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7071645
· 출판일 : 2021-05-15
목차
1편. 문제의식 갖기
1부. 언어, 정체성, 교육사회의 연관성 보기
1장. 영어에 관한 욕망, 자기배려, 인정의 이해: 정체성에 관한 학제간 연구의 탐색. 신동일
2장. 언어교육의 후기-현대성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맥커뮤니케이션, 자아정체성, 그리고 생태주의 관점에서부터. 신동일
2편. 서로 다른 설명 틀로 바라보기
1부. 언어학습과 심리적 자아, 자아정체성의 이해
3장. 한국인 대학생의 영어학습 경험과 제2언어 자아 연구. 유정원, 신동일
2부. 실행공동체, 행위자 자아: 실행공동체 이론으로부터 접근
4장. 실행공동체 이론의 관점에서 본 학습부진아에 관한 신문 매체의 인식연구. 신동일, 심우진
5장. 제2언어교육 분야의 (예비)전문가와 전문성에 관한 의미의 탐색: 실행공동체 이론(CoP)의 관점에서. 신동일, 박성원
3부.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적 정체성
6장. 내러티브탐구 학습을 통한 교육경험의 성찰. 신동일, 김나희, 유주연
7장.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공동체 참여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박성원, 신동일
8장. 내러티브탐구를 통한 영어과 교원의 전문가적 성장. 김나희, 신동일, 유주연
9장. 영어교육연구 현장에서 내러티브 탐구방법. 신동일, 유주연
10장. 성찰적 글쓰기활동를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교육적 성장 과정. 신동일, 김나희
4부. 정체성과 후기구조주의 접근
11장. 언어교육 분야의 정체성 연구에 관한 경향성 탐색: 후기구조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신동일, 박성원
12장. 사회적 정체성의 형성과 영어학습의 상관성 탐색: 편입학 준비생을 대상으로. 전종운, 신동일
13장.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분석에 나타난 언어와 정체성의 결속성 연구: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박성원, 신동일
5부. 기호, 담론, 권력, 주체성으로 바라보기
14장. 대중문화에서 재현된 영어시험과 수험자 분석: 문화연구, 정체성, 기호학의 접점으로부터. 신동일
15장. 영어교육 광고에 나타난 원어민과 내국인의 이미지 분석 연구. 신동일, 김주연
16장. '중국인 유학생'에 관한 미디어 담론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조은혜, 신동일
17장. 중도입국자녀의 언어문제에 관한 미디어 담론분석 연구. 박수현, 신동일
18장. 글로벌 인재와 영어능력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김가현, 신동일
19장. 글로벌 인재와 영어능력에 관한 담론적 실천과 신자유주의 주체성의 이해. 신동일
3편: 현장에서 문제의식 갖기
1부. 학교 현장과 언어권리
20장. 국내 외국인 거주자의 언어권리의 침해에 관한 연구. 신동일, 심우진
21장. 초등학생의 언어 학습권리에 관한 고찰: TOEFL 시험준비의 현장에서. 신동일, 박진아
22장. 초등학생 자녀의 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 인식 연구: 맥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신동일, 김주연
2부. 시험장과 수험자 정체성
23장. 토익 수험자의 인식연구: 비판적언어평가론 관점에서. 신동일, 김주연
24장. 영어말하기대회의 수험자 연구: 인터넷 기반에서 준비활동을 중심으로. 신동일, 김나희
3부. 다문화, 세계화, 언어정체성
25장. 자녀의 다중언어에 관한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의식 연구: 서래마을 거주 가정의 사례로. 박성원, 신동일
26장.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와 권리 연구: 미국 조기유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동일, 최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