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가
· ISBN : 9791197070006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0-06-23
책 소개
목차
Ⅰ
Ⅱ
Ⅲ
Ⅳ
Ⅴ
감사의 말
옮긴이의 글
부록: 파울라의 작품
리뷰
책속에서
그녀가 여기 있었다. 이 땅 위에, 이 집에. (…) 여기는 황홀하지만 끔찍함이 함께 있다. 피할 수 없다. 인생이 하나의 이야기라면, 이 이야기가 끔찍한 이유는 주인공이 채 완성하지 못한 그림 한 점과 세상에 나온 지 십팔 일밖에 안 된 젖먹이를 남겨두고 서른한 살에 죽었기 때문이다.
파울라의 부모님은 딸의 결혼을 승낙하는 대신 한 가지 조건을 걸었다. 파울라가 요리 수업을 받는 것이다. 남편에게 맛있는 식사도 차려줄 줄 모르는 딸아이를 결혼시켰다는 소리를 들을 수는 없었다. (…) 파울라는 주위 사람들을 묘사할 때도 오토에게 요리 수업에 대해 보고할 때처럼 약간 냉소적인 태도를 취했다. 체념하듯 ‘자신들의 지위가 요구하는 사회적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녀가 있는 곳이 부자 동네인 쇠네베르크여서인지 자유로운 파리의 라탱 지구가 더욱 그리웠다. 이곳에서는 스스로가 온실의 꽃들 사이에 피어 있는 야생화처럼 느껴졌다.
‘힘과 내밀함.’ 특히 하늘을 배경으로 한 인물화를 좋아한 오토는 파울라의 인물화를 그렇게 평했다. “파울라는 이제 온전한 화가가 되었다. 보르프스베데에서 활동하는 여성 화가들 중 두말할 것 없이 가장 뛰어나다.” 오토는 또 파울라의 “순진성과 단순함”을 칭찬했다. 하지만 그녀는 순진하지도 단순하지도 않았다. 파울라는 자신이 무엇을 찾고 있는지 잘 알았고 곧바로 핵심으로 파고들었다. 매우 복잡하고 영리한 사람이었다. 무엇보다 어떤 것을 멀리해야 할지 알았다. 포겔러 스타일뿐 아니라 보르프스베데 스타일에서 벗어나야 했다. 어쩌면 수백 년 동안 남자의 시선으로 그렸던 그림을 자신도 따라 그리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말해야 할 것, 자신만의 것, 전에는 거의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는지도 모른다. 다름 아닌 여자가 여자를 그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