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715333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6-25
책 소개
목차
커리어 수업을 시작하면서
1장 내 인생의 방향을 정하는 법
1 방향을 잃었어요.
2 면접, 연습 삼아 보면 안 되나요?
3 자기소개서에서 매번 떨어져요.
4 여러 가지 할 줄 아는 건 많은데, 이제 무엇을 더 갈고닦아야 할까요?
5 정답을 말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탈출하고 싶어요.
6 그냥 일인데, 어디까지 노력하고 투자해야 하나요?
7 대충 하다가 인생도 대충이 된 것 같아요.
8 일을 하면서 점점 자존감이 바닥을 치는 것 같아요.
9 퇴근하면 녹초가 돼서 다른 일을 하기 어려워요.
2장 일과 나 사이 적절한 균형을 잡는 법
1 일하면서 성장하고 있는지 의심이 듭니다.
2 대표님이 자꾸 주인의식을 가지래요.
3 회사의 목표만 따르다가, 저의 목표를 세우는 법을 잃어버렸어요.
4 진지하게 일하는 것이 꼭 책임지는 모습인가요?
5 언제쯤 조급함이 사라질까요?
6 일은 점점 재미없고, 만족감이 점차 줄어듭니다.
7 제가 가진 강점은 무엇일까요?
8 일과 아이 사이에서 늘 갈등합니다.
9 같이 일하는 선배가 자꾸 윗사람 행세를 합니다.
10 시행착오도, 실패도 모두 싫어요. 성공만 하고 싶어요. 그것도 빠르게요.
3장 보다 넓고 깊게, 전문성 기르는 법
1 이직이 처음인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경력자는 지원 동기를 어떻게 써야 하나요?.
3 신입 때보다 발전된 모습을 면접에서 보여주고 싶어요.
4 합격했지만, 왜 뽑혔는지 모르겠어요.
5 체계적인 회사에 가면 제가 더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요?
6 크고 유명한 회사에 가는 게 저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7 가고 싶은 회사가 없어요.
8 경력이 초라한데 괜찮을까요?
9 멘토가 필요합니다. 누가 저의 멘토가 될 수 있을까요?
4장 나만의 사업 시작하는 법
1 나만의 일을 시작하고 싶습니다. 무엇부터 해야 할까요?
2 리더가 되고 조직을 꾸리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3 해외에서 일하고 싶은데, 뭘 준비해야 할까요?
4 대표 때문에 회사 다니는 게 너무 힘이 듭니다.
5 직장인으로 돈을 많이 버는 것은 이제 불가능한 건가요?
6 프리랜서를 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7 나만의 사업을 시작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커리어 수업을 마치면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Q 여러 가지 할 줄 아는 건 많은데, 이제 무엇을 더 갈고닦아야 할까요?
A 진짜 자기 계발은 스킬과 테크닉을 ‘목적 없이’ 갈고닦는 것이 아닙니다.
개발이 아니고, 계발입니다. 계발을 위한 기획이 되어야지, 개발을 위한 계획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중장기를 보고 투자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미래를 살펴봐야 합니다. 계발 이후 기대하는 내 모습을 충분히 상상하고, 이를 토대로 기획 및 계획을 해도 충분합니다. 이 과정에서 목적의식과 실현 의지를 올바르게 갖추면 더욱 열심히 할 수 있는 원동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Q 크고 유명한 회사에 가는 게 저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A ‘크고 유명한 것’과 내가 ‘가야 하는 이유’는 별개입니다.
‘크고 유명한 것’과 내가 ‘그 회사에 가야 하는 (나만의) 이유’는 절대 같지 않습니다. 조직의 크기에 관계없이 내가 가야 하는 합당한 이유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커리어 방향성과 얼마나 조화가 이루어지는지’입니다. 실제로 나에게 충분한 자격과 실력이 있고 회사가 그것을 수용한다고 해도, 회사와 내가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를 시뮬레이션해봐야 합니다. 그곳에서 하게 될 경험이 나를 성장하게 만들겠지만, 내가 바라는 성장 방향과 맥을 같이 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Q 가고 싶은 회사가 없어요.
A 회사는 커리어를 쌓기 위한 도구일 뿐, 중요한 것은 결국 ‘나’입니다.
매번 회사부터 정하다보면, 선택의 오류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어느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는 ‘어떤 회사를 갈 것인가’가 아닙니다.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후에 되고 싶은 내 모습’을 말합니다.
<현재 상태(X) + 추가 경험(A) = 되고 싶은 상태(Y)>
현재 상태(X)는 지금의 내가 처한 조건, 상황, 환경 등으로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인 경험(A)이 쌓여 미래의 내 상태(Y)가 됩니다. 아주 간단한 1차 방정식입니다. 다시 말해, 앞으로 내가 ‘되고 싶은 상태(Y)’에 대한 바른 답을 찾기 위해서는, 추가 경험(A)이 바른 값이어야 합니다.



















