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96918408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2-11-03
책 소개
목차
1. 도시불평등 뛰어넘기 _유승호
2. 주거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새로운 주택공급모델과 사례 _이윤형
3. 디지털 컨버전스와 지속가능한 도시 _조철민
4. 기록의 생태계, 웹 _김현구
5. 인구감소시대, 지역은 정말 소멸할까? : 지방소멸위기지역의 현황과 대안 살펴보기 _이민주
6. 청년의 행복 불평등 _박민진,이민주
7. 미혼한부모의 잊힌 시간 _김창선
8. 장애의 관점에서 본 도시 탄생의 함의와 도시철학 _이재영
9. 군사시설로 인한 지역의 피해와 갈등, 그리고 회복을 위한 노력 _신수연
10. 자연의 회복력: 기후위기시대와 산불 _홍석환
11. 기후·생태위기시대, 자연기반해법 모색 _최진우
12. 섬지역 수용력과 리질리언스 _박성현
13. 농촌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먹거리 지속을 위한 정책적 제언 _이재철, 조성걸
14. 기후위기 시대의 에너지복지 _한국에너지재단 에너지복지연구센터
15. 도시, 디자인, 의제 _이태겸, 이현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연 우리의 삶은 더 나아질까?' 그 누구도 미래를 보장해 주지 못한다는 인식이 팽배한 사회, 이른바 불확실성의 시대에 접어든 이 시대의 많은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질문 가운데 하나일 것입니다. <회복력과 전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성찰과 제언>은 이런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한, 아직 끝나지 않은 여정의 한가운데서 담은 책입니다. 불확실성의 위기를 해 결하기 위한 해답은 무엇인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고민을 시작해 보고자 합니다.
20세기를 대표하는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John Kenneth Galbraith)는 저서 『불확실성의 시대(The Age of Uncertainty)』(1977)를 통해 주체적인 시민의 역할과 불편한 진실과 마주할 용기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삶을 위해 우리는 무엇에 주목 해야 하는지에 집중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미래 전망서'로서의 역할에는 분명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전환 시대에 지방정부가 효과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해야 할 실천방안과, 과거와 다른 관점과 정책 대안의 필요성을 고민하는 시작점으로써 이 책의 저술에 참여한 젊은 연구 자들의 새로운 제안들은 분명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략……
이번 작업에 참여한 17명의 연구자들은 전문지식을 넘어 현장에서 쌓아 온 경험과 식견을 바탕으로 귀중한 고언을 해주셨습니다. 어려운 여건에서 도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같이 고민해보자는 제안에 기꺼이 화답해주신 연구자들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아울러 책을 함께 기획하며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신 한국섬진흥원 이태겸 연구위원님, 기획의 방향에 아낌없이 조언해주고 원고를 검토 해주신 공공의제연구소 오름의 오현순 박사님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