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3조선

3조선 (고조선)

최동환 (지은이)
메이킹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3조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3조선 (고조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91197006418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0-04-27

책 소개

고조선을 단군조선, 후조선, 위만조선으로 나누고, 그 실체를 규명한 책이다. 그 말미에는 요동군의 원래 위치와 옮긴 위치를 써서, 우리 상고사에 존재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편 단군조선(전조선)
제1장 개관
제2장 문헌증거(사료)
제1절 우리나라의 사료
1. 삼국유사
<기이 제1편(紀異第一)>
1) 서왈(叙曰)
(1) 번역문
(2) 원문
(3) 해설
2) 고조선 왕검조선(古朝鮮 王儉朝鮮)
(1) 번역문
(2) 원문
(3) 해설
3) 삼국유사 고기(古記)에 대한 왜곡과 진실
(1) 단군은 신화?
(2) 단군은 항몽사상 고취용?
2. 제왕운기
1) 번역문: <전조선기>
2) 원문
3) 해설
4)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비교
(1) 같은 점
(2) 다른 점
3.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지리지 평양부)
1) 번역문
2) 원문
3) 해설
4. 응제시 주(應製詩註)
1) 번역문
2) 원문
3) 해설
제2절 중국의 사료
1. 사기 송미자세가
2. 한서지리지
3. 해설
제3장 유물증거
제1절 중국에서 출토된 유물
1. 북외 유적지에서 출토된 비파형 동검
1) 중국고고망(中国考古网)에 발표된 보도 자료
(1) 번역문
(2) 원문
2) 보도 자료의 주요 사항
3) 보도 자료에서 중요한 점
(1) 비파형 동검이 발견된 곳: 주거지(집터)
(2) 발표 시점: 2018년 2월 11일
(3) 출토된 비파형 동검의 특성과 추정 연대
(4) 함께 출토된 유물(공반 유물)
(5) 부채꼴 청동도끼 돌 거푸집
2. 참고
1) 마성자(馬城子)문화
(1) 장법(葬法)
(2) 유물
(3) 연대
2) 쌍타자(雙砣子: 솽퉈쯔)문화
제2절 우리나라의 고고학적 성과
1. 조기(早期) 청동기 유물
2. 전기 청동기 유물
3. 유감스러운 점
4. 단군조선이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5. 비파형 동검의 특징과 쓰임, 그리고 돌칼(마제석검)
1) 비파형 동검의 특징
2) 비파형 동검의 용도
3) 돌칼(마제석검: 간 돌검)
제4장 단군조선의 강역

제2편 후조선
제1장 개관
1. 존속 기간
2. 왜 후조선인가?
제2장 후조선과 기자(서기전 1046년 경)
제1절 우리나라의 문헌
1. 제왕운기
1) 번역문: <후조선기​(後朝鮮紀)>
2) 원문
2.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지리지 평안도 평양부)
3. 우리나라 사료가 근거로 삼은 것
제2절 중국의 문헌
1. 사기 송미자세가
2. 한서지리지
3. 상서대전
4. 중국의 문헌들이 뜻하는 것
제3절 기자가 조선으로 피난 온 물적 증거
제3장 후조선의 유물과 유적
제1절 개관
1. 비파형 동검의 출토 지역
2. 비파형 동검의 특징
3. 비파형 동검의 변화 양상
4. 함께 출토된 유물(공반 유물)
제2절 후조선 전기 유적과 유물(서기전 1,000년 무렵~서기전 900년 무렵)
1. 쌍방(雙房: 솽팡)유적
1) 쌍방(雙房: 솽팡)유형의 분포지역
2) 쌍방(雙房: 솽팡)유형 돌무덤의 종류
(1) 쌍방(雙房: 솽팡)유형의 개석식(蓋石式: 뚜껑돌식) 고인돌
(2) 쌍방(雙房: 솽팡)유형의 탁자식 고인돌
3) 쌍방(雙房: 솽팡)유형의 연대
2. 동산(東山: 둥산)유적
제3절 후조선 중기 유적과 유물(서기전 900년 무렵~서기전 300년 무렵)
1. 제1단계(서기전 900년 무렵~서기전 500년 무렵)
1) 화상구(和尙溝: 허상거우) 묘지
2) 오금당(烏金塘: 우진탕) 무덤
3) 십이대영자(十二臺營子: 스얼타이잉쯔) 무덤
4) 강상(崗上) 묘지
5) 누상(樓上: 러우상) 묘지
2. 제2단계(서기전 500년 무렵~서기전 300년 무렵)
1) 정가와자(鄭家窪子: 정자와쯔) 무덤
2) 남동구(南洞溝: 난둥거우) 묘지
3) 삼관전자(三官甸子: 산관뎬쯔) 묘지
제4장 후조선과 소진(서기전 334년)
제1절 개관
1. 이때의 조선은 후조선이다
2. 연나라의 동서남북 국경과 넓이
제2절 임호와 누번의 위치
1. 임호(林胡)의 위치
2. 누번(樓煩)의 위치
제3절 운중과 구원의 위치
1. 운중(雲中)의 위치
2. 구원(九原)의 위치
제4절 호타와 이수의 위치
1. 호타(嘑沱)의 위치
2. 이수(易水)의 위치
제5절 소진열전으로 본 요동의 위치
1. 연나라 영토의 남북 길이
2. 연나라 영토의 동서 폭
제6절 소진열전에서의 의문점
제5장 후조선과 조나라 무령왕(서기전 306년~서기전 296년)
제1절 개관
제2절 조세가
1. 무령왕 20년(서기전 306년) 조
2. 무령왕 26년(서기전 300년) 조
3. 무령왕 27년(서기전 299년) 조
4. 혜문왕 2년(서기전 297년) 조
5. 혜문왕 3년(서기전 296년) 조
6. 혜문왕 4년(서기전 296년) 조
제3절 조 무령왕과 임호 및 누번
1. 조 무령왕과 임호 및 누번의 관계
1) 임호의 멸망
2) 누번의 멸망
2. 임호 및 누번 땅과 운중군 및 안문군의 관계
1) 임호와 운중
2) 누번과 안문군
3. 조 무령왕과 장성
4. 조 무령왕과 운중군, 안문군, 대군
제6장 후조선과 진개(서기전 284년 무렵)
제1절 사기 흉노열전
1. 진개의 일은 언제 일어난 일인가?
2. 연나라가 쌓은 장성과 요동군의 위치
1) 연나라가 쌓은 장성의 거리와 위치
2) 요동군의 위치
제2절 사기 조선열전
제3절 연 하도 등에서 출토된 후조선 유물
1. 후조선 유물
2. 조선(후조선)이 연나라에게 패한 원인
제4절 삼국지 오환·선비전
제5절 위략(魏略)
1. 천여 리와 2천여 리
2. 요동군의 동천
제6절 염철론
제7장 후조선과 진시황의 6국 병합(서기전 221)
제1절 사기 진시황본기
제2절 위략(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주석)
제8장 후조선과 묵돌(서기전 205년 무렵)
1. 사기 흉노열전(번역문)
2. 원문
3. 해설
제9장 후조선과 위만(서기전 194년 무렵)
1. 사기 조선열전
2. 삼국지 위서 동이전
3. 해설
제10장 후조선의 영역
제11장 후조선과 공존한 나라
1. 부여
2. 옥저
3. 한(韓)

제3편 위만조선(서기전 194년 무렵~서기전 108년)
제1장 개관
제2장 문헌 증거(사료)
제1절 우리나라의 사료
1. 제왕운기
2. 조선왕조실록
제2절 중국의 사료
1. 사기 조선열전
2. 위략(魏略: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韓 조의 주석)
3. 해설
제3장 위만조선의 영역
1. 사기 조선열전
2. 압록강 및 청천강 패수설
3. 왕검성의 위치
제4장 창해군
1. 사기 평준서
2. 사기 평준후 주부 열전
3. 한서 식화지
4. 한서 무제기
5. 후한서 예전
6. 분석
7. 창해군의 위치
제5장 위만조선과 공존한 나라
1. 부여
2. 고구려
1) 후한서 동이전 고구려 조
2) 북사(北史) 열전(列傳) 고구려 조
3) 위서(魏書) 열전 고구려 조
4) 수서 열전 고려(高麗: 고구려) 조
5) 삼국지 동이전 고구려 조
6) 해설
3. 삼한, 진국(辰國)
1)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韓) 조
2) 위략(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 조의 주석)
3) 해설

제4편 특집: 요동군의 원래 위치와 옮겨진 위치
제1장 요동군의 원래 위치
제1절 연나라 때의 요동군
1. 거리로 본 연나라 요동군의 위치
1) 조양과 양평의 위치
(1) 철도거리
(2) 도로거리
2) 거리로 본 연나라 요동군의 위치에 대한 결론
2. 사기 진시황본기로 본 연나라 요동군의 위치
1) 군사를 크게 일으키는데(大興兵) 소요된 시간
(1) 군사를 크게 일으킨 주체와 장소
(2) 군사를 크게 일으킨 규모
(3) 징집과 훈련
(4) 군사를 크게 일으킨(大興兵) 기간
2) 북경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
3) 연나라 왕, 희(喜)를 잡은 때
4) 대(代)왕, 가(嘉)를 사로잡은 때
5) 진시황본기로 본 연나라 요동군의 위치에 대한 결론
3. 연나라 요동군의 위치에 대한 결론 및 기타 사항
1) 연나라 장성의 위치
2) 갈석산의 위치
3) 요수의 위치
제2절 진(秦)나라 때의 요동군
1. 진나라가 점령한 요동군
2. 상하장
3. 진나라 요동군의 위치
4. 갈석산의 위치
1) 갈석산
2) 고갈석에 대하여
3) 수중현의 이른바 ‘고대 건축 유적’에 대하여
(1) 맹강녀전설의 역사연원(历史渊源)
(2) 맹강녀전설 내용(传说内容)
4) 수경주와 해상 바위 몇 개
5) 갈석산의 위치 결론
5. 갈석산과 진나라 장성의 관계
제3절 진승·오광의 난 이후 혼란기의 요동군
1. 사기 진섭세가
2. 사기 항우본기
3. 사기 고조본기
4. 한서 고제기
5. 사기 진초지제월표(秦楚之際月表)
6. 분석
제4절 한나라 초기의 요동군
1. 사기 고조본기
2. 한서 고제기
3. 사기 진초지제월표(秦楚之際月表)
4. 사기 조선열전
5. 분석
6. 사기 조선열전의 의문점 해결
7. 패수의 위치
8. 한나라 초기의 위만조선의 영역
9. 한나라 초기 요동군의 위치
제5절 창해군 설치 당시의 요동군
1. 사기 평준서
2. 사기 평준후 주부 열전(平津侯主父列傳)
3. 한서 식화지
4. 한서 무제기
5. 후한서 예전
6. 분석
7. 창해군의 위치
8. 창해군 설치 당시 요동군의 위치
제6절 한 무제 갈석산 방문 당시의 요동군
1. 문영의 주석
2. 한서 무제기의 기록
3. 한 무제 갈석산 방문 당시 요동군의 위치
제7절 한사군 설치 당시의 요동군
1. 한사군 설치 당시의 요동군 위치
2. 한사군 설치 당시의 한사군 위치
1) 신찬의 주석
2) 임둔군의 위치
3) 진번군과 낙랑군의 위치
4) 현도군의 위치
제8절 요동군의 원래 위치에 대한 결론 및 요약
제2장 요동군이 옮겨진 위치
제1절 요동군을 옮긴 계기
1. 한사군의 변화
2. 요동군에 있는 오환 진압
제2절 요동군이 옮겨진 위치와 시기
제3절 현도군의 이동
제4절 요동군을 옮기면서 발생한 결과
1. 낙랑군의 이동
2. 우북평군의 이동
3. 요서군의 이동
4. 요동군과 요서군, 우북평군 등을 이동한 까닭
5. 선비족의 이동
제5절 요동군이 옮겨진 위치(요약)
제3장 요동군이 연나라 때부터 요동반도에 있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제1절 유물
1. 관련 유물에 대한 사실 점검
1) 둔유과(屯留戈)
2) 8년 망령과(八年吂令戈)
3) 21년 계봉과(二十一年启封戈)
4) 4년 춘평후피(四年春平侯铍)
5) 원년 승상사과(元年丞相斯戈)
2. 관련 유물에 대해 틀리게 주장한 점
3. 둔유과(屯留戈)에 대하여
4. 망과(亡戈)에 대하여
5. 계봉과(啓封戈)에 대하여
6. 춘평후검(春平候劍)에 대하여
7. 석읍과(石邑戈)에 대하여
8. 길림성 집안현의 조나라 청동단검
1) 길림성 집안현의 청동단검이 진짜(진품)인가?
2) 그 청동단검이 조나라 청동단검인가?
3) 그 청동단검은 진나라 병사들이 조나라를 멸망시킬 때 노획한 것인가?
4) 그 청동단검은 연나라를 멸망시킬 때 사용한 것인가?
5) 그 청동단검은 6국 병합 후 집안현에 주둔할 때 사용한 것인가?
6) 길림성 집안현 조나라 청동단검의 결론
9. 평안남도의 진나라 과(戈: 창)
10. 유물에 대한 요약 및 결론
제2절 유적
제3절 요동군이 연나라 때부터 요동반도에 있었다는 주장에 대한 결론

참고 문헌 등

저자소개

최동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퇴인천교육대학 졸업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저서 : 3조선(고조선), 코로나 이후의 세계경제 번역서 : 한서본기, 한서지리지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