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6856816
· 쪽수 : 202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편자 서문
Ⅰ. 소 그림의 기원
1.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서 나타난 소 그림
2. 라스코 동굴 벽화
3. 소의 가축화
Ⅱ. 한우의 역사와 기원
1.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한우
2. 견우와 직녀 이야기
3.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한우
Ⅲ. 조선 시대의 한우
1. 신편 우의방 서문(序文)
2. 상우법(相牛法)
3. 우사(造牛廠) 터 자리 잡을 때 좋은 곳을 고르는 법
4. 소 기르는 데 피해야 할 일(養牛雜忌論)
5. 소의 형상(形狀)과 모색론(毛色論)
Ⅳ. 소 밭갈이 이야기
1. 고대의 밭갈이
2. 조선 시대 풍속화에서 나타난 우경(논, 밭갈이 그림)
3. 1900년대의 우경(논, 밭갈이)
4. 2000년대의 논․밭갈이
5. 황희 정승과 밭갈이 소 이야기
6. 밭갈이와 관련된 속담
7. 풍속화(風俗畵)에 나타난 한우
8. 조선 시대 쇠고기 먹는 그림
9. 고려와 조선의 고기 먹는 문화
Ⅴ. 의리를 지킨 소 이야기
1. 의우도서문
2. 의우도를 노래하다(義牛圖歌 의우도가)
Ⅵ. 소와 관련된 조선의 시(詩)
1. 방랑 시인 김삿갓(金笠)의 송아지 값 고소장
2. 방랑 시인 김삿갓(金笠)의 늙은 소(老牛)
3. 기우가(騎牛歌: 소 타는 노래)
4. 달구지 모는 아이(驅車兒: 구차아)
5. 구리쇠 실은 수레를 끄는 소(鐵車牛行)
6. 수레 끄는 소(車牛行)
Ⅶ. 소싸움(鬪牛)에 대하여
1. 전통적 소싸움의 유래
2. 현대의 소싸움
3. 싸움소의 선발과 사양 관리
4. 투우 대회를 전통문화로 발전시키려면
5. 서울에서 벌어진 청도 소싸움 대회
6. 일본의 투우
Ⅷ. 소와 종교 이야기
1. 소와 풍습
2. 소와 12동물과 띠 이야기
3. 소는 신(神)인가?
4. 종교에서 나타난 소의 위치
Ⅸ. 일제 강점기의 한우
1. 축우가(畜牛家)가 본 조선
2. 일본과 조선과의 산우(産牛) 문제
3. 조선우의 수용(需用)
4. 조선우의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