) 필사하기 366
3) 모방하기 366
4) 좋은 문체 만드는 7가지 방법 366
제12장 묘사하기 369
1. 소설의 묘사란 370
1) 개요 370
2) 묘사의 종류 370
2. 묘사하는 법 371
제13장 소설의 시작은 첫인상이다. 375
1. 시작 보완하기 376
1) 개요 376
2) 시작의 중요성 376
2. 결말 고쳐보기 378
1) 개요 378
2) 시작 부분과 균형이 맞아야 한다. 379
3) ‘그리고’로 마무리를 한다. 379
4) 예상을 깨트려 버려야 한다. 379
5)과도한 결말은 무리수다. 379
제14장 소설의 제목은 얼굴이다. 381
1. 제목 짓기 382
1) 개요 382
2) 독자와 연결 코드다. 382
3) 작품을 대변한다. 382
4) 독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 382
2. 제목 짓기 382
1) 개요 382
2) 이의성을 찾는다. 383
3) 작품의 키워드를 찾는다. 383
4) 주인공의 이름으로 짓는다. 383
제15강 퇴고는 다이아몬드다. 385
1. 퇴고가 핵심이다. 386
1) 개요. 386
2) 퇴고 없는 완성은 없다, 386
3) 집필 과정에서는 오류가 보이지 않는다. 386
4) 습관적 문체 오류는 집필 할 때 보이지 않는다. 386
5) 활자화되었을 때는 이미 배는 떠났다. 387
2. 퇴고하기 387
1) 개요 387
2) 한 가지씩 검토를 한다. 387
3) 주제가 살아있는지 본다. 387
4) 반복되는 관용어나 부사, 조사가 없는지 본다. 387
5)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였는지 본다. 388
6) 분위기는 통일되었는지 본다. 388
권4. 수필 창작법
제1장 구름에 달 가듯이 393
1. 수필의 정의 394
2. 수필의 특성 394
1) 개요 394
2) 주관적 문학 395
3) 형식으로부터의 자유 395
4) 교육과 성찰 395
3. 수필의 구성요소 395
1) 개요 395
제2장 수필은 짧은 소설인가? 397
1. 수필의 갈래 성격 398
1) 개요 398
2) 교술 갈래의 성격 398
3) 교술 갈래의 방향 398
2. 수필의 종류 398
1) 개요 398
2) 내용에 의한 분류 399
3) 서술 방식과 태도에 따른 분류 399
제3장 수필의 산문적 특성 403
1. 수필의 문체 404
1) 개요 404
2. 수필의 좋은 문장 405
1) 개요 405
2) 함축적 문장 405
3) 진실한 문장 406
4) 시제는 정확해야 한다. 406
5) 절제된 문장 406
6) 분위기를 통일시켜야 한다. 406
제4장 수필의 소재 407
1. 수필의 소재 만들기 408
1) 개요 408
2) 수필의 소재 찾아보자 408
3) 수필의 소재는 가까운 곳에서 찾아라. 409
4) 소재를 가공하기 409
2. 소재로 줄거리 만들기 409
1) 개요 409
2) 자유롭게 써라 409
3) 줄거리를 만들기 410
4) 시작과 끝은 분명히 한다. 410
제5장 수필의 구조 413
1. 수필의 구조는 414
1) 개요 414
2) 수필의 구조 414
3) 수필의 서두 414
2. 수필 나누어 쓰기 415
1) 개요 415
2) 나누어 쓰기 필요성 415
3) 나누어 쓰기 방법 415
제6장 초고 완성하기 417
1. 초고 완성하기 418
1) 개요 418
2) 이어 붙이기 418
3) 초고 완성하기 418
4) 초고 보관하기 418
2. 구성하기 419
1) 개요 419
2) 수필의 4가지 구성요소 419
2) 구성하기 420
제7장 주제보완하기 421
1. 수필의 주제란 422
1) 개요 422
2) 주제의 역할 422
2. 주제보완하기 423
1) 개요 423
2) 주제보완하기 423
제8장 수필에는 배경이 필요 없다? 425
1. 배경의 역할 426
1) 개요 426
2) 수필에서 배경의 필요성 426
3) 수필의 배경이란 426
2. 배경 보완하기 428
1) 개요 428
2) 배경 창조하는 방법 428
제9장 수필에도 시점이 있다. 431
1. 시점의 중요성 432
1) 개요 432
2. 시점의 거리란 433
1) 개요 433
2) 수필에서의 거리 434
3) 시점에 따른 거리 434
제10장 어떤 문체가 좋은가? 437
1. 수필에서 좋은 문체란 438
1) 개요 438
2) 수필 문체의 특성 438
3) 수필의 서술 방식 439
4) 수필의 어조 440
2. 문체 고쳐 보기 440
1) 개요 440
2) 필사하기 440
3) 모방하기 441
4) 좋은 문체 만드는 5가지 방법 441
제11장 수필에서 묘사가 필요할까? 443
1. 수필의 묘사란 444
1) 개요 444
2) 묘사의 종류 444
2. 묘사 하는 법 446
1) 개요 446
2) 묘사 대상을 찾는다. 446
3) 구체적 관찰을 한다. 446
4) 묘사의 대상을 설명한다. 447
5) 오감(五感)을 자극시킨다. 447
제12장 수필의 시작은 첫인상이다. 449
1. 수필의 시작은? 450
1) 개요 450
2) 시작의 중요성 450
3) 통속적 문장은 피한다. 450
4) 지나친 미문이나 관념적인 문장은 피한다. 450
5)의문형의 시작은 분위기를 흐린다. 451
2. 시작 부분 고치기 451
1) 개요 451
2) 시선을 사로잡아야 한다. 451
3) 깊이를 느낄 수 있도록 써야 한다. 452
4) 긴장하게 만들어야 한다. 452
제13장 끝이 아름다워야 감명이 깊다. 455
1. 수필의 결말은 456
1) 개요 456
2) 시작 부분과 연계성이 있어야 한다. 456
3) 본문과 연관성 456
4) 쫓기는 인상을 주면 안 된다. 456
5)과도한 결말은 무리수다. 457
2. 결말 부분 보완하기 457
1) 개요 457
2) 예상을 깨트려 버려야 한다. 457
3) 결말은 생각할 여운을 남겨야 한다. 457
제14장 수필의 제목은 얼굴이다. 459
1. 제목의 역할 460
1) 개요 460
2) 독자와 연결 코드다 460
3) 작품을 대변한다. 460
4) 서정적 제목은 흡입력이 있다 460
2. 제목 고쳐보기 461
1) 개요 461
2) 이의성을 찾는다. 461
3) 작품의 키워드를 찾는다 461
4) 주인공의 이름으로 짓는다. 461
5) 좋은 제목은 메모해 둔다. 462
제15장 퇴고는 영혼이다. 463
1. 퇴고는 필수 과정이다. 464
1) 개요 464
2) 퇴고 없는 완성은 없다 464
3) 집필과정에서는 오류가 보이지 않는다. 464
4) 습관적 문체 오류는 집필할 때 보이지 않는다. 464
5) 활자화되었을 때는 이미 배는 떠났다 465
2. 퇴고하기 465
1) 개요 465
2) 한 가지씩 검토를 한다. 465
3) 주제가 살아있는지 본다. 465
4) 반복되는 관용어나 부사, 조사가 없는지 본다. 465
5)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였는지 본다. 466
6) 분위기는 통일되었는지 본다. 466
7) 반드시 인쇄물로 퇴고를 한다 . 466
권5. 문예의 이해
제1장 문예와 작가 469
1. 문학과 문예 470
1) 개요. 470
2) 예술의 정의 471
3) 문예의 본질 472
4) 문예의 기능 472
5) 문예와 작가 473
2. 문예의 장르 474
1) 개요. 474
제2장 시(詩)란 무엇인가 477
1. 시(詩란) 무엇인가? 478
1) 개요 478
2) 시의 특징 478
3) 시의 3요소 479
4) 시의 형식 요소 479
2. 시어(詩語)란 무엇인가? 482
1) 개요 482
2) 시어와 일상 언어 482
3) 시어의 특성 483
4) 시적 화자 483
제3장 시적 발상이란? 485
1. 시적 발상이란 무엇인가? 486
1) 개요 486
2) 시적 발상 순서 486
3) 시적 발상 능력 487
4) 낯설게 하기 487
2. 시적 허용이란 무엇인가? 488
1) 개요 488
2) 시적허용 필요한 이유 488
제4장 시적 상상력 발원방법 491
1. 시적 상상력과 모티브 492
1) 시적 상상력이란 492
2) 시적 상상력 키우기 492
3) 시적 모티프 생성해 보자 493
4) 새롭게 보기 493
5) 상상력으로 시적 모티브 생성하기. 494
2. 관념의 구체화와 객관적 상관물 495
1) 관념의 구체화란 495
2) 구체적 형상화 496
3) 관념의 구체화와 구체적 형상화 496
4) 구체적 형상화를 잘하려면 497
5) 객관적 상관물이란 497
제5장 모든 시의 본질은 사람이다. 499
1. 시적 의인화하기와 은유법 500
1) 의인화하기 500
2) 의인화 필요성 500
3) 의인화하는 법 500
4) 은유법 501
2. 낯설게 하기와 시적거리 502
1) 낯설게 하기란 502
2) 낯설게 하기 형식 503
3) 낯설게 하기 필요성 503
4) 낯설게 쓰기 504
5) 시적 거리 505
제6장 소설의 이해 509
1. 소설이란 510
1) 개요 510
2) 소설의 특징 511
3) 소설의 분류 512
2. 소설 주제찾는 방법 515
1) 개요 515
2) 주제의 역할 515
3) 주제보완하기 516
제7장 사건은 주제다. 519
1. 소설의 소재 찾는 법 520
1) 개요 520
2) 소설의 소재는 가까울수록 좋다. 520
3) 소설의 소재 찾는 방법 521
2. 소설의 사건(줄거리) 만들기 522
1) 개요. 522
2) 생각나는 대로 써라. 522
3)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어야 한다. 523
4) 줄거리를 완성해 보자. 524
제8장 소설속의 인물론 525
1. 현실의 인물과 소설의 인물 526
1) 개요 526
2) 캐릭터 분류 527
2. 캐릭터 창조 방법 528
1) 개요 528
2) 언어로 캐릭터 창조 방법 528
3) 행동으로 캐릭터 창조 방법 529
제9장 소설의 플롯 531
1. 플롯의 중요성 532
1) 개요 532
2) 구성하기 532
2. 소설의 시점이란 534
1) 개요 534
2) 시점에 따른 거리 536
제10장 소설의 배경과 문체 539
1. 배경 만드는 법 540
1) 개요 540
2) 배경이란 540
3) 배경 보완하기 541
2. 좋은 문체 만드는 법 543
1) 개요 543
2) 소설 문체의 요소 544
3) 소설의 표현 방법 544
4) 소설의 어조 545
5) 좋은 문체 만들기 545
제11장 묘사하기 547
1. 소설의 묘사란 548
1) 개요 548
2) 묘사의 방법 548
2. 묘사 잘 하는 법 550
1) 개요 550
소설도 그렇다. 550
제12장 수필의 이해 553
1. 수필이란 무엇인가 554
1) 수필의 정의 554
2) 수필의 특성 554
2. 수필의 갈래 556
1) 교술 문학의 성격 556
2) 수필의 종류 556
제13장 수필의 산문적 특성 561
1. 수필의 문체와 문장 562
1) 수필의 문체 562
2) 수필에 좋은 문장 563
2. 수필의 소재와 줄거리 564
1) 개요 564
2) 수필의 소재 찾아보자 565
3) 수필의 소재는 가까운 곳에서 찾아라. 565
4) 소재를 가공하기 566
5) 소재로 줄거리 만들기 566
제14장 글짓기 개론 569
1. 글짓기란 570
1) 글짓기란 570
2) 글을 짓는 목적 570
3) 글을 짓는 형식 570
4) 글짓기 능력의 필요성 570
5) 글짓기 분류 571
2. 어휘력 키우기 573
1) 글짓기와 어휘력 573
2) 어휘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 575
제15장 글짓기 문장 키우기 579
1. 글짓기 문장이란 580
1) 개요 580
2) 문장이란? 580
3) 문장력 키우기 581

저자소개

한만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 영동에서 태어났다. 은행과 보험회사를 17년 동안 다니는 틈틈이 습작을 하다 1990년부터 무작정 전업 작가의 길로 나섰다. 월간 『한국시』에 시 「억새풀」이 당선되어 등단하였으며 베스트셀러 시집 『너』를 비롯하여 『백수 블루스』 등 5권의 시집을 출간했다. 실천문학에 장편소설 『하루』가 당선된 이후로 장편소설 『파두』, 『천득이』 등 150여 권의 소설과 소설 창작의 길잡이 책인 『소설 작법의 정석』을 출간하기도 했다. 2014년 12월에는 12년 6개월 동안 집필한 대하장편소설 『금강』(전15권)을 완간했다. 『금강』은 우리나라 최초로 일제강점기부터 2000년도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동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그리고 물가 등을 사실적으로 재현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소설이다. 늦깎이 공부를 시작해 경희사이버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학하다 중단했다. 현재 〈한국문예창작진흥원〉을 운영하며 활발하게 창작 활동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