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96812959
· 쪽수 : 307쪽
· 출판일 : 2024-03-10
책 소개
목차
머리글
추천사
함께하는 글
1부 맹현리 생애와 선교
1. 고향, 테네시 채터누가
2. 어머니는 16명의 아이를 낳았다
3. 호남 선교의 플랫폼
4. 태평양 너머 생명 전하러
5. 연상의 여인
6. 섬 사역에 전념하다
7. 대를 이어 충성하는 섬 전도
8. 소금은 자고로 짜야
9. 유배지에 전한 복음
10. 감옥에서 만난 예수
11. 주님이 일하신다
12. 떠돌이 전도자
13. 마지막 섬까지 땅 끝까지
14. 신자는 교육하라
15. 목포 신학교의 출발
16. 달려라 발걸음, 전하여라 복음을
2부 맹현리 글
● 맹현리 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목회자 아이로 태어난 매컬리(맹현리). 위로 많은 누나 형들 틈에서 참으로 복되게 자랐다. 자라면서 그의 뒤를 이어 태어난 또 많은 동생들과 함께 유년기, 청소년기를 채터누가에서 보냈다. 1세기도 넘는 세월이 흘렀지만, 지금도 여전히 그의 친,인척 대부분은 채터누가에서 사는 것으로 보인다. 또 많은 친, 인척들의 묘가 채터누가에 있기 때문이다.
맹현리는 테네시 주의 명문 사립학교 베일러 스쿨(baylorschool.org)을 통해 중고등 교육을 받았다. 1893년 그가 12살 때 이 학교가 설립되었으니, 아마도 이제 갓 개교한 학교에서 6-12학년 과정을 마친 듯하다. 중등교육을 마친 후 그는 버지니아 대학교에 입학하여 1904년 문학사 졸업하였다. 1904~1907년까지 유니언 신학교와 프린스턴 신학교를 연이어 다니며 목회자로서의 학문과 소양을 쌓았다.
맹현리는 증기선이 절실했다. 고향 부모 가족에게 이 상황을 보고하고 도움을 요청했다. 먼 나라 잘 알지도 못하는 오지에서 그것도 낙도를 다니며 선교하는 아들에게 부모는 큰 힘이었고 하늘의 은혜였다. 감사하게도 맹현리는 엔진으로 달려가는 보트를 얻을 수 있었다. 배에는 늘 아내가 있었고, 한국인 요리사, 어학선생과 조사 등 여러 명으로 구성된 전도팀이 함께 하였다.
맹현리 전도 팀은 섬에 도착하면 마을에 적당한 공간을 얻어 사역 준비를 하였다. 요리사는 팀원들의 식사 준비를 하였고, 조사는 맹현리를 도와 사람을 모으고 전도 설교하기에 적합한 공간을 만들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맹현리 부인 에밀리 코델 여사가 펼치는 임시 진료소였다.
이를테면 교구 담당 심방 목사였다. 목포 사역을 거쳐간 25명의 목사 선교사 가운데 초기의 유진 벨, 오웬, 레이놀즈, 프레스턴과 해리슨 만이 한국인 지도자가 전혀 없었던 탓에 담임 사역을 했고 당회장을 맡았다. 그이후 후배 모두는 순회 사역자 구역담당이었고, 시골에 교회가 세워지면 한국인 목회자가 올 때까지 임시 당회장 정도였을 뿐이다.
그들은 기꺼이 순회 떠돌이 사역자로서 감사와 기쁨으로 감당했다. 목포 앞바다에 깔린 섬 지역만을 전담 순회하는 맹현리 목사로부터 해서 니스벳(유서백), 머피(민도마), 녹스(노라복), 뉴랜드(남대리), 하퍼(조하파) 등은 다 농어촌 순회 전도에 자신의 역할을 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